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행정학 > 7/9급 교재
· ISBN : 9791192405582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4-08-12
책 소개
목차
Ch 01 행정학의 기초이론
SUBJECT 01 행정의 본질
01 행정의 개념 • 23
02 공공재로서의 행정 • 24
03 행정의 변수·기능·과정 • 26
SUBJECT 02 행정과 환경
01 행정과 정치 • 28
02 행정과 경영 • 30
03 행정과 법 • 31
04 시민사회와 제3섹터 • 32
05 사회적 자본 • 34
SUBJECT 03 행정의 변천
01 국가와 행정의 변천 • 37
02 행정국가와 현대행정의 특징 • 38
03 신행정국가 • 39
04 진보주의 정부관과 보수주의 정부관 • 40
05 후기산업사회의 행정 • 41
SUBJECT 04 행정의 존재이유 - 시장실패와 대응
01 시장실패 • 43
02 정부규제 • 44
03 Wilson의 규제정치모형 • 47
04 행정지도 • 48
SUBJECT 05 행정의 한계 - 정부실패와 대응
01 정부실패 • 50
02 공공재의 적정 공급규모 • 52
03 감축관리론 - 작은 정부론 • 53
04 공공부문의 민간화 • 54
SUBJECT 06 행정의 지향과 가치
01 행정과 가치 • 57
02 행정이념의 우선순위와 상호관계 • 58
03 공익성 • 59
04 형평성 • 61
05 정의 • 62
06 합법성·능률성 & 민주성 • 63
07 합리성 • 64
08 효과성 • 65
09 가외성 • 66
SUBJECT 07 행정학의 특징과 체계
01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68
02 행정학의 접근법 • 69
03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 • 70
SUBJECT 08 행정학의 주요이론
01 행정의 변천과 흐름 • 72
02 과학적 관리론 • 73
03 인간관계론 • 74
04 행태론 • 75
05 생태론 • 77
06 체제론 • 78
07 비교행정론 • 80
08 발전행정론 • 81
09 신행정론 • 82
10 후기행태주의 • 83
11 현상학 • 84
12 비판행정학과 담론행정 • 85
13 공공선택론(Ⅰ) - 기본가정과 특징 • 86
14 공공선택론(Ⅱ) - 주요 모형 • 88
15 신제도론 • 91
16 신공공관리론 • 93
17 (뉴)거버넌스론 • 95
18 레짐이론 • 97
19 신공공서비스론 • 99
20 탈신공공관리론 • 101
21 공공가치관리론 및 넛지이론 • 103
Ch 02 정책론
SUBJECT 01 정책과 정책과학의 본질
01 정책과학의 특성과 본질 • 107
02 정책의 개념과 구성요소 • 108
03 정책의 유형 • 110
SUBJECT 02 정책의제와 정책목표
01 정책의제의 설정 • 114
02 정책의제 설정에 관한 이론모형 - 국가론 • 117
03 정책네트워크(정책망) 모형 • 120
04 정책목표 • 122
SUBJECT 03 정책분석과 미래예측
01 정책대안의 평가기준과 정책모형 • 124
02 정책분석의 유형과 차원 • 125
03 비용편익분석(체제분석) • 126
04 관리과학 • 129
05 직관적 예측 • 130
06 불확실성과 미래예측 • 131
SUBJECT 04 정책결정
01 정책결정의 본질과 과정 • 134
02 정책결정요인이론 • 135
03 정책결정 이론모형(I) - 개인차원의 모형 • 136
04 정책결정 이론모형(II) - 집단차원의 모형 • 139
SUBJECT 05 정책집행
01 정책집행이론 • 143
02 정책집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48
03 정책변동과 학습 • 150
04 기획의 본질과 특성 • 152
SUBJECT 07 정책평가와 환류
01 정책평가의 본질과 절차 • 155
02 정책평가의 유형 • 156
03 우리나라의 정책평가 - 정부업무 평가 • 157
04 정책평가의 요소 - 인과관계·변수· 타당성
• 158
05 정책평가의 방법 - 실험 • 162
06 정책변동과 환류 • 164
Ch 03 조직론
SUBJECT 01 조직의 본질과 기초이론
01 조직의 유형 • 167
02 조직이론의 변천 • 171
SUBJECT 02 조직행동론
01 인간관과 동기이론 • 174
02 조직문화 • 180
03 의사전달 • 182
04 갈등 • 183
05 권력 • 186
06 리더십 • 187
SUBJECT 03 조직구조론
01 조직의 구조변수 • 192
02 조직의 원리 • 195
03 관료제 • 197
04 후기관료제(탈관료제) • 199
05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계선과 막료 • 203
06 위원회 • 205
07 우리나라 정부조직체계 • 207
08 책임운영기관 • 209
09 공기업(공공기관) • 211
SUBJECT 04 조직환경론
01 거시조직이론 • 215
02 혼돈이론 • 218
SUBJECT 05 조직관리론
01 정보공개제도 • 220
02 목표관리(MBO) • 221
03 조직발전(OD) • 223
04 전략적 관리와 위기관리 • 225
05 리엔지니어링(RE) • 226
06 총체적 품질관리(TQM) • 227
07 시민헌장제도 • 228
08 성과관리(균형성과관리 중심) • 229
Ch 04 인사행정론
SUBJECT 01 인사행정의 기초이론
01 인사행정의 특징과 흐름 • 233
02 엽관주의 • 234
03 실적주의 • 235
04 직업공무원제도 • 236
05 대표관료제 • 238
06 인사행정의 변천과 이념적 가치 • 240
07 중앙인사행정기관 • 241
08 적극적 인사행정 & 인적자원관리 • 243
SUBJECT 02 공직의 분류
01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 245
02 개방형과 폐쇄형 인사 • 247
03 계급제 • 249
04 직위분류제 • 250
05 고위공무원단 제도 • 253
SUBJECT 03 공무원의 임용
01 임용과 모집 • 256
02 시험 • 257
SUBJECT 04 공무원의 능력발전
01 교육훈련 • 260
02 근무성적평정 • 261
03 역량중심의 인사 • 264
04 승진과 배치전환 등 • 265
SUBJECT 05 공무원의 복지와 사기
01 공무원의 사기 • 268
02 공무원의 보수 • 269
03 공무원 연금 • 271
04 신분보장 • 273
05 공무원 단체 - 공무원노조 • 276
SUBJECT 06 공직윤리와 부패
01 정치적 중립 • 280
02 공직윤리 • 281
03 공직부패 • 285
04 내부고발자 보호제도 • 287
Ch 05 재무행정론
SUBJECT 01 예산의 개념과 본질
01 예산의 본질 • 291
02 예산의 기능 • 294
03 예산의 원칙 • 295
04 예산의 분류 • 297
SUBJECT 02 예산의 종류
01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 300
02 정부기금 • 301
03 통합예산(통합재정) • 302
04 조세지출예산 • 304
05 남녀평등예산 • 305
06 예산의 제출·성립시기에 따른 예산 구분 • 306
SUBJECT 03 예산결정이론
01 예산결정이론 - 합리주의와 점증주의 • 308
02 A.Schick의 자원의 희소성이론 등 • 311
SUBJECT 04 예산제도론
01 예산제도의 개혁과 변천 • 313
02 품목별 예산(LIBS) • 314
03 성과주의 예산(PBS) • 315
04 계획예산(PPBS) • 317
05 영기준예산(ZBB) • 319
06 자본예산(CBS)• 321
07 신성과주의예산(NPBS)• 323
SUBJECT 05 예산과정
01 예산과정 • 327
02 예산편성 • 328
03 예산심의 • 329
04 예산집행 • 330
05 구매행정(조달행정) • 332
06 결산 • 333
07 정부회계 • 336
08 회계검사 • 338
Ch 06 행정환류론
SUBJECT 01 행정책임과 통제
01 행정책임 • 341
02 행정통제 • 343
03 옴부즈만 제도 • 344
04 행정참여 • 345
05 주민참여예산 • 347
SUBJECT 02 행정개혁
01 행정개혁 • 349
02 선진국의 정부혁신 • 351
03 우리나라의 정부혁신 • 532
SUBJECT 03 정보화와 행정
01 지식정보화사회와 행정 • 356
02 전자정부 • 360
03 지식행정관리 • 363
Ch 07 지방자치론
SUBJECT 01 지방자치의 기초이론
01 지방행정의 개념과 체계 • 369
02 지방자치의 본질과 가치 • 370
03 지방자치의 변천과 촉진요인 • 372
04 우리나라의 지방자치 • 374
SUBJECT 02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와의 관계
01 정부간 관계(IGR) • 379
02 중앙통제 • 380
03 특별지방행정기관(일선기관) • 382
04 정부 간 갈등과 분쟁 • 383
05 광역행정 • 384
SUBJECT 03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01 지방자치단체의 종류와 계층 • 388
02 자치단체의 기관구성 • 391
SUBJECT 04 지방자치단체의 기능과 사무
01 지방자치단체의 기능배분 • 396
02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 398
SUBJECT 05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01 지방재정의 본질과 체계 • 401
02 지방세 • 404
03 세외수입 • 406
04 지방공기업 • 407
05 국고보조금 • 408
06 지방교부세 • 409
07 지방채 • 411
SUBJECT 06 지방자치와 주민
01 주민참여 • 413
02 주민소송 • 414
03 주민투표 • 415
04 주민소환 • 416
부록
01 국가행정제도와 지방행정제도의 비교 • 420
02 학자별 저서와 주요 내용 • 422
03 지방자치 관련 법 주요 개정내용 •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