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지구와 우주
· ISBN : 9791192925158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3-08-28
책 소개
목차
1장 로켓을 타고 우주로
로켓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을까?
폭죽으로 시작하는 중국의 새해맞이 015 I 대나무를 태워 괴물을 물리친 노인 018 I 로켓의 조상은 대나무 조각? 021
현대 로켓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폭죽에서 무기가 된 화약 024 I 현대 로켓의 탄생 028 I 진정한 현대 로켓의 아버지 폰 브라운 032 I 독일이 만든 최초의 로켓 무기-V2 036
현대 로켓은 어떻게 발전해 왔을까?
폰 브라운과 V2 로켓의 운명 040 I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와 미국의 망신 044 I 폰 브라운의 야심작 새턴 V 로켓의 탄생 049 I 미국의 극적인 역전과 새로운 도전 052 I 새로운 형태의 탐사선 등장 055
로켓을 타는 것은 안전할까?
매콜리프가 탄 마지막 우주왕복선 챌린저호 060 I 챌린저호의 사고 원인 064 I 목숨을 담보로 한 위험한 발사 066 I 지구로 돌아오는 게 더 위험하다! 069 I 끊임없이 발생하는 착륙 과정의 사고 073
2장 우주로 가는 또 다른 방법 ? 우주엘리베이터
드디어 우주엘리베이터가 완성됐어요!
하늘을 오르는 방법
인간 탑 쌓기 084 I 신이 되고 싶은 인간의 욕망, 바벨탑 086 I 잭과 콩나무, 해와 달이 된 오누이 087
우주엘리베이터의 역사
치올코프스키의 에펠탑 092 I 유리 아르츠타노프의 케이블 094 I 제롬 피어슨의 우주엘리베이터 095 I 에드워드의 실현 가능한 우주엘리베이터 096
우주엘리베이터의 구조
인간의 편리한 도구, 엘리베이터의 구조 101 I 주엘리베이터는 어떻게 생겼을까? 103 I 우주엘리베이터의 케이블은 무엇으로 만들까? 108 I 탄소나노튜브의 발명 111 I 우주에서 전기는 어떻게 사용하지? 113
우주엘리베이터의 건설
케이블은 어떤 곳에 묶어야 안전할까? 116 I 우주엘리베이터의 본부, 지오스테이션 119 I 상상을 현실로! 우주엘리베이터의 건설 과정 121
3장 우주엘리베이터의 미래
2233년 11월 25일 제목 : 소원 별똥별 뿌리기!
인류가 고대하던 우주여행의 시작
우주 스카이다이빙과 별똥별 만들기 체험 134 I 우주에서 일몰 체험을? 138 I 무중력 요리를 맛보며 무중력 투어를! 141 I 가벼워진 몸을 느낄 수 있는 화성 중력 체험 145 I 물이 귀한 우주에서 수영을 할 수 있다? 148 I 우주에 내 발 도장 남기기, 달파크 체험 152 I 달에서 즐기는 농구와 탁구는 어떨까? 154
인류의 새로운 희망, 우주공장
우주의 식량 보급지, 우주공장의 건설 159 I 우주농장에서 자란 식량으로 우주요리대회를! 161 I 우주공장의 장점 165 I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우주공학 168 I 전기 사용이 자유로운 우주 171
끝없는 인류의 여정, 우주탐사
저궤도 위성 게이트 176 I 화성에서 살 날이 곧 실현된다! 178 I 우주엘리베이터의 종착지, 펜트하우스 터미널 179 I 우주광산으로 인류의 새로운 꿈을 꾸다! 182 I 달에도 우주엘리베이터를 만들 수 있을까? 184
인류의 미래를 향한 출발
우주엘리베이터의 출발, 지구포트 187 I 출발! 우주로!! 189
책속에서
A2 로켓은 3.5km까지 올라갔어요. 서울 잠실에 있는 롯데월드타워(555m)의 6배가 넘는 높이죠. 하지만 아직 무기로 사용할 정도는 아니었어요. 폰 브라운은 계속해서 로켓의 성능을 발전시켰어요. 그리고 드디어 전쟁에 사용할 수 있는 로켓을 개발했어요. 이 로켓이 바로 V2예요. V2 로켓은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 벌어지고 있던 1942년에 완성되었어요. 여기서 ‘V’는 ‘복수의 무기(Vergeltungswaffe)’라는 뜻이에요.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했던 독일이 연합국에 복수하겠다는 의미로 붙였어요. V2 로켓은 실제 전쟁에 사용된 최초의 현대식 로켓이었어요.
로켓을 타고 우주로 나갔다가 돌아오는 과정은 생각보다 안전하지 않아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없는 빠른 속도에 몸을 맡겨야 하죠. 그리고 문제가 생겨도 이를 해결할 시간이 충분히 주어지지 않아요.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얇은 고무링이나 작은 단열재 때문에 우주선이 폭발하고 사람이 죽을 수 있어요. 속도가 빠르지 않았다면 생기지 않았을 사고였죠.
치올코프스키는 로켓의 이론을 연구하고 우주엘리베이터의 아이디어를 창시한 최초의 연구자예요. 그는 우리가 우주로 나아가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아래와 같은 명언을 남겼어요. “지구는 인류 문명의 요람이다. 그러나 누구도 요람에서 평생을 살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