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3058749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5-02-07
책 소개
목차
제1장 경찰조직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제1절 조직의 의의
1. 조직의 중요성
2. 조직의 개념 및 특성
3. 현대 사회와 조직
제2절 조직의 유형과 형태
1. 조직의 유형
2. 조직의 형태
제3절 경찰조직의 의의와 특수성
1. 경찰조직의 의의
2. 경찰조직의 특수성
제2장 경찰조직의 가치와 역사
제1절 경찰 조직문화
1. 경찰 조직문화의 의의
2. 경찰 조직문화의 특성
제2절 경찰조직의 이념
1. 경찰조직 이념의 의의
2. 경찰조직의 내용
3. 이념 간의 관계
제3절 경찰조직의 역사
1. 경찰조직 역사의 의의
2. 한국 경찰조직의 역사
제3장 조직이론의 발달
제1절 조직이론의 발달 단계
제2절 고전적 조직이론
1. 고전적 조직이론의 대두 배경
2. 고전적 조직이론의 특성
3. 경찰조직에의 적용
제3절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대두 배경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특성과 한계
제4절 현대적 조직이론
1. 현대적 조직이론의 대두 배경
2. 현대적 조직이론의 특성
3. 21세기 정보지식사회의 조직 유형
제4장 경찰조직의 목표
제1절 경찰조직의 목표
1. 경찰조직 목표의 의의
2. 경찰조직 목표의 유형
3. 경찰조직 목표의 변동
제2절 목표에 의한 관리(MBO)
1. 개념
2. 목적
3. MBO의 기본적인 성격
4. MBO의 기본 과정
5. MBO의 장점
6. MBO의 문제점
제5장 경찰조직의 구조와 경찰관료제
제1절 조직구조
1. 조직구조의 의의
2. 복잡성
3. 집권화와 분권화
4. 공식화
5. 권위
제2절 정부조직의 구조
1. 정부조직의 개념과 유형
2. 우리나라의 정부조직 변천사
3. 우리나라의 행정조직
제3절 경찰관료제
1. 경찰관료제의 개념과 특징
2. 경찰관료제의 병리 현상
3. 경찰관료제의 새로운 방향
4.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관계
5. 대표관료제
제4절 경찰조직의 편성
1. 경찰조직 편성의 원리
2. 경찰조직 편성의 기준
제6장 경찰조직의 구분과 한국의 경찰조직
제1절 지방자치와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1. 지방자치의 의의
2.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대두 배경
제2절 국가경찰조직과 자치경찰조직
1. 국가경찰조직
2. 자치경찰조직
제3절 자치경찰제
1. 자치경찰제 도입의 연혁
2. 자치경찰제의 개념
3. 자치경찰제의 필요성
4. 한국 자치경찰제도의 도입 현황
제4절 한국의 경찰조직
1. 경찰조직의 변천
2. 경찰 의결 및 자문기관
제5절 경찰행정관청
1. 중앙경찰조직 : 경찰청(장)
2. 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3. 국가수사본부장(제16조)
4. 경찰청 하부조직
5. 경찰청 부속기관
6. 시·도경찰조직
제7장 경찰조직과 개인
제1절 조직행태론
1. 조직행태론의 의의
2. 인간관의 변천
제2절 동기부여이론
1. 동기부여와 동기부여이론의 구분
2. 동기부여이론
제3절 성격유형론
1. 프레스더스의 이론
2. 맥클리랜드의 이론
3. 코튼의 권력균형화 이론
제4절 경찰의 인간관
1. 경찰관의 일반적인 특성
2. 경찰의 인간관과 문제점
제8장 경찰조직의 환경
제1절 경찰조직의 의의
1. 조직환경의 개념
2. 조직의 일반적 환경
제2절 경찰조직의 환경
1. 정치적 환경과 경찰조직
2. 경제적 환경과 경찰조직
3. 사회문화적 환경과 경찰조직
4. 기술적 환경과 경찰조직
5. 국제적 환경과 경찰조직
제9장 경찰 조직관리
제1절 경찰 조직관리의 본질
1. 경찰 조직관리의 의의
2. 경찰 조직관리의 필요성
제2절 경찰 조직관리의 계층과 역할
1. 최고관리층
2. 중간관리층
3. 하위관리층
제3절 경찰조직 관리계층의 문제점과 효율화 방안
1. 경찰조직 관리계층의 문제점
2. 경찰조직 관리계층의 효율화 방안
제10장 경찰 의사 전달
제1절 경찰 의사 전달의 의의
1. 경찰 의사 전달의 개념
2. 경찰 의사 전달의 기능
3. 효과적인 경찰 의사 전달의 요건
4. 경찰 의사 전달의 구성 요소
5. 경찰 의사 전달의 유형
제2절 경찰 의사 전달의 장애와 개선 방안
1. 불완전한 의사 전달의 유형
2. 경찰 의사 전달의 장애 요인
3. 의사 전달의 원칙
4. 효율적인 경찰 의사 전달의 방안
제3절 경찰 의사전달의 모델 : 조하리의 창
1. 조하리의 창 모델의 네 가지 영역
2. 경찰 의사 전달의 네 가지 유형
제11장 경찰 리더십
제1절 리더십
1. 리더십의 개념
2. 경찰 리더십의 필요성
제2절 경찰 리더십의 유형 및 특징
1. 리더십의 유형
2. 경찰 리더십의 유형
제3절 경찰 리더십에 대한 접근 방법
1. 자질 접근 방법
2. 상황 접근 방법
3. 과업 접근 방법
4. 상호작용이론
제4절 바람직한 경찰 리더십
제12장 경찰 갈등관리와 조정
제1절 경찰 갈등관리
1. 갈등의 개념
2. 갈등의 기능
3. 갈등의 유형
4. 경찰 갈등관리
제2절 경찰 조정
1. 조정의 의의
2. 조정의 중요성
3. 조정의 유형
4. 경찰 조정의 저해 요인
5. 경찰 조정 방법
제13장 경찰과 지역사회
제1절 경찰과 지역사회 간의 관계
1. 의의
2. 지역경찰의 활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
3. 지역경찰의 역할과 목적
제2절 주민 참여와 경찰
1. 주민 참여의 개념과 특성
2. 주민 참여의 기능
3. 주민 참여의 유형
4. 경찰 방범활동과 주민 참여
5.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셉테드(CPTED)
6. 선제적 문제해결을 위한 탄력순찰·지역안전순찰
제14장 정보경찰 정보관리
제1절 정보일반론
1. 정보의 중요성과 개념 정의
2. 정보의 특징
3. 정보의 분류
제2절 정보의 순환 과정
1. 정보의 요구(제1단계)
2. 첩보의 수집(제2단계)
3. 정보의 생산(제3단계)
4. 정보의 배포(제4단계)
제3절 정보경찰의 활동
1. 정보경찰의 개념과 특징
2. 정보경찰의 조직
3. 정보경찰의 활동
4. 정보경찰의 활동 제약
제15장 한국 경찰조직의 과제와 방향
제1절 경찰조직의 문제점
1. 제도상의 문제
2. 조직 운영상의 문제
제2절 경찰조직의 발전 방향
1. 경찰제도의 혁신
2. 고객 지향적 조직
3. 공직 기강 확립 및 청렴 의식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