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야휘집 완역본 보급판 제1책

동야휘집 완역본 보급판 제1책

김종군, 박현숙, 송영림, 이원영, 하은하, 한상효, 황혜진 (옮긴이), 김현룡 (감수), 이원명 (편저)
황금비
4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야휘집 완역본 보급판 제1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야휘집 완역본 보급판 제1책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93142134
· 쪽수 : 596쪽
· 출판일 : 2025-11-10

책 소개

고전 연구자들이 기다려 온 역작, 2023 세종도서 학술부문 추천도서, ‘동야휘집 완역본’의 보급판을 새로 펴냈다. ‘동야휘집’은 조선 3대 야담집으로 조선 후기 짤막한 야담들을 주제별, 인물별로 통합 증보한 한문 고전이다.

목차


역자 서문 󰡔동야휘집󰡕 완역본을 출간하며 5
원전 서문(原典序文) 동야휘집(東野彙輯) 32
동야휘집범례(東野彙輯凡例) 35
동야휘집총목(東野彙輯總目) 37

동야휘집(東野彙輯) 완역본 제1책

○ 동야휘집 권지일(東野彙輯 卷之一)

세종 임금이 주역에 정통한 선비 직제학(直提學)에 특선하다 41
1-1.<1> 명역의탁렬청선(明易義擢列淸選)
성종 임금의 용꿈 감응(感應)에 의하여 장원 급제 점하게 되다 52
1-2.<2> 감신몽독점외과(感宸夢獨占嵬科)
선녀의 산실(産室) 지정으로 대유(大儒) 이황(李滉) 탄생하다 63
1-3.<3> 선녀정실강유현(仙女定室降儒賢)
율곡(栗谷) 사망 때 노인이 별에 수명 빌고 하늘 운수를 말하다 73
1-4.<4> 노옹양성화천수(老翁禳星話天數)
서화담(徐花潭)이 제자 보내 독경(讀經)하여 죽을 사람 살리다 82
1-5.<5> 견문생독경활인(遣門生讀經活人)
하늘 기밀 누설한 정염(鄭𥖝)이 별에 빌어 친구 목숨 구하다 93
1-6.<6> 설천기기성구우(洩天機祈星救友)
토정(土亭)이 그릇을 여러 번 돈과 바꾸는 기술(奇術) 시험하다 102
1-7.<7> 수기환금시기술(授器換金試奇術)
정작(鄭碏)이 아이를 궤에 넣어 불태워 뱀 요정(妖精) 제거하다 111
1-8.<8> 투궤소화제요물(投櫃燒火除妖物)
도량 넓은 황희(黃喜) 정승 노비의 아이들과 어울려 함께 놀다 119
1-9.<9> 회도량아동정희(恢度量兒僮呈戱)
정광필(鄭光弼)이 극력 충간(忠諫)하여 선비들 화(禍) 줄이다 129
1-10.<10> 극간쟁사림서화(極諫爭士林紓禍)
겸인(傔人)에게 사위 중매해 안전 지역 얻어 가정을 보전하다 141
1-11.<11> 택겸서보가길지(擇傔壻保家吉地)
이원익(李元翼) 사나운 귀졸(鬼卒)을 막아 친구 수명 연장하다 152
1-12.<12> 한귀졸연우수명(捍鬼卒延友壽命)
오성(鰲城)이 비오는 밤 궁중에서 촛불 잡고 피난길 인도하다 162
1-13.<13> 금경집촉도궁가(禁扃執燭導宮駕)
한음(漢陰)이 의주 몽진(蒙塵) 중 명나라에 가 구원병을 청하다 174
1-14.<14> 새정질치청원사(塞程疾馳請援師)

○ 동야휘집 권지이(東野彙輯 卷之二)

검정소를 탄 노인이 중국 구원병 대장을 꾸짖어 경계하다 191
2-1.<15> 오우노옹하천수(烏牛老翁嚇天帥)
관우(關羽) 신령이 적토마 타고 나타나 왜병(倭兵)을 소탕하다 203
2-2.<16> 적토신장소적병(赤兎神將掃賊兵)
수군 도독 이순신(李舜臣) 왜국 선단을 격파하여 무공 떨치다 212
2-3.<17> 수군도독양무공(水軍都督揚武功)
김응하(金應河) 장군 버드나무 아래에서 전사해 충절을 지키다 224
2-4.<18> 유하장군장충절(柳下將軍仗忠節)
나귀 탄 노인이 권율(權慄) 장군 막사에 와서 계책을 알려 주다 235
2-5.<19> 책려옹입막헌계(策驢翁入幕獻計)
사슴 쫓던 이완(李浣) 대장을 묶었다 풀어 주고 친구로 대하다 246
2-6.<20> 축록객해박논교(逐鹿客解縛論交)
임경업(林慶業)이 녹림(綠林) 두목과 검술 논하고 친분 맺다 257
2-7.<21> 대녹림논검결의(對綠林論劒結義)
김덕령(金德齡) 그림배 뒤엎고 몽둥이 휘둘러 악한들 제압하다 275
2-8.<22> 복화가휘추제악(覆畵舸揮椎除惡)
용맹한 장군 정기룡(鄭起龍) 휘파람으로 말을 불러내 탈출하다 285
2-9.<23> 용장소인적렵기(勇將嘯引赤鬣騎)
곽재우(郭再祐)가 의병에게 검정 박을 매달아 메게 해 속이다 297
2-10.<24> 의병견괘칠포간(義兵肩掛漆匏竿)
정충신(鄭忠信)이 술자리에서 청 태조 여섯째 아들에게 공경 표하다 309
2-11.<25> 주석견육자기경(酒席見六子起敬)
박엽(朴燁)이 감영에서 세 계책 듣고 탄식 하책(下策)을 택하다 320
2-12.<26> 융영문삼책발탄(戎營聞三策發歎)

○ 동야휘집 권지삼(東野彙輯 卷之三)

사육신(死六臣) 절조(節操)를 지켜 꼿꼿하게 충절 펼치다 333
3-1.<27> 육신입절장위충(六臣立節仗危忠)
삼학사(三學士) 목숨 바쳐 인(仁)을 완성하고 큰 의리 밝히다 349
3-2.<28> 삼사성인명대의(三士成仁明大義)
김시습(金時習) 세상을 도피해 청초한 풍모로 절의를 지키다 365
3-3.<29> 도세정청풍절의(逃世情淸風節義)
김인후(金麟厚) 인종 임금 서거에 은총 못 잊어 밤새 곡읍하다 373
3-4.<30> 감은우경석곡읍(感恩遇竟夕哭泣)
이경류(李慶流) 영혼이 충성을 효도로 전환해 귤을 던져 주다 382
3-5.<31> 전충사효투금귤(轉忠思孝投金橘)
강익(姜翌)이 은총 보답으로 칼자루 휘둘러 결사적으로 싸우다 388
3-6.<32> 결사보은휘도병(決死報恩揮刀柄)
효자 오준(吳浚)이 죽었다가 환생(還生)하여 저승 이야기를 하다 395
3-7.<33> 효자환소설명부(孝子還甦說冥府)
어린아이 홍차기(洪次奇) 부친의 원통한 옥살이를 신원하다 402
3-8.<34> 유동위친신원옥(幼童爲親伸寃獄)
절개 굳은 부인 죽고자 한 목숨을 연장해 후손 이어지게 하다 408
3-9.<35> 절부연명입후사(節婦延命立後嗣)
윤중연(尹重淵)의 의로운 소실(小室) 재난당한 시가를 지키다 414
3-10.<36> 의아부난부화가(義娥赴難扶禍家)
정부 길씨(貞婦吉氏) 칼 휘둘러 관장 꾸짖고 늑혼(勒婚) 막다 421
3-11.<37> 휘도매쉬퇴늑혼(揮刀罵倅退勒婚)
신부(新婦)가 남자 옷 갈아입고 신랑 찾아내어 혼약 성취하다 431
3-12.<38> 환의심랑해숙약(換衣尋郞諧宿約)
부실(副室)이 쇄은(碎銀) 전별금을 주어 남편 출세 돕다 441
3-13.<39> 신쇄은도점사로(贐碎銀圖占仕路)
신부가 호랑이 뒷다리 껴안고 따라가 물려 가는 신랑 구하다 449
3-14.<40> 액맹수구소부명(扼猛獸救甦夫命)
유인숙(柳仁淑)의 여종 상전 원한 갚고 품었던 칼로 자결하다 455
3-15.<41> 청의협망소원회(靑衣挾鋩訴寃懷)
노복(奴僕) 만석(萬石)이 대궐 징을 울려 상전의 원통함 씻다 464
3-16.<42> 창두명쟁설무원(蒼頭鳴錚雪誣寃)

○ 동야휘집 권지사(東野彙輯 卷之四)

이정구(李廷龜)의 사명주문(詞命奏文)이 중국에 크게 떨쳐지다 473
4-1.<43> 진주대필진화예(陳奏大筆振華譽)
기이한 문장으로 급제시킨 선비 둔수재(鈍秀才) 조롱 해명하다 482
4-2.<44> 탁제기문해둔조(擢第奇文解鈍嘲)
이식(李植)의 꿈에 선녀가 연잎에 시 남기고 신이한 먹을 주다 490
4-3.<45> 하엽유시증보묵(荷葉留詩贈寶墨)
장유(張維) 부인 남편에게 미인 그림을 주고 독려해 급제 돕다 498
4-4.<46> 사주독과등금방(紗幮督課登金榜)
최립(崔岦)이 명나라 왕세정(王世貞)의 시문(詩文)을 감상하다 506
4-5.<47> 엄주석상완문사(弇州席上玩文辭)
주지번(朱之蕃) 사신 요청에 차천로(車天輅) 밤새 백 편 시 짓다 516
4-6.<48> 주사관중화시운(朱使館中和詩韻)
안평대군(安平大君) 기이한 인재를 만나 글씨 재주를 견주다 524
4-7.<49> 봉이재농필완기(逢異才弄筆玩技)
김류(金瑬) 반정(反正) 전에 그림을 통해 능양군(綾陽君) 만나다 539
4-8.<50> 찬대업인화탁계(贊大業因畵托契)
한석봉(韓石峯)에게 노인이 붉은색 붓을 주고 비결을 전수하다 553
4-9.<51> 이동관노옹수결(貽彤管老翁授訣)
정선(鄭敾)의 비단 치마폭 그림 중국 스님 값을 다투고 불태우다 561
4-10.<52> 투금상고승쟁가(投錦裳高僧爭價)
기생 홍장(紅嬙)이 선녀로 가장해 신익성(申翊聖)과 재회하다 569
4-11.<53> 금아태영증숙연(琴娥詒影證宿緣)
바둑 국수(國手) 신구지(申求止) 이량(李樑)을 이겨 횡재하다 583
4-12.<54> 혁수정술치횡재(奕手逞術致橫財)

책속에서



편찬자는 서문에서 이 책의 필요성과 편찬 이유, 서술 형식 및 효용성까지를 명쾌하게 밝히었다. 패관(稗官) 작품과 야사(野史)의 특이한 이야기를 찾아보고 신기한 내용을 널리 고찰하면, 역사 기록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충할 수 있고 소담(笑談)의 기본 자료를 얻을 수 있으므로, 문장가들이 완전히 담을 쌓아 외면하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고 그 필요성을 제시했다.
― 역자 서문


이 책은 조선 후기 다른 야담집과 달리 서문에서 편찬자의 명확한 편찬 의도와 방향을 제시하였고, 그 체제와 수록 작품의 분류 체계가 주제별로 잘 정돈되어 20세기 이전에 국내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설화분류법을 제시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지(書誌) 체제를 보면, 2권을 1책으로 하여, 제1책이 101장(張), 제2책이 87장, 제3책이 104장, 제4책이 120장, 제5책이 106장, 제6책이 114장, 제7책이 111장, 제8책이 108장으로 구성되었다.
― 역자 서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