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5년 중소·중견기업형 유망기술 연구개발 테마 총람

2025년 중소·중견기업형 유망기술 연구개발 테마 총람 (5)

(모빌리티(자동차·로봇)/우주·항공/조선산업분야 연구개발 테마)

씨에치오얼라이언스(CHO Alliance) 편집부 (엮은이)
씨에치오얼라이언스(CHO Alliance)
40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0원 -5% 0원
12,000원
368,000원 >
360,000원 -10% 0원
0원
36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5년 중소·중견기업형 유망기술 연구개발 테마 총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5년 중소·중견기업형 유망기술 연구개발 테마 총람 (5) (모빌리티(자동차·로봇)/우주·항공/조선산업분야 연구개발 테마)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91193250402
· 쪽수 : 643쪽
· 출판일 : 2025-08-22

책 소개

2018년 이후 8번째로, 기업의 효율적인 연구개발 기획과 전략 수립을 지원하고자 국내 주요 정부기관(산하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개발 테마를 종합, 정리 분석하여 ‘2025년 중소·중견기업형 유망기술 연구개발 테마 총람’ 시리즈를 발간하게 되었다.

목차

Ⅰ. 미래자동차(그린카, 스마트카) 기술 분야 15

1. 그린카(전기차, 수소차) 기술 분야 15
1-1. 그린카(전기차, 수소차) 기술 분야 15
1) (총괄) 친환경 광역 저상버스 차량 플랫폼 공용화 기술 개발 15
2) (1세부) 전기/수소 공용화 12m급 광역 저상버스 차량 플랫폼 기술 개발 17
3) (2세부) 광역 저상버스 주행특화 고효율/고안전 전동화 파워트레인 기술 개발 19
4) (총괄) 북미시장 수출형 다중 실노선 주행환경 철도차량 핵심 전장품 기술 개발 20
5) (1세부) 북미 다중 실노선 주행환경 전장품 사전 인증 및 핵심 전장품 개발 22
6) (2세부) AI 기반 미래형 철도차량 통합 전장품 기술 개발 24
7) 보조전원 이중화 기반 안전전력 설계형 전자제동 섀시 시스템 개발 26
8) 초급속 충전속도 향상을 위한 배터리시스템 통합충전제어기술 개발 28
9) 안전 및 수명 증대 기술 적용 충전 전력변환장치 기술 개발 30
10) 전기차용 모듈 프리형 Cell-to-Pack 배터리시스템 기술 개발 32
11) 압력 기반 열폭주 감지 및 화재 확산 대응 배터리 시스템 고도화 기술 34
12) 다극 구조 방사형 자속 모터 적용 고출력밀도 전기구동시스템 기술 개발 36
13) e-조향 섀시 전동화 시스템 38
14) 주행거리 연장을 위한 준중형 전기트럭 탑재형 연료전지 부품 및 제어기 개발 40
15) 컴파운드 캐스팅 기반 차체 프론트 사이드 어셈블리 개발 42
16) 재활용 소재 적용 와이어링 하네스용 고전압 케이블 기술 개발 44
17) (총괄) 전기차 화재 안전성 제고를 위한 다중안전망 기반 배터리관리시스템 성능
고도화 기술개발 46
18) (1세부) 배터리시스템 안전성 고도화를 위한 화재 원리 시험 및 라이브러리 구축 48
19) (2세부) 배터리 열폭주 예측 및 조기진단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개발 50
20) (3세부) 다중안전망 플랫폼 적용을 위한 배터리시스템 하드웨어 기술개발 52
21) (총괄) 다중구동 고성능 EV전용 전동화시스템 기술개발 54
22) (1세부) 고효율 운전영역 능동제어용 고응답 다중구동 전동모듈 기술 56
23) (2세부) 다중구동 기반 고출력·고내구 전동화시스템 통합화 및 성능겸증 기술 58
24) (총괄) 구동 및 전력변환 통합 5-in-1 파워트레인 기술개발 60
25) (1세부) 구동 및 전력변환 시스템 5-in-1 통합화 기술 개발 62
26) (2세부) 통합 회로 기반 고밀도 전력변환시스템 기술 개발 64
27) (총괄) 희토 배제형 전기차 구동모터 핀포인트 초격차 기술개발 66
28) (1세부) 동(Cu) 다이캐스팅 기술 적용 유도전동기 개발 68
29) (2세부) 무선 전력 전송 기술 적용 계자권선형 동기전동기 개발 70
30) (3세부) 평각동선 분포권 기술 적용 축방향자속 전동기 개발 72
31) (4세부) 핀포인트 기술 적용 구동 모터 신뢰성 검증 기술 개발 74
32) 고투자율 연자성 소재 적용 CM Filter 기술개발 76
33) CO2 Zero 저비용 소형 상용수소엔진차량 개발 78
34) 해외 인증 대응 Type-4 수소저장시스템 성능고도화 기술개발 80
35) 에너지 효율 향상 대응 인체감응형 차세대 히팅 시스템 기술개발 82
36) 구동력 향상을 위한 대형 EV용 통합 전동화 모듈 기술 84
37) 리그노셀룰로오스 적용 탄소저감형 친환경/경량 복합재 기술 개발 86
38) 배터리·자동차 산업 대상 제품 전주기 탄소발자국 플랫폼(MCF) 개발 및 AI 기술
기반 탄소 저감 기술 개발 88
1-2. 그린카 충전 기술 분야 90
1) (총괄) 전기차 배터리시스템 일체형 무선 급속충전기술 개발 90
2) (1세부) 배터리시스템 일체형 무선 급속충전용 차량 부품 및 일체화기술 개발 93
3) (2세부) 50kW급 무선 급속충전용 송신부 및 운영 호환성 확보기술 개발 95
4) (3세부) 무선 급속충전 안전성·신뢰성 및 실차 적용성 검증기술 개발 97
1-3. 배터리 기술 분야 100
1) 1,000Wh/L급 리튬금속전지 핵심 소재 및 셀 기술 개발 100
2) 800Wh/L급 전고체전지 핵심 소재 및 셀 기술 개발 103
3) 차세대 이차전지용 리튬메탈음극 범용 모듈 원천기술 개발 106
4) 빅데이터 기반 상용배터리 공정 고도화 플랫폼 구축사업 120
5) 리튬배터리 제조사업장의 전주기 화재 안전 관리시스템 기술 개발 122

2. 스마트카(자율차, SDV) 기술 분야 126
2-1. 자율주행차 기술 분야 126
1) (총괄) 전방위 센서 탑재 양산차 적용을 위한 End-to-End 자율주행 기술개발 126
2) (1세부) E2E 자율주행 제품 상용화 기술개발 128
3) (2세부) E2E 자율주행 레퍼런스 데이터 구축 및 기반 기술개발 130
4) 국산 SoC 기반 도메인 통합형 중앙컴퓨팅 시스템 개발 및 SW 산업 생태계 구축 132
5) 다양한 OEM 및 차종/차급의 SDV 기능 지원 가능 차량단위 통합전장 시스템 개발 134
6) 교통약자를 위한 AI 기반 능동형 운전자 어시스턴스 시스템/서비스 개발 136
7) 자율주행을 위한 합성 데이터 수집 및 시뮬레이션 고도화 기술개발 138
8) 대형트럭 화물운송을 위한 End-to-End 무인 자율주행 상용화 기술개발 140
9) 다목적 중형급(1톤 초과~5톤 미만) 무인 자율주행 차량플랫폼 상용화 기술개발 142
10) 자율주행을 위한 이기종 V2X Seamless 통신 기반 자율협력주행 기술개발 144
11) 3Tier 연계형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통합검증용 클라우드 기반 평가
모델·프로세스 개발 148
12) 유연한 레벨 설정과 기능조합 선택 가능한 SDV기반 자율주행 어플리케이션 SW 및
탑재, 검증 솔루션 개발 152
13) 미래모빌리티 사이버보안을 위한 접근제어 기술 개발 154
14) 칩렛 기반 고성능 차량용 반도체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패키징 핵심 기술 개발 156
15) 디지털트윈 기반 자율주행 모빌리티 부품검증 기술개발 158
16) 서비스 QoS 보장 통신자원 중앙관리형 초고속/초신뢰성 V2X 통신모듈 기술
개발 160
17) (2세부) 맞춤형 서비스용 제어기 탑재 및 서비스 실증 162
18) 자율주행차 정면 충돌시 마주보기 착좌 승객 보호를 위한 에어백 시스템 개발 164
19) 가상환경 기반 사이버보안 수준 검증 기술 개발 166
20) 멀티코어 SoC 기반 이종 기능 수행을 위한 통합 제어기 및 소프트웨어 개발 168
2-2. SDV 기술 분야 170
1) (총괄) SDV용 AI가속기 및 AP 개발 170
2) (1세부) SDV용 1000TOPS급 차량용 AI가속기 및 AP 개발 174
3) (2세부) AI가속기 및 AP 구동을 위한 SW 개발 176
4) (3세부) AI 가속기 기반 제어기 개발 및 검증 178
5) (총괄) SDV 아키텍처를 위한 In-Vehicle 초고속 통신반도체 개발 및 실증 180
6) (1세부) SDV 아키텍처를 위한 In-Vehicle Multi-GigE 통신반도체 개발 186
7) (2세부) 엣지 경량 전장부품용 10Mbps 이더넷 통신반도체 및 ECU 개발 188
8) (3세부) SDV용 차량 통신 아키텍처 개발 및 실증 190
2-3. 차세대 모빌리티용 극한환경적용 OLED 기술 192
1) 모빌리티 디스플레이 시인성 확보를 위한 무편광판 방식의 초저반사 코팅 소재 및
표면처리 기술 개발 192
2) 차량용 롤러블·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고신뢰성 동작 모듈 기술 개발 194
3) 광대 온도 영역(-50∼100℃)에서 7m/s2 이상 진동 대응 가능한 고투명 점접착 소재
기술 개발 197
4) 차량 윈드쉴드용 16ms 이하 고속응답 저산란 투과도 가변 윈도우 기술 개발 199
5) 야간 은밀 사용 가능한 보안 권한 소유자 전용 가시광/비가시광 전환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201
2-4. 2025 미래차 대응 기반조성 사업 203
1) 미래 모빌리티 확산 제도기반 지원 203
2) 미래자동차 고효율 전장 핵심부품 개발 지원플랫폼 구축 206
3) EV플랫폼 연계부품 XR/디지털트윈 기술지원 기반구축 208
4) 미래차 애프터마켓 부품산업 활성화 기반구축 210
5) 미래차 전자 제어부품 산업 고도화 기반구축 212
6) 저탄소 미래차 부품 시제작 기반구축 214
7) (총괄·세부) 보행자 충돌 안전성 확보지원 기반구축 216
8) (세부) 탑승자 충돌 안전성 확보지원 기반구축 218
9) xEV용 에너지저장시스템 안전성 고도화 기반구축 220
10) 실도로 인프라 연계 자율주행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 222

Ⅱ. 우주(위성), 항공(드론, UAM), 조선·해양(플랜트) 기술 분야 227

1. 우주(위성), 항공(드론, UAM) 기술 분야 227
1-1. 우주(위성)산업 기술 227
1) (세부1) 3GPP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탑재체 및 지상국 핵심기술 개발 227
2) (세부2) 3GPP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단말국 핵심기술 개발 234
3) (세부3) 3GPP 6G 표준 기반 저궤도 통신위성 체계종합 및 본체 개발 238
4) 확장형 자율운항 우주선 체계 핵심기술 연구 243
5) 심우주 탐사용 고효율 이온추진 핵심기술 연구 244
6) 딥러닝을 활용한 심우주탐사용 실시간 착륙유도제어 연구 245
7) 심우주탐사를 위한 착륙정밀항법 연구 및 알고리즘 최적화 246
1-2. 항공(드론), 무인이동체 기술 247
1) (총괄) 화재현장 실내수색 무인이동체 개발 247
2) (세부-1) 실내수색 드론 개발 252
3) (세부-2) 수색·중계 UGV 개발 254
4) (세부-3) 통신·GCS 시스템 개발 256
5) 다중비행장 원격통합관제 운용기술 개발 (세부-1) 공항 원격 통합관제서비스
운용기술 개발 및 통합관제시스템 설계·제작기술 개발 258
6) (세부-2) 공항 원격 통합관제시스템 시범인증 수행 264
7) 드론의 도심지 안전비행을 위한 위험도 기반 예측·평가기술 개발 267

2. 조선·해양(플랜트) 기술 분야 276
2-1. 조선·해양(플랜트) 기술 분야 276
1) 조선업 소부재용 레이저 소스 30kw 이상급 레이저 절단 시스템 개발 276
2) 20M급 알루미늄 선체 건조를 위한 용접 자동화시스템 개발 278
3) 블록 내부에서 자율 이동이 가능한 가반하중 30kg 이상 자율 이동체 및 자율 이동체
탑재형 용접로봇시스템 개발 280
4) 용접 공정의 생산성 30% 향상을 위한 협동로봇 기반의 후판 연속 멀티패스 용접
시스템 개발 282
5) 액화용량 3ton/hr 급 선상 CO2 포집 및 처리용 전폐형 터보압축기 개발 284
6) 선박용 고성능, 고내구성 해수전지 ESS 개발 286
7) 윙세일을 활용한 300kW급 선박용 풍력보조 추진장치 개발 및 실증 288
8)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기반 조선소 근로자 교육훈련용 용접 시뮬레이터 개발 290
9) 화재 안전 국제 기술기준 변화와 강화에 따른 선박용 안전 설비 개발 292
10) 100m급 OSV 최적운용을 위한 통합패키지 개발 294
11) 국제 규제 및 표준 제·개정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 296
12) 국제 표준과 규제 대응을 위한 시운전 해석법 개발 및 검증 298
13) (총괄) 조선소-협력사 생산협업 디지털전환 기술개발 및 실증 300
14) (1세부) 조선소-협력사 디지털 생산협업 클라우드 서버 구축 및 플랫폼 개발 304
15) (2세부) 조선소 설계/생산 정보 일원화 기술 및 조회 시스템 개발 306
16) (3세부) 조선 협력사 생산 계획 최적화 기술 및 정보 관리 포탈시스템 개발 308
17) (4세부) 조선 협력사 지능형 생산 실적 수집 기술 개발 310
18) 한국형 LNG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생산성 향상을 위한 패널 접착, 가공, 조립,
검사 유연 자동화 기술 개발 312
19) 멤브레인 화물창 단열시스템용 Plywood 대체 소재 및 생산 기술 개발 314
20) 한국형 해상풍력 유지보수선(CTV) 모델 개발 및 실증 316
21) 북극 고위도 연중 운항이 가능한 세계 최고 수준의 PC(Polar Class) 2급 쇄빙선
개발 318
2-2. 친환경 선박 기술 분야 320
1) (총괄) 상반회전 추진시스템 기반의 중대형 선박 전기추진 시스템 개발 320
2) (1세부) 중대형 전기추진 선박용 15MW급 상반회전 전동시스템 기술개발 324
3) (2세부) 중대형 선박의 상반회전 전기추진시스템화를 위한 저속, 대형의 이중추진축계
설계 기술 개발 326
4) (3세부) 중대형 전기추진 선박용 상반회전추진기 설계기술 개발 328
5) 암모니아 연료추진선의 누출감지, 처리 시스템 개발 330
6) MW급 이상 암모니아 엔진용 배기가스 복합 후처리 시스템 개발 332
7) 액화수소 탱크 제작을 위한 초극저온 재료물성 시험 기법 개발 및 국제 표준화 334
8) 암모니아 내연기관용 연료가압·분사 핵심 기자재 기술개발 336
9) 중대형 선박용 고전압 대용량 직류시스템 개발 340
10) (총괄) 액체수소운반선 상용화 기반기술 개발 345
11) (1세부) 액체수소 운반시험선(2k급) 설계 및 건조기술 개발 349
12) (2세부) 액체수소운반 시험선(2k급) 해상 실증 351

Ⅲ. 로봇, 기계제조 장비, 뿌리산업 기술 분야 357

1. 로봇 및 로봇융합 서비스 기술 분야 357
1-1. 휴머노이드 AX 프로젝트 분야 357
1) (총괄) 제조현장 및 일상생활 적용 가능한 휴머노이드 AX 프로젝트 확산 357
2) (1세부) 다양한 응용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 AI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국산화 359
3) (2세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물류 공정 특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362
4) (3세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특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364
5) (4세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조선소 용접 공정 특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366
6) (5세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조선/건설 공정 특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368
7) (6세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유통 공정 특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370
8) (7세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홈서비스용과 가전 공정 특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372
9) (8세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가정 및 의료 환경 특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374
10) (9세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화학 공정 특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376
1-2. 로봇, 로봇융합 서비스 기술 분야 378
1) 실사렌더링과 물리엔진이 포함된 시뮬레이터 기반 로봇파운데이션 학습용 대규모
데이터 구축 378
2) 휴머노이드 관절 적용을 위한 저감속비 고토크 밀도 통합형 구동모듈 기술개발 380
3) 초소형 근접 3차원 측정 센서를 장착한 고정밀 조작 작업용 고자유도 경량 휴머노이드
로봇 손 개발 382
4) AI 기반 무정전 활선작업 무인화 로봇 플랫폼 개발 및 실증 384
5) 미래형 농업 생산성 혁신을 위한 다목적 자율 과수-농작업 로봇 파트너링 플랫폼 개발 386
6) 5G V2X(R2X) 통신 기반 완전 자율주행 모바일 로봇 및 무인보관함을 활용한 라스트
마일 배송 시스템 개발 388
7) 발전용 가스터빈 블레이드 보수재생 AI 자율 연속생산 시스템 기술 개발 390
8) 차체조립 공정의 부품공급 관리 자율화를 위한 완성차-협력사 협업 기술 개발 392
9) 첨단 방어무기체계용 통신 및 레이더 모듈의 유연생산을 위한 AI 자율제조시스템 개발 394
10) 고가반하중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기반의 가변형 셀조립 자율생산 시스템 개발 396
11) 고신뢰성 방위·위성 부품 생산을 위한 AI 자율제조 기술개발 398
12) 금속 주물 공정의 AI·로봇 융합 고품질 부품가공 자율제조 기술 개발 400
13) 항공기 기체 부품 무중단 가공 기반 무인생산을 위한 AI자율제조 핵심 기술 개발 402
14) 이차전지 배터리 케이스 및 캡 공정 및 품질·유연제조-물류용 AI 시스템 개발 404
15) 함정 MRO를 위한 AI 기반 자율정비 시스템 기술 개발 406
16) 자동차부품 용접·성형 공정 통합관리 기반 AI 자율제조시스템 개발 408
17) 선박 핵심부품 제조공정의 AI 기반 고효율 자율 생산시스템 개발 410
18) 체화지능(Embodied Intelligence) 기반의 차세대 로봇 원천기술 개발 412
19) 휴머노이드 장기 운용을 위한 복합 감각 기반 에너지 효율적 전신 행동지능 개발 414
20) 건설현장 고소작업 자율작업 및 다중로봇 자율주행 기술 개발 418
21) 선박용 배관 자율 제조 시스템 기술 개발 423
22) 대형 모빌리티 부품 조립을 위한 복수 로봇 동시 운영 기반 가공-접합 복합공정
시스템 개발 424
23) 제철 공정의 AI 자율 예지보전 및 고위험 작업을 위한 모바일 자율로봇 기술 개발 426
24) 반도체 소자용 CMP 부품의 AI 자율제조 기반 생산공정 및 시스템 개발 428
25) 농기계 다품종 유연생산을 위한 AI 자율제조 기술 개발 430
26) 다품종 소량 유연 포장 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동화 운영시스템 기술 개발 432
27)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최적화를 위한 AI 자율제조 기술 개발 434
28) 조선/플랜트용 대형 구조물 자율 가공 및 검사 시스템 기술 개발 436
29) 선박 조립공정 적용을 위한 협동로봇 기반 AI 자율 제조시스템 개발 438
30) 이종 다수 로봇에서 생성되는 대용량 로봇 실증 데이터의 고품질 정제 및 가공
기술 개발 440
31) 주력 제조업종의 자율제조를 위한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 자율공정 운영 기술 개발 442
32) (총괄) SDR(Software Defined Robot) 전환을 위한 차세대 로봇 공용 플랫폼 기술개발 444
33) (1세부) 클라우드 기반 SDR 공통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와 공통 인터페이스 및
서비스 운용 시스템 개발 446
34) (2세부) SDR 도메인 서비스를 위한 BM개발 및 로봇 구현과 검증 448
35) 배터리 전극소재의 품질예측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AI 자율제조 시스템 개발 450
36) 고난도 선박 곡블록 생산공정의 AI 자율제조 시스템 개발 452
37) 반도체/디스플레이 부품 제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율 운영 제조 시스템 기술 개발 454
1-3. 국가 로봇 테스트 필드 사업 456
1) 디지털 트윈용 가상화 기기 실증 기술 456
2) 데이터 기반 로봇 서비스 실증 및 평가 기술 460
3) 실환경 기반 로봇 신뢰성 및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463
4) 실환경 시나리오 기반 로봇 서비스 실증 및 평가 기술 개발 466
5) 실환경 연동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실시간 증강 실험 기술 469
6) 물류서비스 실증환경 구축 472
7) 상업·생활서비스 실증환경 구축 474

2. AI자율제조·기계제조·장비산업 기술 분야 476
2-1. AI자율제조 SDM플랫폼 기술 개발 476
1) (총괄) 제조AI 고도화를 위한 SDM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 476
2) (1세부) SDM 플랫폼을 위한 MFM 핵심 기술개발 478
3) (2세부) 자동차·조선·기계 업종 데이터 확보 및 SDM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480
4) (3세부) 철강·정유·석유화학 업종 데이터 확보 및 SDM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482
5) (4세부)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가전 업종 데이터 확보 및 SDM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484
6) (5세부) 자율제조 운영을 위한 SDM 플랫폼 기술 개발 486
2-2. 기계제조·장비산업 기술 분야 488
1) 다품종 차량 조명 모듈 자율조립을 위한 AI 기반 복합공정 자율제어 시스템 개발 488
2) 강판 제조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AI 기반 설비 자율제어 기술 개발 490
3) 다기종 굴착기 혼류 생산을 위한 자동제어 용접 및 비파괴 검사 시스템 개발 492
4) 생활가전제품의 다품종 소량생산을 위한 AI 기반 검사 및 물류 최적화 기술 개발 494
5) 이차전지 조립공정의 AI 기반 자율제조 시스템 기술 개발 496
6) 타이어 제조공정에서 AI 기반 생산계획 수립 및 예측 유지보수 자율시스템 개발 498
7) 가전 제조 산업의 판금 공정에서 AI 기반 밸류체인 협업 기술 개발 500
8) 반도체용 초고다층 PCB(Printed Circuit Board) AI 기반 자율 제조 기술 개발 502
9) 고대역폭 메모리의 불량 검출 및 분석을 위한 AI 기반 비파괴 장비 기술 개발 504
10) 초장거리·비정형 공정의 해저케이블 생산을 위한 고하중 설비 자율제어 시스템 개발 506
11) 식품 제조설비 예지보전 및 자산관리 자동화를 위한 자율 정비 제어시스템 개발 508
12) K-뷰티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품종 소량 생산을 지원하는 모듈화된 자율제조
시스템 개발 510
13) 탄소섬유 제조업종의 지능화 및 AI 자율제조 기술 개발 512
14) 이차전지 품질 개선을 위한 셀-모듈-팩의 AI 기반 자율제조 생산시스템 개발 514
15) 소량 다품종 유제품의 품질 관리를 위한 AI 기반 제조공정 최적화 기술개발 516
16) 국산 CNC 시스템의 가공성능 고도화 및 내구성 실증 518
17) 고품질 부품의 대량 고속 생산을 위한 지능형 고속·고정밀 프레스 장비 개발 520
18) 초고강도 강판(1.7GPa 급) 성형이 가능한 인라인 냉간 롤포밍 시스템 개발 522
19) 복곡면 성형된 항공기 박판부품 가공용 지능형 스킨밀링시스템 개발 524
20) 고종횡비·고정밀 금속 케이스 제조를 위한 다단 딥드로잉 연속 생산시스템 개발 526
21) 전기식 건설/농기계 작업 지속시간 연장을 위한 1리터급 수소 직분사 엔진 시스템
개발 528
22) 고발열 장비용 30kW급 친환경 스마트 냉각시스템 개발 530
23) 가전 공장의 비정형 생산제품의 고품질 관리를 위한 AI 기반 장비 제어 및 자율제조
운영 기술 개발 532
24) 식음료산업에서의 농축액 가공공정을 위한 자율제조 기술개발 및 실증 534
25) 절삭가공 산업의 AI자율제조 고도화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 536
26) AI 자율제조 기반 LFP 전극제조 통합시스템 개발 538
27) 자동차 산업의 고도화를 위한 SDF 기반 AI 자율제조 핵심 기술 개발 540
28) 합성피혁 제조 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율 운영시스템 기술 개발 542
29) 시멘트업종 AI 자율제조를 위한 Process Upgrade 기술 개발 544
30) 미래차 부품 자율제조를 위한 배터리시스템 제조 무인화 시스템 기술 개발 546
31) 대구경 강관 제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 최적화 자율제조 기술 개발 548
32) 반도체PCB 산업의 공정 최적화를 위한 AI 기반 장비 자율제어 및 상태계측 기술
개발 550
33) 인체삽입형 의료기기 자율제조를 위한 공정 지능화 기술 개발 552
34) 전장부품 도장 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율 제조시스템 기술 개발 554
35) AI 기술을 활용한 정유·석유화학 설비 최적화 기술개발 556
36) 이차전지 양극재 소재 품질 연계 자율제어 시스템 및 공정 분석 장비 개발 558
37) AI 활용 메가베이스 스케일 유전자합성 공정 자동화 기술 개발 560
38) (총괄) 자율제조를 위한 제조특화 AI 공통 모델 개발 562
39) (1세부) 기계‧자동차‧전자‧철강‧이차전지‧나노소재 분야 제조특화 AI 공통 모델
개발 564
40) (2세부) 반도체‧석유화학‧바이오‧방산항공‧섬유‧조선 분야 제조특화 AI 공통 모델
개발 566
41) (3세부) 12대 업종 제조특화 AI 모델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568
42) (총괄) 이차전지 건식 전극용 연속식 대면적 제조 장비 개발 570
43) (1세부) 연속식 이차전지 건식 전극 컴파운드 믹싱 공정 및 제조장비 개발 572
44) (2세부) 대면적 고생산성 건식전극 다단 압연공정 및 장비 개발 574
45) 섬유 연속 In-line 플라즈마 표면처리 장비 실증 576
2-3. 제조안전 고도화 기술 개발 578
1) 업종별 세부과제 통합지원체계 및 제조안전 얼라이언스 협력체계 구축·운영 578
2) 배터리 업종 제조현장 사고 예측·예방을 위한 AI 제조안전시스템 기술개발 및 실증 580
3) 석유화학 업종 제조현장 사고 예측·예방을 위한 AI 제조안전시스템 기술개발 및 실증 582
4) 섬유 업종 제조현장 사고 예측·예방을 위한 AI 제조안전시스템 기술개발 및 실증 584

3. 차세대 공통 핵심 뿌리기술 분야 586
3-1. 주조 (기술이전형) 586
1) (총괄) 고품위 알루미늄 합금 부품 제조를 위한 조직 및 결함 제어형 외부장 인가
주조 기술 개발 586
2) (1세부) 외부장 인가에 의한 Al-Zn-Mg 합금 전기차 arm 부품 제조기술 개발 590
3) (2세부) 외부장 인가에 의한 Al-Cu 합금 초고진공 펌프 내열 블레이드 부품 제조기술
개발 592
4) (3세부) LNG 선박 압축기용 Shroud 부품 제조용 외부장인가 대형·후육 주조기술 개발 594
3-2. 금형 (기술이전형) 596
1) (총괄) 미래 수요대응형 플라스틱 부품 고생산 지능형 특수금형 기술 개발 596
2) (1세부) 고집적/고생산 지능형 특수금형 기술기반 튜브형 소용량/정밀 바이오 진단기기
부품 제조 기술 개발 600
3) (2세부) 복합소재 인몰드 고생산 지능형 특수금형 기술기반 전기차용 150 MPa급
직물강화 사출성형부품 제조기술 개발 602
3-3. 소성가공 (기술공유형) 604
1) (총괄) 최대 인장강도 400MPa급 자동차/전자·IoT 산업 체결부품용 6000계 알루미늄
신선/단조 기술 개발 604
2) (1세부) 친환경 자동차용 400MPa급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체결부품 고효율 정밀
성형 공정 기술개발 608
3) (2세부) 전자·IoT용 400MPa급 열교환기용 이종소재 체결·피팅부품 소성압착 공정
기술개발 610
3-4. 용접접합 (기술공유형) 612
1) (총괄) 전자부품용 기판 온도 균일도 ±5℃급 국부가열 접합공정 기술개발 612
2) (1세부) 반도체 패키지용 두께 100μm 이하급 PCB 적용 마이크로 솔더볼 접합공정
기술개발 616
3) (2세부) V2X 통신 안테나용 70% 이상급 고투명 안테나 FPCB-less 저온 국부 접합공정
기술 개발 618
3-5. 표면처리 (기술공유형) 620
1) (총괄) 이종 소재 간 고강도 접합을 위한 습식 표면처리 기술 개발 620
2) (1세부) 전기차 히터 부품용 금속-수지간 고강도 접합 습식 표면처리 기술 개발 624
3) (2세부) 전기·전자 히트싱크용 금속-방열수지간 밀착성 확보를 위한 프라이머 코팅
기술 개발 626
3-6. 열처리 (기술공유형) 628
1) (총괄) 절단/절삭 공구용 고경도·고인성 표면경화 열처리 기술개발 628
2) (1세부) 반도체 제조장비의 SiC 부품 가공용 PCD 드릴의 표면경도 HV 5,000급
고인성 표면경화 기술개발 632
3) (2세부) 폐자원 리사이클링을 위한 파쇄기용 절단 블레이드 100% 수명향상 열처리
기술 개발 634
3-7. 사출프레스 (기술공유형) 636
1) (총괄) 다종소재 일체화를 위한 사출/프레스 연속 공정 기술 개발 636
2) (1세부) 모빌리티용 m급 구조체 경량화를 위한 사출/프레스 융합 공정 기술 개발 640
3) (2세부) 전기·전자부품용 대면적 0.1 mm 이하 금속 인서트 사출/프레스 복합 공정
기술 개발 642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