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청소년/사춘기/성교육
· ISBN : 9791193356067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5-04-0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11
COSMOS MEDIC 대표 김지훈
보건교사 주애영
구성애 설립 사)푸른아우성 대표 이충민
프롤로그 / 15
PART 1. 부모의 건강한 성 가치관은 유전된다 / 24
1. 왜 자녀의 건강한 성 가치관이 중요할까? / 27
2. 자녀 성교육 어떻게 하죠? / 33
3. 성교육은 사랑 표현에서부터 시작 / 39
4. 성교육은 행복을 선택하도록 도와주는 것 / 46
PART 2. 엄빠를 당황스럽게 하는 성 이야기들 / 56
1. 아이가 학교에서 자위를 한대요 / 59
2. 아이와 함께 보는 TV에서 야한 장면이 나올 때 / 69
3. 남편과 섹스하는 것을 아이에게 들켰다! / 76
4. 엄마도 섹스 해봤어? / 83
5. 어떻게 여자 몸으로 정자가 들어가요?(1) / 89
6. 어떻게 여자 몸으로 정자가 들어가요?(2) / 97
7. 나는 똥구멍에서 나온 거야? / 105
8. 혐오범죄가 무슨 말이야? / 111
PART 3. 내 아이의 야동중독 / 120
1. 야동, 보고 싶어서 본 것이 아니에요 / 123
2. 왜 음란물이 나쁜 거죠? / 130
3. 내 아이의 야동 중독(1) / 138
4. 내 아이의 야동 중독(2) / 147
5. 내 아이를 옥죄는 딥페이크 / 154
6. 또 다른 n번 방 예방 / 162
7. 음란물이 낳은 도박중독 / 172
8. 음란물 디톡스 = 스마트폰 디톡스 / 180
<청소년・성인・고령층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 188
9. 스마트폰 디톡스 = 취미의 회복 / 190
PART 4. 고딩엄빠 예방 / 198
1. 딱 한 번 했는데 임신을 했어요 / 201
2. 사춘기 자녀를 이해하기 / 208
3. 나 생리 시작했어 / 214
4. 아들 첫 몽정을 축하해 / 225
5. 피임하면 임신 안된다면서요(1) / 234
6. 피임하면 임신 안된다면서요(2) / 247
7. 내 아들의 콘돔, 십 대의 찐한 연애 / 256
8. 십 대의 연애를 위한 다섯 손가락 약속 / 264
9. 거절하는 용기, 거절을 받아들이는 사랑 / 274
10. 안전하게 이별하기(1) / 285
<교제 폭력의 유형> / 287
11. 안전하게 이별하기(2) / 292
PART 5. 부부 자존감의 기술 / 302
1. 부부 자존감 높이기 / 305
2. 부부관계 회복하기 / 314
3. 부부 자존감은 평생 달성할 목표입니다 / 320
[찬란한 너의 성을 응원해 Workbook] / 329
1. 찬란한 우리들의 성 / 331
2. 엄빠도 사춘기가 있었단다 / 334
3. 엄빠도 사춘기는 당황스러웠어 / 337
4. 나는 어떻게 태어났어요? / 342
5. 십 대의 연애 / 345
6. 미디어 리터러시로 보는 음란물 / 348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내 아이의 성 발달은 다른 아이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어떤 아이는 야동을 봤다는데, 내 아이는 아직 못 봤을 수도 있습니다. 주변 엄마의 자녀들은 이성친구를 사귄다는데 내 자녀는 이성친구에게 관심이 없을 수 있고, 있더라도 너무 부끄러워서 다가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만의 성 발달 속도가 있고 그 속도를 부모님께서 주의 깊게 관찰하시고 시기에 맞는 성 관련 대화를 나누기를 권해드립니다.
자녀에게 성을 알려준다는 것은 단순한 지식의 전달이 아닙니다. 자녀가 앞으로 겪게 될 다양한 상황 속에서 가장 현명하고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우리는 늘 선택합니다. 오늘 뭐 입을지? 점심은 뭐 먹을지? 결혼기념일에 뭐 할지? 등 매 순간마다 선택을 하고, 그 선택에 책임을 지며 살아갑니다.
일회성으로 성교육 강사에게 몇 번 듣는다고 해서 건강한 성 가치관이 형성되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성은 태도의 문제이며, 삶을 살아가면서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부딪히게 되는 삶 자체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부모님께서 다양한 사정으로 자녀에게 성교육을 하기 어려운 경우, 성을 놀이나 성행동, 피임 등에 집중해서 가르치는 강사가 아닌 자녀의 건강한 성 가치관 형성을 중심으로 가르치는 교육을 가르치는 강사를 통해 배울 수 있게 하고, 자녀가 자신의 성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자신과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배려할 수 있는 마음을 가지도록 이끌어 줘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