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직군별 문제집 > 기타
· ISBN : 9791195004140
· 쪽수 : 510쪽
· 출판일 : 2013-09-10
책 소개
목차
제1부 비교정치(Comparative Politics)
Chapter 01 정치란 무엇인가?
제1절 정치의 기본 개념
Chapter 02 정치권력(Political power)
제1절 권력의 기본개념
제2절 권력의 정당성(legitimacy)
제3절 정당성의 위기(legitimation crisis)
Chapter 03 정치체제(Political System) : 정치체계
제1절 구조(structure)와 기능(function)
제2절 민주적 정치체계의 두 유형 : 자유민주주의와 비자유민주주의
제3절 비민주적 정치체계의 두 종류 : 전체주의와 권위주의
제4절 고전적(classical) 분류체계
제5절 전통적(traditional) 분류체계
제6절 현대(modern) 세계의 정치체계
Chapter 04 권력구조론(Power structure)
제1절 군주제, 입헌군주제, 공화제
제2절 대통령제(Presidentialism)
제3절 의원내각제(Parliamentalism)
제4절 이원집정제(dual executive system)
제5절 권력구조와 의회의 행정부 견제 기능
제6절 결론 : 권력구조론의 정치적 함의
Chapter 05 대표(Representation) : 대의제
Chapter 06 선거(Election)
Chapter 07 투표행위(Voting Behavior)
Chapter 08 정당(Political Party)
제1절 정당의 기본 개념
제2절 정당 조직
제3절 정당의 사회적 기반(social base)
제4절 정당체계(party system)
제5절 정당의 쇠퇴?
Chapter 09 의회(Assembly)
제1절 의회의 기본개념
제2절 의회의 구조
제3절 의회 운영 방식
제4절 의회와 행정부의 관계
제5절 의회의 쇠퇴?
제6절 의회의 부흥(rise)?
Chapter 10 집단정치(Group politics)
제1절 집단(group)의 세 가지 유형
제2절 이익집단(interest group)
제3절 집단정치의 모델들
제4절 집단정치의 패턴
제5절 집단의 영향력 행사 방법 및 수단
제6절 이익집단에 대한 찬반 논쟁
제7절 이익집단과 대의제의 관계
Chapter 11 사회운동(Social movement)
Chapter 12 정치적 커뮤니케이션(Political Communication)
제1절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개념
제2절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의 종류
제3절 대중매체에 관한 이론들
제4절 대중매체와 민주주의
제5절 대중매체와 거버넌스
제6절 대중매체의 세계화
Chapter 13 정치문화(Political Culture)
Chapter 14 법과 정치(Law and Politics)
제1절 헌법
제2절 법과 정치
제3절 사법부
Chapter
15 하위국가 정치(Subnational Politics)
제1절 중앙집권화(centralization)와 지방분권화(decentralization)
제2절 중앙-지방 관계(Center-periphery relationships)
제3절 지방분권화와 민주주의
제2부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
Chapter 01 경제체제(Economic system)
제1절 정치와 경제의 관계
제2절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의 기본 개념
제3절 경제체제의 두 종류 :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제4절 자본주의 경제체제
제5절 자본주의의 수렴(convergence)?
제6절 케인즈주의-통화주의 논쟁
제7절 사회주의 경제체제
제8절 제3의 길(third way)?
제9절 성장과 발전
제10절 정치경제 발전론의 접근법
제11절 간섭국가와 규제국가
Chapter 02 동아시아 발전국가(Developmental State)
제1절 발전국가의 기본 개념
제2절 발전국가와 중상주의
제3절 발전국가의 특징
제4절 발전국가와 규제국가
제5절 발전국가와 사회주의
제6절 발전국가와 다원주의
제7절 발전국가의 경제적 한계
제8절 발전국가의 정치적 한계
제9절 발전국가의 유산이 남아 있는가?
Chapter 03 케인지언 복지국가
제1절 복지국가의 기본개념
제2절 복지국가와 케인즈주의
제3절 복지국가의 의의
제4절 복지국가의 쇠퇴
Chapter 04 신자유주의 국가(Neoliberalism)
제1절 신자유주의의 등장
제2절 신자유주의의 특징
제3절 신자유주의의 구체적 사례 : 영국
제4절 결론
Chapter 05 조합주의(Corporatism)
제1절 조합주의의 기원
제2절 조합주의의 기본 개념
제3절 조합주의의 종류
제4절 조합주의의 한계
Chapter 06 거버넌스(governance)
제1절 거버넌스의 기본개념
제2절 거버넌스의 유형
제3절 국가중심이론과 거버넌스이론
제4절 발전국가 모델 비판
제5절 발전국가 논쟁
제6절 시민사회와 사회적 자본
Chapter 07 국제무역의 정치경제
제1절 무역의 발생 원인
제2절 무역의 이익
제3절 무역과 산업화 전략
제4절 산업화 전략의 정치학적 함의
Chapter 08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제1절 논의의 등장배경
제2절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의 관계
제3절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관계
제4절 민주주의의 심화(democratic deepening)
제5절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적절한 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