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웹디자인/홈페이지 > 웹기획
· ISBN : 9791195072613
· 쪽수 : 207쪽
· 출판일 : 2014-04-20
책 소개
목차
웹사이트 평가에 관한 에피소드와 생각
- 웹사이트에 대한 표준은 없다
- 아마추어 같은 평가자
- 실행을 모르는 평가자
- 비상식의 시절
- 쓸모를 지나치다
- 평가 목적이 진심이라면
- 30분 만에 OK
- 돈 내고 상 받기
- 광고와 수상
- 잘못된 이해관계
- 평가 결과에 대한 잡음
- 남발 되는 상, 권위 없는 상
- 염불보다는 잿밥
- 아는 것이 힘
- 평가 결과를 공개하면 될 일
- 받았다고 기뻐하지 말고, 못 받았다고 슬퍼하지도 말자
- 상을 요구하지 마세요
- 심미성이 필수인가
- 행정기관 홈페이지가 매력도 개성도 없는 이유
- 웹사이트 평가에 참여하다
- 잘못된 일은 하지 않는 것이 맞다
- 객관성을 확보하려면
- 웹 접근성 평가는 객관적인가
- 웹사이트 평가가 사라질 수 있을까
평가 항목에 관한 이슈와 문제점
- 목적성: 홈페이지 유형의 특성을 쉽게 알 수 있는가
- 사이트 환경은 내가 실세계에서 축적한 경험과 지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는가
- 목적성: 도메인의 적절성, 사이트 컨셉트의 표현
- 일관성: 공통 브랜드 이미지 활용, 브랜드 이미지의 효율적 응용
- 독창성: 브랜드 차별화 기여, 브랜드 가치 향상
- 아이덴티티와 응용: 웹사이트에 부여된 아이덴티티의 일관성이 유지되면서 각 구성부분들의 특성에 따른 디자인적 변화가 적절하게 적용된 정도
- 웹사이트 전반에 걸쳐 CI 요소가 일관되어 있는가
- 브랜드 네이밍과 사이트 아이덴티티가 일치하는가
- 기관을 표현할 만한 문구가 메인 페이지에 있는가
- 슬로건이 사이트 성격을 정확히 대변하는가
- 인지 확산 기여도: 브랜드가 고객들에게 빠르고 폭넓게 인지될 수 있도록 브랜드 홍보와 확산에 효과적으로 기여한 정도
- 유용성: 정보 제공 범위의 적절성, 사용자 니즈에 따른 세분화
- 정보의 전문성: 사이트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가
- 유용성: 정보 범위가 관심 분야를 벗어나지 않고 있는가
- 유용성: 재방문 시 관심 분야와 일치하는 정보를 제공하는가
- 정확성: 정보의 적확성
- 공익성: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가
- 이해성: 콘텐츠 가이드 제공, 정보의 난이도에 따른 제공, 요약 정보 제공
- 다양성: 기본-핵심-부가 정보 구분, 정보 전달 방식의 다양화, 다양한 언어 제공
- 이해가능성: 초보자를 위한 별도의 콘텐츠가 있는가
- 공익성: 장애인·노인·어린이·여성·외국인을 위한 별도 코너가 있는가
- 다국어 지원: 영어 이외에 일본어, 중국어 등 기타 외국어 사이트가 구축되어 있는가
- 현재성: 콘텐츠 업데이트, 지난 콘텐츠 삭제
- 정보의 최신성: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 항목은 적절한가
- 정보의 최신성: 최신 정보를 보여 주는 방법이 적절하고 정보 전달에 효과적인가
- 정보의 최신성: 페이지 새로고침 시 변경되는 정보 항목은 적절한가
- 사이트 성격을 반영한 문체를 적용하고 있는가
- 정보 그룹핑: 사이트 특성에 맞게 그룹핑을 제공하고 있는가
- 정보 그룹핑: 사용자 목적과 심성 모형에 맞게 그룹핑을 제공하는가
- 정보의 그룹핑: 사용 빈도와 중요도를 반영하여 메뉴 순서를 제공하고 있는가
- 정보 그룹핑: 정보 간의 관련성은 명확하게 표현되고 있는가
- 정보 그룹핑: 확장성 있는 그룹핑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가
- 정보구조의 적절성: 정보들의 분류 및 구조가 논리적이며 레이블링이 이해하기 쉽고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정도
- 레이블 효율성: 사용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레이블을 사용하는가
- 레이블 효율성: 대중적 레이블과 독창적 레이블을 적절히 활용하는가
- 레이블 효율성: 학력 등에 무관하게 인지 가능한 레이블을 사용하는가
- 객관적인 용어를 사용하였는가
- 레이블 효율성: 레이블은 적절한 글자 수로 일관되게 구성되어 있는가
- 레이블 효율성: 레이블의 어미 형태는 통일되어 있는가
- 정보의 구조: 일관성 있는 레이블, 가시적인 메뉴 계층 구조
- 접근용이성: 정보를 찾기 위해 이용자가 클릭하여 들어가는 정보 깊이가 3단계를 넘지 않는지
- 정보 접근에 대한 깊이가 적정한가
- 내비게이션 방식의 적절성: 내비게이션 방식은 적절한가
- 내비게이션 방식의 적절성: 타겟 성향에 맞는 내비게이션 방식을 채택하였는가
- 내비게이션 방식의 적절성: 내비게이션은 눈에 잘 보이는 곳에 배치되었는가
- 내비게이션: 메인 화면의 적절한 배치
- 글로벌 내비게이션의 메뉴 개수가 적당한가
- 글로벌 내비게이션이 페이지마다 일관되게 구성되어 있는가
- 직관성과 내결함성: 내비게이션이 직관적이어서 사용자 실수를 유발하지 않고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실수에 충분히 대처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정도
- 메인 페이지에서 서브 페이지의 내비게이션은 편리한가
- 현재 위치 경로를 알려주고 있는가
- UI의 독창성: UI 디자인과 기능 등이 조화롭고 독창적이며 참신한 정도
- 사용성: 바로가기 메뉴, 사이트맵 등의 정보 접근성 지원기능을 제공하고 있는가
- 사이트맵의 링크는 정확한가
- 일관된 버튼 양식을 사용하고 있는가
- 게시판의 버튼 위치 및 스타일이 게시판 전반에 걸쳐 일관성이 있는가
- 게시판: 글 내용에서 이전 글, 다음 글을 볼 수 있는 기능이 있는가
- 페이지마다 검색 기능은 일관성이 있는가
- 기능 요소의 활용: 컨트롤 사용 시 사용자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돕는가
- 레이아웃 및 배치 효율성: 중요도가 높은 정보를 적극 노출하고 있는가
- 레이아웃 및 배치 효율성: 사이트 성격에 맞는 정렬 방식을 적용하는가
- 정기적으로 레이아웃 및 디자인에 변화를 주는가
- 레이아웃 및 배치의 효율성: 메인 페이지의 길이와 폭은 적절한가
- 한 페이지를 픽셀 단위로 나눌 때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이 50~80%, 내비게이션은 20% 미만, 공란은 적절하게 이용되고 있는가
- 긴 문장은 여러 페이지로 분리하여 링크로 연결되는가
-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를 위한 해상도를 고려했는가
- 해상도: 800x600, 1024x768, 1280x1024 해상도 이상에서 수평 스크롤 바가 생기지 않고 빈 여백이 생기지 않는가
- 상호작용성: 불필요한 스크롤(scroll)이 자주 눈에 띄는가
- 디자인적 독창성: 적용된 디자인의 전체 또는 부분이 새롭고 독창적으로 개발되고 활용되어 있는 정도
- 디자인 완성도: 전반적인 디자인적 성취도가 우수하고 디자인 요소들이 완결하게 구축되어 있는 정도
- 메타포: 타겟 사용자에게 맞는 메타포를 적용하고 있는가
- 메타포: 명확한 메타포를 사용하였는가
- 사용된 아이콘 또는 메뉴 명칭의 상징성이 있는가
- 레이아웃 및 배치 효율성: 정보 전달 시 효과적으로 여백을 활용하는가
- 몰입성: 첫 페이지에 접속하자마자 웹사이트에 몰입하는가
- 시각적 요소: 페이지를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있는가
- 레이아웃 및 배치 효율성: 타 웹사이트와 차별화된 이미지 제공하는가
- 레이아웃, 스타일, 색채, 이미지 사용, 아이콘 형식, 폰트 등 사이트 전체적으로 일관된 스타일을 유지하는가
- 메인 페이지와 서브 페이지 간의 조화는 잘 되어 있는가
- 콘텐츠 영역의 여백이 적절한가
- 폰트 및 컬러 시스템: 정보의 가독성을 고려한 배경색을 사용하는가
- 폰트 크기가 일정한가
- 이미지 형식의 버튼은 보여 주고자 하는 정보를 명확히 보여 주는가
- 이미지 및 동영상 활용: 이미지는 시각적으로 가시화되도록 표현되는가
- 기능 요소의 활용: 버튼 등 기능 요소는 일반적인 형태를 따르고 있는가
- 시각적 요소: 스크롤 스탑퍼가 존재하는가
- 최신 정보를 구분할 만한 그래픽 처리(깜박임, 아이콘, 컬러 등)가 되어 있는가
- 그래픽 디자인의 효율성: 시각적인 그래픽 디자인 요소가 효과적으로 개발되고 적용되어 있는 정도
- 유저 인터페이스 구성 시 로딩 속도를 고려하였는가
- 웹 페이지 로딩 속도: 단위 웹 페이지 HTML 크기로 로딩 속도 산출(페이지당 70kbyte 이내 권고)
- 그림 파일 로딩속도: 30kb 초과 그림 파일의 크기 관리 수준을 테스팅(이미지 파일 하나의 크기는 10~20kb 권고)
- 페이지는 프레임을 이용하지 않았는가
- 상호작용성: 연락처 정보 제공, 버튼·메뉴·승인·전송·에러에 대한 피드백
- 기술적 독창성: 웹사이트에 적용된 기술 및 기능이 새롭고 독창적이며 우수한 정도
- 검색엔진은 AND/OR 연산자를 이용하지 않고, 검색 범위를 최소로 지정하고 있는가
- 2개 이상의 항목으로 범위별 검색이 가능한가
- 애니메이션 기법과 비디오 이미지(동영상)는 적절한 곳에 최소로 이용되었는가
- 마케팅: 마케팅 전략의 효율적 활용, 마케팅 효과를 위한 고객 관리 효율성, 마케팅을 위한 독창적 요소 제공
- 마케팅: 가입 시 고객 성향을 파악하는가
- 방문자 중 회원 등록은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가
- 다양성: 고객 상담 채널 확보, 고객 참여 채널 다양화, 채널 활성화 정도
- 대응 능력: 문의, 상담에 대한 답변이 신속한가
- 독창성과 차별성: 고객 서비스를 위한 웹사이트의 활용 방법과 전략적 요소들이 참신하고 독창적이어서 차별화에 성공한 정도
- 인터넷 홍보: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는가
- 프로모션의 합목적성: 해당 웹사이트가 목표 고객 및 웹사이트의 프로모션 목적에 적합하게 기획되고 구현되어 있는 정도
- 목표달성과 충실도: 해당 프로모션이 목표한 마케팅 결과를 정확하고 충실하게 달성한 정도
- 사용자 참여도: 프로모션이나 이벤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가
- 참여율과 부가 기여도: 해당 프로모션에 대한 목표 고객의 참여도가 높은 정도 및 해당 프로모션이 브랜드 홍보 등 부가적인 목적에 충실하게 기여한 정도
- 고객 만족 부가 서비스: 고객이 지속적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고객을 위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 만족을 실현한 정도
- 인터넷 홍보: 포털 사이트 등과의 온라인 프로모션을 실시하는가
- 마케팅: My page 기능이 있는가
-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다양성 및 활성화: FAQ를 제공하는가
-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다양성 및 활성화: FAQ는 세분화되어 있는가
- 이메일 회원 서비스는 주기적으로 제공하고 있는가
- 온라인 웹진 서비스는 주기적으로 제공하고 있는가
- 거래 과정: 24시간 거래가 가능한가
- 거래 과정: 결제 방식이 다양한가
마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