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CentOS 리눅스 구축관리실무

CentOS 리눅스 구축관리실무

(개정판)

정우영 (지은이)
수퍼유저코리아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35,000원 -0% 0원
0원
3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0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CentOS 리눅스 구축관리실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CentOS 리눅스 구축관리실무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리눅스/유닉스 프로그래밍
· ISBN : 9791195178636
· 쪽수 : 1088쪽
· 출판일 : 2016-03-01

책 소개

일반적인 리눅스 실무서적의 표준화된 리눅스 기반의 서적이 아닌, CentOS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CentOS 기준으로 리눅스의 여러 서비스(WEB서버, DB서버, 메일서버, 파일서버등)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실무중심의 서적이다.

목차

Part 1. 리눅스 일반 및 CentOS 구축
Chapter 01. 리눅스의 이해 / 28
1.1 리눅스의 특징 및 장단점 / 28
1.1.1 리눅스란 무엇인가? / 28
1.1.2 리눅스의 특징 / 29
1.1.3 리눅스의 장단점 / 31
1.1.4 root의 개념 / 34

1.2 리눅스 디렉토리 종류와 특징 / 34
1.2.1 디렉토리 구조 / 34
1.2.2 디렉토리의 종류와 특징 / 35

1.3 다른 운영체제와의 차이점 / 37
1.3.1 윈도우즈와 다른 점 / 37
1.3.2 유닉스와 다른 점 / 38
1.3.3 리눅스의 철학적 배경 / 39

1.4 국내외 리눅스 배포판의 특징 / 40
1.4.1 리눅스 배포판 / 40
1.4.2 국내외 주요 리눅스 배포판 / 40

Chapter 02. CentOS 7 설치 / 45
2.1 설치 전 고려사항 / 45
2.1.1 CentOS 하드웨어 지원 확인 / 47
2.1.2 파티션(Partition) 이해 / 50
2.1.3 설치 계획서 작성 / 53
2.1.4 CentOS 설치 준비 / 54

2.2 CentOS 설치 / 57
2.2.1 CentOS DVD로 부팅 / 57
2.2.2 DVD 미디어 테스트 / 60
2.2.3 언어 선택 / 60
2.2.4 설치할 소프트웨어 선택 / 61
2.2.5 설치 대상 선택 및 파티셔닝 / 68
2.2.6 Kdump 설정 / 75
2.2.7 네트워크 및 호스트 이름 설정 / 76
2.2.8 설치 진행 및 사용자 설정 / 79
2.2.9 설치 완료 / 83
2.2.10 라이센스에 동의 / 84

Chapter 03. CentOS 시작, 종료, 둘러보기 / 87
3.1 부팅 / 87
3.1.1 GRUB 부트로더 화면 / 87
3.1.2 부팅과정 / 90

3.2 로그인 / 91

3.3 X윈도우 / 94
3.3.1 X윈도우의 개념 및 특징 / 94
3.3.2 X윈도우 설정(Gnome) / 97
3.3.3 X윈도우 관련 용어 / 100
3.3.4 데스크탑 환경 / 103

3.4 터미널 / 108

3.5 CentOS 종료 / 111
3.5.1 X윈도우에서 종료 / 111
3.5.2 원격 접속 또는 터미널 접속 시 / 112

Chapter 04. 원격접속 / 113
4.1 VNC / 114
4.1.1 VNC 서버 설정 / 114
4.1.2 VNC 원격접속(Windows) / 121
4.1.3 VNC 원격접속 (Linux) / 123

4.2 SSH / 124
4.2.1 SSH 서버 설정 / 124
4.2.2 SSH 원격접속(Windows) / 125
4.2.3 SSH 원격접속(Linux) / 127

4.3 Telnet / 128
4.3.1 telnet 서버 설정 / 129
4.3.2 telnet 원격접속(Windows) / 130
4.3.3 telnet 원격접속(Linux) / 131


Part 2. CentOS 기본 설정 및 관리
Chapter 05. CentOS 기본 설정 / 134
5.1 키보드 및 마우스 설정 / 135
5.1.1 키보드 설정 / 135
5.1.2 마우스 설정 / 138

5.2 날짜 및 시간설정 / 139
5.2.1 날짜 및 시간 프로그램(GUI) / 139
5.2.2 timedatectl 명령어를 사용한 설정 / 140
5.2.3 date 명령어를 이용한 시스템 시계 설정 / 142
5.2.4 hwclock 명령어를 이용한 시스템 시계 설정 / 143
5.2.5 시간대(Time Zone) 변경 / 144
5.2.6 rdate를 이용한 시간 동기화 / 145

5.3 로케일 설정 / 145
5.3.1 localectl 명령어를 이용한 로케일 설정 / 147
5.3.2 locale으로 로케일 확인 / 148

Chapter 06. CentOS 네트워크 / 150
6.1 네트워크의 개념 / 151
6.1.1 네트워크의 개요와 통신망 구조 / 151
6.1.2 네트워크 장비 / 160
6.1.3 통신 프로토콜 / 167
6.1.4 IP주소와 도메인 / 179

6.2 네트워크 설정 / 184
6.2.1 Ethernet 설정 / 187
6.2.2 Hostname 설정 / 197
6.2.3 네트워크 Bonding 설정 / 202

6.3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 222
6.3.1 ip : 통합 네트워크 설정 프로그램 / 223
6.3.2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및 확인 / 225
6.3.3 netstat : 인터페이스 통계 및 기타 정보 확인 / 226
6.3.4 route : 라우팅 테이블 확인 및 설정 / 229
6.3.5 traceroute : 라우팅 경로 확인 / 231
6.3.6 tracepath : 경로 확인 / 232
6.3.7 ping : 원격 호스트 응답 테스트 / 232
6.3.8 arp : ARP 테이블 관리 / 233
6.3.9 nslookup : 도메인 네임 서버 질의 / 233
6.3.10 dig : 도메인 네임 서버 질의 / 234
6.3.11 host : 도메인 네임 서버 질의 / 235

Chapter 07. 사용자와 그룹 관리 / 236
7.1 사용자 관리 / 237
7.1.1 사용자 리스트 확인 / 237
7.1.2 사용자 추가 / 239
7.1.3 사용자 정보 수정 / 242
7.1.4 사용자 삭제 / 250

7.2 그룹관리 / 251
7.2.1 그룹 리스트 확인 / 251
7.2.2 그룹 추가 / 252
7.2.3 그룹 정보 수정 / 253
7.2.4 그룹 삭제 / 255

7.3 관리자 권한 전환 / 256

Chapter 08.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 260
8.1 파일 브라우저 노틸러스 / 261

8.2 파일관리자 mc(Midnight Commander) / 265

8.3 명령어의 공통부분 및 사전 지식 / 270
8.3.1 명령어 구조 / 270
8.3.2 와일드카드 이용법 / 271
8.3.3 리다이렉션(redirection) / 272
8.3.4 파이프라인(Pipeline) / 274
8.3.5 기타(||, &&, ;, &) / 276
8.3.6 디렉토리 구조 / 278
8.3.7 파일(File) / 279
8.3.8 파일의 접근 권한 및 소유권 / 279

8.4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명령어 / 285
8.4.1 pwd, realpath : 현재 작업 디렉토리 위치 확인 / 285
8.4.2 cd : 작업 디렉토리의 이동 / 286
8.4.3 ls : 파일목록 보기 / 288
8.4.4 tree : 파일 및 디렉토리 트리 보기 / 290
8.4.5 touch : 파일 생성, 날짜 시간정보 변경 / 291
8.4.6 mkdir : 디렉토리 생성 / 292
8.4.7 cp :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 / 293
8.4.8 mv : 파일 및 디렉토리 이동, 이름 변경 / 295
8.4.9 rename : 파일 및 디렉토리 이름 변경 / 298
8.4.10 rm :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 / 298
8.4.11 rmdir : 디렉토리 삭제 / 300
8.4.12 find : 파일 및 디렉토리 검색 / 301
8.4.13 du : 파일 및 디렉토리 용량 확인 / 304
8.4.14 file : 파일 종류 확인 / 306
8.4.15 stat : 파일 및 파일 시스템 상태 표시 / 307
8.4.16 tar : 파일 및 디렉토리 묶기 / 308
8.4.17 gzip : 파일 압축 / 309
8.4.18 bzip2 : 파일 압축 / 311
8.4.19 xz : 파일 압축 / 312
8.4.20 chmod : 파일 권한 바꾸기 / 313
8.3.21 chown : 파일 소유자 변경 / 316
8.4.22 chgrp : 소유 그룹 변경 / 317
8.4.23 umask : 파일 퍼미션 마스크 / 318

Chapter 09. 파일 편집 / 320
9.1 gedit 텍스트 편집기(GUI) / 321

9.2 vi 텍스트 편집기 / 323

9.3 nano 텍스트 편집기 / 332

9.4 mcedit 텍스트 편집기 / 333

9.5 파일 편집 명령어 / 334
9.5.1 cat : 파일 내용 출력 / 334
9.5.2 more : 파일 내용 끊어 보기 / 335
9.5.3 less : 파일 내용 보기 및 검색 / 337
9.5.4 head : 파일 앞부분 출력 / 337
9.5.5 tail : 파일 뒷부분 출력 / 338
9.5.6 cmp : 파일 내용 비교 / 339
9.5.7 comm : 파일 내용 비교 / 340
9.5.8 diff : 파일 내용 비교 / 340
9.5.9 wc : 파일 내용 통계 / 342
9.5.10 cut : 파일 각 라인 필드 출력 / 343
9.5.11 grep : 패턴 매칭 라인 출력 / 344
9.5.12 sort : 파일 내용 정렬 / 346
9.5.13 split : 파일 자르기 / 348

Chapter 10. 프로세스 관리 / 350
10.1 프로세스의 이해 / 350
10.1.1 프로세스의 개념, 유형 및 생성 / 350
10.1.2 시그널의 개요 / 354
10.1.3 다중작업, 포그라운드, 백그라운드 및 데몬의 이해 / 355

10.2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 / 361
10.2.1 프로세스 현황 출력 / 361
10.2.2 프로세스 제어 / 368

Chapter 11. 디스크 관리 / 375
11.1 파일 시스템 / 376
11.1.1 파일 시스템의 종류 / 377

11.2 Gnome-disks 그놈 디스크 관리도구 / 379
11.2.1 디스크 벤치마킹 / 380
11.2.2 SMART 데이터 확인 및 자체 검사 / 381
11.2.3 드라이브 설정 / 382
11.2.4 파티션 만들기 & 포맷 / 382
11.2.5 파티션 편집 / 383
11.2.6 파일 시스템 편집 / 384
11.2.7 마운트 옵션 / 384
11.2.8 마운트 / 385
11.2.9 마운트 확인 / 385

11.3 디스크 관리 명령어 / 386
11.3.1 hdparm : 디스크 벤치마킹 및 설정 / 386
11.3.2 smartctl : SMART 데이터 확인 및 테스트 / 388
11.3.3 parted : 파티션 생성 & 삭제 / 391
11.3.4 mkfs : 파일 시스템 생성(포맷) / 397
11.3.5 mkswap : 스왑 생성 / 399
11.3.6 e2label, xfs_admin -L : 파일 시스템 레이블 수정 / 399
11.3.7 mount : 마운트 / 400
11.3.8 umount : 마운트 해제 / 403
11.3.9 df : 사용 중인 파일시스템 용량 확인 / 404
11.3.10 fsck, xfs_repair : 파일 시스템 검사 및 오류 수정 / 406

11.4 디스크 사용량 분석 / 409
11.4.1 디스크 사용량분석(Baobab) / 409
11.4.2 du : 디스크 사용량 분석 / 410

11.5 LVM / 412
11.5.1 LVM 개요 / 412
11.5.2 SSM / 414
11.5.3 LVM 명령어 / 420

11.6 쿼타(Quota) 설정 / 432
11.6.1 XFS 쿼타(Quota) / 432
11.6.2 ext 쿼타(Quota) / 439

Chapter 12. 소프트웨어 관리 / 446
12.1 그놈 소프트웨어 관리(GUI) / 446
12.1.1 패키지 검색 / 448
12.1.2 패키지 설치 / 449
12.1.3 패키지 삭제 / 449

12.2 소프트웨어 업데이트(GUI) / 450

12.3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 / 451

12.4 RPM 패키지 관리 및 사용 / 462
12.4.1 RPM(RPM 패키지 관리자)의 개요 / 462
12.4.2 RPM 패키지 설치 및 관리 / 465

12.5 소스코드 컴파일 및 설치 / 471
12.5.1 설치 / 471
12.5.2 제거 / 473

Chapter 13. 네트워크 보안설정 / 474
13.1 firewalld / 476
13.1.1 firewalld에서 사용되는 용어 / 476
13.1.2 방화벽 GUI 설정(firewall-config) / 478
13.1.3 방화벽 CUI 설정(firewall-cmd) / 489
13.2 iptables 서비스 / 496
13.2.1 firewalld를 내리고 iptables 서비스 올리기 / 497
13.2.2 방화벽 GUI(system-config-firewall) 설정 / 498
13.2.3 방화벽 TUI(system-config-firewall-tui) 설정 / 503
13.2.4 iptables 고급 설정 / 511

13.3 TCP wrapper / 520
13.3.1 TCP wrapper를 이용한 기본 접근제어 / 521


Part 3. 서비스 구축 및 설정
Chapter 14. 시스템 및 서비스 관리(systemd) / 524
14.1 CentOS7 부팅과정 / 525

14.2 서비스 관리 / 528
14.2.1 자동 시작 서비스 관리 / 529
14.2.2 서비스 시작/상태확인/재시작/종료 / 530

14.3 Target(런레벨)관리 / 531
14.3.1 현재 타겟(런 레벨) 확인 / 532
14.3.2 Target(런레벨) 변경 / 532

14.4 원격 시스템 systemd 제어 / 533

14.5 systemd 유틸리티 / 534
14.5.1 systemd-cgtop : 서비스 그룹별 모니터링 / 534
14.5.2 systemd-cgls : Cgroup 트리 확인 / 535
14.5.3 systemd-analyze : 각 유닛의 시작 시간 분석 / 536
14.5.4 journalctl : systemd 로그 검색 / 538

14.6 systemadm : systemd GUI 관리자 / 540

Chapter 15. 웹 & WAS 서비스 / 542
15.1 웹서비스의 이해 / 543
15.1.1 웹서비스의 정의 / 543
15.1.2 웹서비스에 필요한 구성 요소 및 작동 원리 / 545

15.2 웹서비스의 운영 / 548
15.2.1 Apache 웹서버 설치 / 548
15.2.2 APM(Apache, PHP, MySQL) 컴파일 설치 / 551
15.2.3 웹서버 설정 / 570
15.2.4 웹서버 작동 확인 / 600
15.2.5 웹서버 SSL 설정 / 602
15.2.6 운영 팁 및 추가 모듈 / 613

15.3 PHP / 619
15.3.1 Apache웹 서버에 PHP연동 / 619
15.3.2 php 설정 / 619
15.3.3 PHP 연동 확인 / 621

15.4 WAS(Tomcat) / 622
15.4.1 JDK 설치 / 623
15.4.2 tomcat 설치 및 실행 / 624
15.4.3 Apache와 Tomcat 연동 / 627

Chapter 16. 데이터베이스 / 631
16.1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 631

16.2 MySQL / 633
16.2.1 MySQL 운영 / 634
16.2.2 연동 테스트를 위한 DB 및 사용자 생성 / 636
16.2.3 DB 연동 테스트 / 637

16.3 MariaDB / 638
16.3.1 MariaDB 설치 / 639
16.3.2 MariaDB 운영 / 640
16.3.3 연동 테스트를 위한 DB 및 사용자 생성 / 641
16.3.4 DB 연동 테스트 / 642

16.4 postgreSQL / 643
16.4.1 PostgreSQL 설치 / 644
16.4.2 PostgreSQL 운영 / 644
16.4.3 연동 테스트를 위한 DB 및 사용자 생성 / 646
16.4.4 PHP에 PostgreSQL모듈 올리기 / 647
16.4.5 DB 연동 테스트 / 648

16.5 MongoDB(NoSQL) / 649
16.5.1 MongoDB 설치 / 650
16.5.2 MongoDB 운영 / 652
16.5.3 연동 테스트를 위한 DB 및 사용자 생성 / 653
16.5.4 PHP에 Mongo 모듈 설치 / 654
16.5.5 DB 연동 테스트 / 656

Chapter 17. 인증관련 서비스 / 658
17.1 인증관련 서비스의 이해 / 658
17.1.1 인증 서비스의 정의 / 658
17.1.2 인증 서비스의 구조 / 659

17.2 인증관련 서버 관리 / 663
17.2.1 NIS 설정 및 고급 활용 / 663
17.2.2 LDAP 설정 및 고급활용 / 677

Chapter 18. 파일관련 서비스 / 685
18.1 SAMBA / 685
18.1.1 SAMBA 서버의 동작 구조 / 686
18.1.2 SAMBA 서버 설치 / 687
18.1.3 SAMBA 시작 및 종료 / 687
18.1.4 SAMBA 서버 설정 / 688
18.1.5 삼바(Samba) 서버 접속 클라이언트 / 689
18.1.6 SAMBA서버 기타 / 695

18.2 NFS(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 697
18.2.1 NFS의 동작구조 / 699
18.2.2 NFS 서버 설치 / 700
18.2.3 NFS서버 시작 및 종료 / 7000
18.2.4 NFS서버 설정 / 701
18.2.5 NFS 클라이언트 / 701

18.3 FTP서버(vsftpd) / 703
18.3.1 VSFTPD의 동작구조 / 703
18.3.2 FTP 서버 설치 / 704
18.3.3 FTP서버 시작 및 종료 / 704
18.3.4 FTP 클라이언트 / 705
18.3.5 FTP서버(vsftpd) 설정 및 운영 / 709

Chapter 19. 메일관련 서비스 / 714
19.1 메일관련 서비스의 이해 / 714
19.1.1 메일 서비스의 정의 / 714
19.1.2 메일 서비스 구조 / 716

19.2 Mail서버(Postfix, Dovecot) / 720
19.2.1 메일 서버 설치 / 720
19.2.2 Postfix 설정 / 720
19.2.3 Dovecot 설정 / 723
19.2.4 메일서버 시작 및 종료 / 725
19.2.5 메일 클라이언트(MUA) / 726
19.2.6 메일 서버 기타 설정 및 운영 / 730
19.2.7 SPAM 메일 차단 / 739

Chapter 20. 가상화 관리 / 741
20.1 가상화 서비스의 이해 / 741
20.1.1 가상화의 종류 / 742
20.1.2 리눅스 기반 가상화 서비스 종류 및 특징 / 743

20.2 가상화 서비스 구축 / 748
20.2.1 KVM 구축 / 748
20.2.2 가상머신 생성 및 게스트 OS 설치 / 754

20.3 가상화 서비스의 운영 / 763
20.3.1 게스트 운영 체제 시작 및 종료 / 763
20.3.2 시스템 리소스 관리 / 764

Chapter 21. 기타 서비스 / 770
21.1 DNS 관리 / 770
21.1.1 DNS의 이해 / 770
21.1.2 DNS 구축 / 777

21.2 PROXY 관리 / 795
21.2.1 PROXY 서버의 이해 / 795
21.2.2 PROXY서버 구축 / 799

21.3 DHCP 관리 / 804
21.3.1 DHCP의 이해 / 804
21.3.2 DHCP서버 구축 / 807

21.4 VNC 관리 / 814
21.4.1 VNC의 이해 / 814
21.4.2 VNC서버 구축 / 816
21.4.3 VNC 원격접속(Windows) / 823
21.4.4 VNC 원격접속(Linux) / 824

21.5 NTP 관리 / 826
21.5.1 NTP의 이해 / 826
21.5.2 NTP서버 구축 / 828


Part 4. CentOS 운영/관리
Chapter 22. 모니터링 / 837
22.1 종합 성능 모니터링 도구 / 839
22.1.1 시스템 정보(gnome-system-monitor) : GUI / 839
22.1.2 top : TUI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 / 840
22.1.3 htop : 향상된 top / 842
22.1.4 glances : 더욱 향상된 top / 844
22.1.5 vmstat : 시스템 전반적인 사용량 확인 / 848
22.1.6 Dstat : 시스템의 다양한 상태 확인 / 854
22.1.7 sar : 시스템 정보 수집, 리포트, 저장 / 856

22.2 프로세스 모니터링 도구 / 869
22.2.1 pstree : 프로세스 트리 출력 / 869
22.2.2 ps : 프로세스 상세정보 / 871
22.2.2 pidstat : 과부하 프로세스 조회 / 873
22.2.4 strace : 프로세스의 시스템 콜 및 시그널 추적 / 878
22.2.5 lsof : 열린 파일 및 소켓 조회 / 882

22.3 메모리 모니터링 도구 / 889
22.3.1 free : 메모리 사용량 조회 / 889
22.3.2 /proc/meminfo / 891
22.3.3 slabtop / 892

22.4 네트워크 모니터링 / 894
22.4.1 iptraf-ng : 트래픽 모니터링 / 894
22.4.2 ethtool : 네트워크 인테페이스 확인 및 설정 / 898
22.4.3 netsta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통계 및 기타 정보 확인 / 904

22.5 전력 모니터링 / 908
22.5.1 PowerTOP / 908
22.5.2 cpupower / 914

22.6 블록 디바이스 모니터링 / 917
22.6.1 df : 디바이스 사용량 확인 / 917
22.6.2 iotop / 918
22.6.3 iostat : 각 디바이스별 IO조회 / 919

22.7 파일시스템 모니터링 / 920
22.7.1 lsblk / 920
22.7.2 findmnt : 트리형태 마운트 된 내역 출력 / 923
22.7.3 ext4 파일 시스템 정보 확인 : tune2fs -l / 926
22.7.4 xfs 파일 시스템 정보 확인 : xfs_info / 927

22.8 하드웨어 정보 확인 / 928
22.8.1 lspci : PCI 디바이스 확인 / 928
22.8.2 lsusb : USB 장치 확인 / 929
22.8.3 lscpu : CPU 정보 확인 / 931
22.8.4 tmon : 온도 확인 및 냉각장치 조절 / 931

Chapter 23. 정기 점검 / 933
23.1 서버 정보 확인 / 935
23.1.1 네트워크 정보 확인 / 935

23.2 하드웨어 정보 확인 / 936
23.2.1 서버 모델 확인 / 936
23.2.2 CPU 모델 확인 / 937
23.2.3 메모리 정보 확인 / 937
23.2.4 디스크 정보 확인 / 938

23.3 소프트웨어 정보 확인 / 940
23.3.1 OS 정보 확인 / 940
23.3.2 커널 버전확인 / 940
23.3.3 아키텍쳐 확인 / 940
23.3.4 웹서버 종류 및 버전 확인 / 940
23.3.5 WAS 종류 및 버전 확인 / 942
3.3.6 DB서버 종류 및 버전 확인 / 943
23.3.7 메일서버 종류 및 버전 확인 / 944

23.4 자원 점검 / 945
23.4.1 서버 가동일 수 : uptime / 945
23.4.2 15분 평균 부하 점검 : uptime / 945
23.4.3 메모리 사용량 점검 : free / 945
23.4.4 총 프로세스 수 : ps -efL / 946
23.4.5 SWAP사용량 : free / 946
23.4.6 CPU 사용량 : sar / 946

23.5 디스크 점검 / 947
23.5.1 80% 이상 파티션 점검 : df / 947
23.5.2 파일 시스템 오류 점검 : tune2fs / 948
23.5.3 SMART 값 점검 : smartctl / 948
23.6 네트워크 점검 / 950
23.6.1 Collisions 점검 / 950
23.6.2 Packet Errors 점검 / 950

Chapter 24. Backup 및 복구 / 952
24.1 로컬 압축 백업 / 952

24.2 요일별 rsync 백업 / 955

24.3 일정기간 rsync 백업 / 957

24.4 rsync 변경파일 따로 보관 / 959

24.5 MySQL 시간별 Dump / 962

Chapter 25. 로그 확인 및 관리 / 965
25.1 로그 점검 / 965
25.1.1 시스템 로그 : logview(GUI) / 965
25.1.2 journalctl : systemd 로그 검색 / 967
25.1.3 시스템 로그 파일 / 969
25.1.4 각종 로그파일 / 970
25.1.5 통합 로그 분석 : Logwatch / 971
25.1.6 실시간 웹로그 분석 프로그램 : GoAccess / 975

25.2 로그 관리 / 988
25.2.1 rsyslog 관리 / 988
25.2.2 로그 로테이트(logrotate) / 994

25.3 로그서버 / 998
25.3.1 로그 서버 구축 / 999
25.3.2 Syslog 전송 클라이언트 설정 / 1003
25.3.3 저장된 로그 확인 / 1004
25.3.4 LogAnalyzer 구축 / 1007

Chapter 26. 자동화 / 1015
26.1 쉘 스크립트 / 1015
26.1.1 Apache 웹서버 자동 재시작 스크립트 / 1016
26.1.2 MariaDB(MySQL) DB관리 유틸리티 / 1020
26.1.3 MariaDB(MySQL) DB백업 유틸리티 / 1025
26.1.4 ping을 이용한 서버 모니터링 / 1029
26.1.5 트래픽 점검(측정) 유틸리티 / 1032
26.1.6 요일별 차등백업 프로그램 / 1037

26.2 Cron : 스케줄에 따라 커맨드 실행 / 1040
26.2.1 Cron 설정 내역 확인 / 1041
26.2.2 Cron 설정 / 1041

26.3 LSCP(Linux System Check Program) / 1046
26.3.1 LSCP(Linux System Check Project) 소개 / 1047
26.3.2 사용법(점검 결과 확인) / 1056

저자소개

정우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에스유소프트 (susoft.kr) 기술이사 리눅스마스터 1급, 2급 추천교재 공동집필(2014년) 리눅스마스터 1급, 2급 전문위원(출제/감수)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2005년~) SULinux 2.0, 2014 매뉴얼 집필 SULinux 1.0, 1.5, 2.0, 2014 개발 총괄(www.sulinux.net, 2003년~) SSU, LSCP, LSMP, CCMT외 다수 오픈소스 프로젝트 개발 및 운영(lscp.sf.net외, 2009년~) 리눅스 대량 시스템 구축 및 운영(5,000대 리눅스 서버 구축관리, 2000년~) 공군교육 사령부 리눅스 교육 및 다수 리눅스포털 기술세미나 발표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