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논술/면접/수시 > 입시자료집
· ISBN : 9791195489701
· 쪽수 : 835쪽
· 출판일 : 2015-03-26
책 소개
목차
제1부 수시지원 성공전략
제1장 수시 A - Z까지
I. 수시 조망 12
1. 전체 모집인원의 감소 13
2. 학생부 중심전형 비중 증가 13
3. 논술·적성고사 시행 대학 수 및 모집인원 감소 14
4. 특별전형 모집인원의 지속적인 증가
5. 지역인재특별전형 모집인원 증가 15
Ⅱ. 2016학년도 대입전형 기본 사항 16
1. 2016학년도 전형 유형별, 지역별 모집인원(수시) 16
2. 2016학년도 전형 유형별, 지역별 모집인원(정시) 17
Ⅲ. 전형 유형별 지원 전략 17
1. 학생부교과 중심 전형 17
2. 학생부종합 전형 21
3. 논술전형 25
4. 2016학년도 수시모집 지역별, 전형유형별 대학 모집인원 29
5. 정원 외 특별전형 총학생수 기준 34
제2장 학생부교과전형
1. 학생부교과전형이란? 35
2.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방법 40
3. 학생부 반영비율 및 반영방법 41
4. 내신 등급제 44
5. 내신 실질반영비율 44
6. 학생부교과전형의 특징 45
7. 학생부교과전형 대비 전략 45
8. 학생부교과전형 지원 전략 46
제3장 학생부종합전형
제 1 화 학생부종합전형 전략 48
Ⅰ. 학생부종합전형이란 48
Ⅱ. 대입 학생부 전형 자기소개서·교사추천서 유의사항 54
Ⅲ. 학생부종합전형 대비전략 55
Ⅳ.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전략 55
제 2 화 자기소개서 작성법 56
Ⅰ. 대입 자기소개서 글감의 창고는‘학교생활기록부’ 56
1. 학교생활기록부의 의미와 중요성 56
2. 학교생활기록부 항목별 평가 방안 55
Ⅱ. 경쟁력 있는 대입 자기소개서 작성법 60
1. 대입 자기소개서 평가 방식을 이해하라.56
2. 대입 자기소개서 공통양식 4개 문항 내용이 서로 연계되도록 구성 61
3. 나열이 아닌 활동, 관심에 대한 구체성을 입증하라! 61
4. 평가자가 읽기 좋게, 이해하기 편하게 구성하자 62
5. 사정관에게 어필할 수 있는 자신만의 스토리텔링 소재를 만들어라. 63
6. 단점도 솔직하게 기술하고 있는 대입 자기소개서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63
7. 고치고, 고치고 또 고쳐라. 63
8. 금지사항을 기록한 경우 64
9. 대학교육협의회 자기소개서 공통양식을 통해서 본 작성법 65
10. 대학교육협의회 자기소개서 공통문항 분석 65
11. 자기소개서 문항별 작성법 66
12. 학생부종합전형으로 합격한 학생들의 자기소개서 사례 70
제 3 화 학교생활기록부 기록 방법 72
Ⅰ. 학교생활기록부 왜 중요한가? 72
1. 학교생활기록부에 대한 사람들의 결정적 오해 10 가지 73
2. 쓸모 있는 기록을 위한 소중한 제안 74
Ⅱ. 학교생활기록부의 세부적인 기입요령 76
1. 인적사항 76
2. 학적사항 76
3. 출결상황 76
4. 수상경력 76
5.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78
6. 진로희망사항 78
7.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79
8. 교과학습발달사항 83
9. 독서활동상황 84
10.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85
제 4 화 면접 및 구술고사 대비와 전략 90
Ⅰ. 면접 및 구술고사의 이해 91
1. 면접 및 구술고사란? 91
2. 모집 시기별 반영 비율 94
3. 면접 및 구술고사 평가 항목 95
4. 면접의 유형과 방법 97
5. 주요대학 면접고사 실시 방법 98
Ⅱ. 면접 및 구술고사의 준비 102
1. 바람직한 태도와 기본자세 102
2. 면접에 대한 이해와 기본 전략 세우기 103
Ⅲ. 면접 및 구술고사 예상문제 106
1. 면접.구술고사 대비 주요 시사 이슈 107
2. 각 과목별 출제경향 및 예상문제 107
제4장 대학 진학 컨설팅 가이드
Ⅰ. 시기별 진학컨설팅 전략 122
Ⅱ. 관계 형성과 학생 이해 상담 123
1. 관계 형성 전략 123
2. 학생 이해 124
Ⅲ. 개인별 적합 전형 찾기 상담 124
1. 대학의 전형 및 주요 전형요소 124
2. 학생 개인별 적합 전형 찾기 125
Ⅳ. 내신 성적 관리 상담 128
Ⅴ. 수시모집 지원 가능성 상담 128
1. 6월 수능 모의평가 결과를 통한
정시모집 지원 가능 대학 추정 128
2. 수시모집 지원 대학 정리 129
제5장 입시용어 총정리 / 130
제6장 수시지원전략 학생별 사례 / 133
Ⅰ. 들어가기 133
Ⅱ. 서울대와 한양대에서 나타난 변화 134
Ⅲ. 수시상담사례 134
제 2 부 논술/적성/특별/의치한의대 합격전략
제1장 논술전형의 이해와 성공 전략
<인문(통합)논술과 수리(과학)논술>
Ⅰ. 논술 전형의 이해 148
1. 논술 전형의 특징 148
2. 논술 전형의 선택 149
3. 출제에 맞춘 준비 방법 150
4. 2016학년도 논술 전형 154
Ⅱ. 논술 성공 전략 161
1. 원고지 쓰기의 기본 원칙 161
Ⅲ. 인문(통합)논술의 문제 해결의 과정 168
Ⅳ. 수리(과학)논술의 문제 해결의 과정 186
1. 수리논술 186
2. 과학논술 193
Ⅴ. 동아리 활동을 통한 논술대비 200
1. 계획하기 200
2. 진행하기 201
3. 정리하기 204
제2장 2016학년도 전공적성전형 분석
Ⅰ. 전공적성 전형이란 무엇인가? 206
1. 전공적성 전형의 개요 206
2. 전공적성 전형의 현황 206
3. 전공적성 검사의 영역 207
Ⅱ. 전공적성 전형의 일반분석 208
1. 전공적성 전형의 일정(2015학년도)과 경쟁률 208
2. 전공적성 전형방법과 인원수에 따른 분류 209
3. 전공적성 시험 전형에 따른 분류 211
4. 대학별 내신분석 비교표 212
Ⅲ. 대비전략 212
1. 단위 학교 적성 프로그램 212
2. 개인별 준비사항 213
제 3장 특별전형(농어촌/기초생활/특성화/고른기회) 합격전략
제 1 화 농어촌학생특별전형 214
Ⅰ. 농어촌 학생 특별전형 214
1. 지원자격 215
Ⅱ. 수시 학생부교과전형 실시대학교 216
1. 지역별 유형별 분류 216
2. 주요대학 전형방법 217
3. 수능최저기준(인문계) 218
4. 수능최저기준(자연계) 219
5. 대학별 수능최저기준 220
Ⅲ. 수시 학생부종합전형 실시대학교 221
1. 유형별 분류 221
2. 주요대학 전형방법 222
3. 수능최저기준 223
4. 대학별 수능최저기준 224
Ⅳ. 정시 농어촌 학생 특별전형 실시대학 224
1. 가군 225
2. 나군 226
3. 다군 226
4. 수시 미충원시 정시 이월 대학교 227
5. 수도권 대학교 정시 농어촌 누적배치표 228
6. 정시 농어촌전형 수능최저기준 228
제 2 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특별전형 229
1. 지원자격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조
제2호에 따른 수급자 및 자녀 229
2. 수시 학생부교과 전형 실시대학교 229
3. 수시 학생부종합 전형 실시대학교 230
4. 정시 실시대학 234
제 3 화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 234
1. 학생부교과 전형 실시 대학교 235
2. 학생부 종합 전형 실시 대학교 237
제 4 화 고른기회전형 239
1. 대학교에서 부여하는 지원자격 종류 239
2. 수시 지원자격별 지원가능 대학교(전형) 240
3. 유형별 분류 240
제 5 화 총론: 농어촌전형, 지원전략 잘 짜면 승산있다! 251
제4장 2016학년도 의학계열 대입전형 변동사항 1. 지역인재 전형 선발 인원 늘어나 252
2. 일부 대학 수능 최저학력 기준 요건 변경 253
3. 정시에서 수능 비중 높아지고 수학과 과탐 비중 다소 늘어나 253
4. 2015학년도 전국 의/치/한 + 연·고대 입시결과 비교표 253
5. 의학계열 2015학년도 VS 2016학년도 대입 전형 방법 비교 254
제3부 학과별 졸업 후 진로
제1장 학과별 졸업 후 진로
Ⅰ. 전공과 적성의 이해 264
1. 전국 대학 학과수 1,000개 시대 265
2. 대학생 중 절반 “전공과 적성 안 맞아” 267
Ⅱ. 152개 학과 총정리 275
<학과특성, 흥미와 적성, 졸업 후 진로, 졸업 후 연봉, 유사학과>
Ⅲ. 대학 학과별 취업률 349
<198개 대학, 150개 전문대 학과별 취업률>
제4부 4년제 대학
- 33만 DB를 활용한 등급컷 제공
1. 모집총괄표
2. 전형요강
3. 수시등급컷
[서울] / 394
가톨릭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국민대, 덕성여대, 동국대, 동덕여대, 명지대, 삼육대, 상명대, 서강대, 서경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교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국어대, 한성대, 한양대, 홍익대 (31개 대학)
[경인] / 479
가천대, 강남대, 경기대, 경인교대, 경희대(국제), 단국대(죽전), 대진대, 명지대(용인), 성결대, 수원대, 아주대, 안양대, 용인대, 을지대(성남), 인천대, 인하대, 평택대, 한경대, 한국교통대, 한국산업기술대, 한국외대(용인), 한국항공대, 한세대, 한신대, 한양대(에리카), 협성대 (26개 대학)
[강원] / 530
강릉원주대, 가톨릭관동대, 강원대(춘천/삼척), 상지대, 연세대(원주), 춘천교대, 한림대, 한라대 (8개 대학)
[대전] / 551
대전대, 목원대, 배재대, 우송대, 충남대, 카이스트, 한남대, 한밭대 (8개 대학)
[충남] / 569
건양대(논산/대전), 공주교대, 공주대(공주/천안/예산), 나사렛대, 남서울대, 단국대(천안), 백석대, 상명대(천
안), 선문대, 순천향대, 중부대, 청운대(홍성/인천), 한국기술교육대, 한서대, 호서대, 고려대(세종), 홍익대(세종)
(17개 대학)
[충북] / 612
건국대(글로컬), 극동대, 서원대, 세명대, 영동대, 청주교대, 청주대, 충북대, 한국교원대, 한국교통대 (10개 대학)
[대구] /629
경북대, 계명대, 대구교대, 대구대, 대구가톨릭대, 대구한의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디지스트 (7개대학)
[경북/울산] / 653
동국대(경주), 금오공대, 동양대, 안동대, 영남대, 울산대, 유니스트, 포항공대, 한동대 (9개 대학)
[부산/경남] / 644
경남대, 경상대, 고신대, 동아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대, 부산교대, 부산외대, 신라대, 진주교대, 한국해양대, 영산대, 창원대 (14개 대학)
[전북] / 697
군산대, 우석대, 원광대, 전북대, 전주교대, 전주대, 호원대 (7개 대학)
[전남/제주] / 717
광주교대, 광주대, 동신대, 목포해양대, 전남대, 조선대, 지스트, 초당대, 제주국제대, 제주대 (10개 대학)
제5부 전문대 / 762
1. 전문대 지원전략 764
2. 모집총괄표, 전형 총괄표 772
[서울, 경기, 인천] / 772
동양미래대, 삼육보건대, 경기과학기술대, 경복대, 대림대, 동아방송예술대, 동원대, 두원공과대, 부천대, 서울
예술대, 신구대, 신안산대, 안산대, 용인송담대, 청강문화산업대, 한국관광대, 경인여자대, 인천재능대, 인하공
업전문대 (19개 대학)
[강원, 충청] / 791
강원관광대, 한림성심대, 대전보건대, 신성대, 아주자동차대, 천안연암대, 혜전대, 충북보건과학대, 충청대
(9대 대학)
[경상] / 799
계명문화대, 대구과학대, 대구보건대, 영남이공대, 영진전문대, 울산과학대, 춘해보건대, 가톨릭상지대, 경북전
문대, 구미대, 김천과학대, 문경대, 서라벌대, 경남정보대, 대동대, 동의과학대, 동주대, 부산과학기술대, 부산
여자대, 경남도립거창대, 마산대, 연암공업대, 창원문성대, 한국승강기대, 거제대 (25개 대학)
[전라, 제주] / 822
군장대, 백제예술대, 원광보건대, 전북과학대, 전주기전대, 광주보건대, 동강대, 서영대, 조선이공대, 목포
과학대, 전남과학대, 청암대, 제주관광대, 제주한라대 (14개 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