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의수세보원, 주역으로 풀다

동의수세보원, 주역으로 풀다

(하늘의 마음을 담은 마음학을 열다)

임병학 (지은이)
골든북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의수세보원, 주역으로 풀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의수세보원, 주역으로 풀다 (하늘의 마음을 담은 마음학을 열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91195851423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17-09-25

책 소개

동무 이제마가 우리에게 전해준 혜각(慧覺)의 지혜를 담고자 하였다. 서양의 심리학이나 <황제내경>에 기반 한 한의학적 사유와는 전혀 다른 차원에서 논하고 있는 사상철학의 마음에 대한 논의를 풀어낸 것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 6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소개 ․ 10
「성명론(性命論)」․ 17
「사단론(四端論)」․ 89
「확충론(擴充論)」․ 157
「장부론(臟腑論)」․ 209
「광제설(廣濟說)」․ 251
「사상인변증론(四象人辨證論)」․293

저자 소개 ․ 333

책속에서

사상철학은 주역(周易) 의 진리에 근거하고 있다.

동무는 동의수세보원 갑오(甲午) 구본의 간지에서 “마음에 깊이 두어 생각함이 진실로 ‘역도(易道)’에 있다.(潛心之下, 眞有易道存焉.)”라고 하여, 자신의 학문이 역학(易學)의 진리를 근본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그의 저서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된 태극(太極)이나 음(陰)과 양(陽), 태양(太陽) 태음(太陰) 소양(少陽) 소음(少陰) 등의 기본적인 개념들은 주역 에 근거한 것이다.
동무는 격치고 를 통해 사상의학의 설계도가 되는 사상철학을 완성하고, 그것을 근거로 사상의학을 집성한 동의수세보원 이라는 완성된 집을 지은 것이다. 따라서 동의수세보원 에서 논한 사상의학의 철학적 원리를 밝히기 위해서는 격치고 에서 논하고 있는 역학적(易學的) 사유를 근거로 해야 할 것이다. - 동의수세보원 소개 에서


사상철학에서 장리(臟理)와 장국(臟局)을 처음으로 구분하다.

사상철학에서 장부의 이치[臟理]와 장부의 형국[臟局]을 구분해서 이해해야 한다. 사상철학에서 장리(臟理)와 장국(臟局)은 사상인의 변별에서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구별해서 이해하지 못하였다. 사상인을 변별할 때 그 사람의 장리와 장국이 일치할 수도 있고, 장리와 장국이 다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장리와 장국이 다른 경우는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는데, 하나는 장리와 장국이 완전히 다른 경우가 있고, 다른 하나는 품부 받은 장리는 분명하지만 마음의 욕심이나 성장 환경 등에 따라 가면(페르소나)을 쓰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태음인의 장리를 가지고 태어났지만 태양인화 되어 장국에서는 태음인 태양인을 함께 가지고 있거나, 혹은 소음인의 장리를 가지고 태어났지만 태음인화 되어 장국에서는 소음인 태음인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이다. 물론 소음인이 완전히 태음인화 되는 경우도 장리와 장국이 다르게 되는 것이다. - 사단론 에서


폐비간신의 기(氣)을 사상인의 마음 작용으로 설명하다.

폐비간신의 기와 사상인의 마음 작용을 설명하면, 태양인은 애성노정으로 신(伸)과 율(栗)은 잘하지만, 폐대간소(肺大肝小)로 완(緩)과 관(寬)을 잘하지 못하며, 태음인은 희성락정으로 완(緩)과 온(溫)은 잘하지만, 간대폐소(肝大肺小)로 신(伸)과 직(直)을 잘하지 못하며, 소양인은 애성노정으로 포(包)와 직(直)은 잘하지만, 비대신소(脾大腎小)로 축(畜)과 온(溫)을 잘하지 못하며, 소음인은 락성희정(樂性喜情)으로 축(畜)과 관(寬)은 잘하지만, 신대비소(腎大脾小)로 포(包)와 율(栗)을 잘하지 못하는 것이다.
- 사단론 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