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인터넷 연재 만화
· ISBN : 9791196287825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8-10-1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이야기의 시작
설맞이 특별 만화
추석맞이 특별 만화
인터뷰 1: 남편
인터뷰 2: 시어머니
인터뷰 3: 엄마
민사린과의 대화
만화 시금치
칼럼 1: 《며느라기》, 결국 문제는 무구영이다.
칼럼 2: 민사린의 이야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만약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며느라기>를 보여주며 '다음 중 뭔가 이상한 부분을 찾으시오.'라는 문제를 낸다면 어떨까? 아마도 여성이 남성보다, 한국인이 외국인보다, 30대가 20대보다, 기혼이 비혼/미혼보다 더 많은 장면에 체크할 수 있을 것이다. 아는 만큼 보이기 때문이다. 조남주 작가의 <82년생 김지영>이 한 여성의 출생에서 그가 기혼 유자녀 여성이 되기까지의 '평범한' 고난을 개괄했다면 <며느라기>는 결혼으로 인해 한 여성이 처하게 된 상황, '며느라'라는 신분을 둘러싼 억압과 그 원인에 현미경을 들이댄다. 즉, 이 억압은 현미경으로 보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다. (중략) 다만 모두가 자연스럽게, 그리고 선택적으로 무신경할 뿐이다. (중략) 결국 <며느라기>는 지금 우리가 있는 곳에서 논의를 시작하는 이야기다. 수신지 작가는 "여자들이 결혼하고 나서 뭔가 이상하다는 걸 느끼는데, 그 복잡한 감정을 설명하기 위해 너무 많은 에너지가 들어간다. 그걸 '며느라기'라는 하나의 단어에 압축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중략) 세상은 그렇게 바뀌고 있다. 변화를 거스를 수 없는 시대가 온 것이다. 비록 무구영은 여전히 뒤처져 있지만, 민사린의 이야기도 아직 끝나지 않았다. (최지은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