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치과학 > 구강악안면외과
· ISBN : 9791196789725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9-09-25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서문
Chapter 2: 수술 및 환자 준비
2.1 환자 선정
2.2 수술을 위한 환자 준비
2.3 투약
2.4 수술실
2.5 술후 관리 및 봉합사 제거
Chapter 3: 멤브레인 및 골이식재
3.1 서로 다른 멤브레인을 사용한 수평적 GBR의 과학적 문서
3.2 서로 다른 멤브레인을 사용한 수직적 GBR의 과학적 문서
3.3 GBR에 사용되는 이식재
Chapter 4: 구강내 자가골채취술
4.1 하악 정중부 골 채취
4.2 하악지 골 채취
Chapter 5: 구강저의 외과적 해부학
5.1 구강저 및 혀 근육체
5.2 동맥 분포
5.3 구강저 혈관화의 해부학적 변이
5.4 신경
5.5 침샘
Chapter 6: 하악구치부에서 수직 및 수평 치조골증대술의 원리
6.1 판막 형성
6.2 이식 부위(수여부) 준비
6.3 멤브레인 적응
6.4 설측판막의 가동화: 변형된 설측판막 신장술
6.5 협측판막 신장술
6.6 판막 봉합
6.7 하악구치부 수술 후 기대되는 치유양상
6.8 더 심한 골결손부의 치료
Chapter 7: 수직 치조골증대술
7.1 신연골형성술
7.2 온레이 골이식술
7.3 서로 다른 이식재를 사용한 수직 GBR의 과학적 문서
Chapter 8: 하악구치부의 수직 치조골증대술
8.1 고려해야 할 중요한 임상적 요인
8.2 결론
Chapter 9: 하악전치부의 치조골증대술
9.1 협측판막
9.2 설측판막
9.3 이식 부위(수여부) 준비
9.4 멤브레인 적응 및 안정화
9.5 협측판막의 신장
9.6 설측판막의 가동화
9.7 판막 봉합
Chapter 10: 상악 구치부의 부분무치악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 및 치조골증대술의 병행
10.1 판막 형성
10.2 상악동 골이식술
Chapter 11: 수평 치조골증대술 : 소시지 테크닉
11.1 폴리글리콜산-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멤브레인을 사용한 사례군 및 대표 사례
11.2 천연 콜라겐 멤브레인의 사용
11.3 천연 콜라겐 멤브레인을 사용한 사례군 및 대표 사례
11.4 서로 다른 부위에서 소시지 테크닉을 사용한 대표 사례 : 장기적 추적관찰을 포함
11.5 학습곡선 vs. 충분히 개발된 소시지 테크닉 2.0
Chapter 12: 상악 전치부 치조골증대술
Chapter 13: 단일 치아결손에서 수직적 치조골증대술과 병행한 치건유두 재건술
13.1 사례 및 교훈
13.2 결론
13.3 참고문헌
13.4 추가 읽을 자료
Chapter 14: 현저한 상악전치부의 수직적 치조골 결함의 외과적 관리: 상악전치부 수직적 골결함 분류법
14.1 상악전치부의 수직적 치조골증대술(AMVRA)을 위한 판막 디자인의 분류
14.2 참고문헌
Chapter 15: 비구개 신경의 측방이동 : 구개판막
15.1 구개판막
15.2 임상 평가
Chapter 16: 치조골증대술 후 치은점막수술
16.1 대표 사례
16.2 개정된 연조직 수술
16.3 대표 사례
16.4 장기적 결과
Chapter 17: 치조골증대술 후 치은점막수술의 새로운 관점
17.1 대표 사례 및 임상 자료
Chapter 18: 치조골증대술 후 경부골 보존의 새로운 관점
18.1 사례군 : 장기적 결과
18.2 대표 사례 및 교훈
Chapter 19: 복수의 치아결손 상황에서 독립된 임플란트를 사용한 양형의 치은 구조 조성 및 유지
19.1 참고문헌
Chapter 20: 흡수된 상악 무치악의 재건술
20.1 결론
Chapter 21: 치조골증대술의 합병증
21.1 치유 과정의 합병증
21.2 수술 후 감염
21.3 신경 손상
Chapter 22: 성장인자의 사용
22.1 재조합 인간 혈소판-유래 성장인자
22.2 골형성 단백질
인용된 도서 및 학회지에 대한 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