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91197913709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목차
국문초록
영문초록
I. 서론
A.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B. 본회퍼 신학의 공적신학적 특성에 관한 이전 연구들
C. 연구 방법 및 범위
II. 공적신학의 특징과 주요 담론들
A. 공적신학의 정의와 특징
B. 공적신학에서 사회적 책임성에 관한 주요 담론들
1. 데이비드 트레이시(David Tracy)
2. 맥스 L. 스택하우스(Max Lynn Stackhouse)
3.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
C. 공적신학에서 신앙의 정체성에 관한 주요 담론들
1. 조지 린드벡(George A. Lindbeck)
2. 스탠리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
3. 급진정통주의(Radical Orthodoxy)
D. 그리스도교 신학 전통에서 공공성의 통전적 이해에 관한 주요 견해들
E. 요약 및 소결론
III. 본회퍼의 삶에 스며있는 공적신학적 요소들
A. 경건한 죽음(Der fromme Tod)이 공적신학에서 갖는 함의
1. 경건한 죽음: 신앙적 측면에서의 죽음이해와 그 경험
2. 경건한 죽음의 의미 확장과 공적 영역에서의 실천
a. 경건한 죽음의 의미 확장: 하나님의 완전한 사랑에 이르는 통로
b. 경건한 죽음을 실천한 본회퍼
B. 나치(Nazis)의 유대인 탄압에 대한 본회퍼의 사상과 실천
1. 유대인 탄압에 대한 본회퍼의 태도
2. 유대인 탄압에 대한 본회퍼의 대외적 실천
3. 유대인 탄압에 대한 신학적 비판: 교회의 국가의 경계 문제
C. 본회퍼의 평화 사상과 그 실천
1. 본회퍼의 그리스도교적 평화 이해의 독특성
2. 본회퍼의 그리스도교적 평화 이해와 그 공적인 특성
3. 공모(Konspiration)
a. 자유로운 책임적 행동의 의미
b. 책임적 행동의 현실 적합성
D. 요약 및 소결론
IV. 본회퍼의 주요 저서들과 관련한 공적신학적 담론들
A. 베를린대학교 신학 스승들의 영향
B. 『성도의 교제』(Sanctorum Communio)에 나타난 공적신학적 담론들
1. 본회퍼의 전기 사상에서 발견되는 공적 영역에 대한 관심
2. 프롤레타리아(proletariat)에 대한 본회퍼의 관심
C. “그리스도론 강의”(Christologie-Vorlesung)에 나타난 공적신학적 담론들
1. 낮아지신 그리스도
2. 국가의 숨겨진 중심으로서의 교회
3. 자연의 중심이신 그리스도와 성례전
D. 『나를 따르라』(Nachfolge)에 나타난 공적신학적 담론들
1. 값싼 은혜와 값비싼 은혜로서의 제자직
2. 보이는 교회 개념에 나타난 공적신학
a. 가시성의 대상: 선한 행실
b. 보이는 교회의 정체성: 그리스도의 몸
E. 『윤리학』(Ethik)에 나타난 공적신학적 담론들
1. 현실의 윤리
a. 선(Gut)의 주체가 누구인가? 본회퍼 윤리의 독특성
b. 공적신학의 통전성에 대한 근거: 그리스도의 현실
c. 그리스도의 현실의 구체화: 하나님의 위임(Mandat)
2. 서구세계의 칭의와 갱신에 나타난 교회의 공공성
a. 서구세계의 역사적 유산과 그 몰락
b. 교회를 통한 서구세계의 칭의와 갱신
F. 『저항과 복종』(Widerstand und Ergebung)에 나타난 공적신학적 담론들
1. 성인이 된 세상: 하나님의 활동 영역의 확장
2. 종교의 함정: 종교비판을 통해 바라보는 교회의 사사화 문제
a. 종교의 형이상학적 특성(Metaphysics)
b. 종교의 부분성(Partiality)
c. 종교의 특권(Privilege)
3. 비종교적 그리스도교: 공적 영역에서의 참된 종교성 추구
a. 계시실증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b. 타자를 위한 존재: 세상의 주님이신 그리스도
G. 요약 및 소결론
V. 신앙의 정체성과 사회적 책임성의 통전성에 관한 본회퍼 신학의 두 사상적 기반과 그 통합
A. 하나님 없이: 사회적 책임성을 추구하는 세상성(Weltlichkeit)
1. 세상성을 통해 확장되는 교회의 영역
2. 세상성과 신앙의 정체성의 긴밀성
3. 세상성의 목적: 하나님의 세계 내 수난을 지향하는 타자를 위한 존재의 실천
a. 세상성과 차안성(Diesseitigkeit)에 대한 기본 전제
b. 하나님의 세계 내 수난을 지향하는 깊은 차안성
B. 하나님 앞에: 신앙의 정체성을 추구하는 비밀훈련(Arkandisziplin)
1. 그리스도교 정체성의 신비를 보존하는 비밀훈련
2. 비밀훈련과 세상성의 긴밀성
C. 하나님과 함께: 정선율과 대위법의 관계에 상응하는 신앙의 정체성과 사회적 책임성의 통전성
D. 요약 및 소결론
VI. 결론
A. 요약
B. 평가
C.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