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한국어교육학
· ISBN : 9791198330543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4-10-01
책 소개
목차
01 한국어 교육 개관
02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의 이해
03 한글 자모 교육 방법
04 한국어 발음 교육 방법
05 한국어 어휘 교육 방법
06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
07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법
08 한국어 쓰기 교육 방법
09 한국어 듣기 교육 방법
10 한국어 읽기 교육 방법
11 한국 문화 교육 방법
12 한국어 평가 방법
13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정책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한국어 수업을 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내가 가르칠 학습자들은 어떤 사람들이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건 무엇일까?”
“수업 자료는 어떻게 찾고 수업 구성은 어떻게 하지?”
이 책은 저의 초보 한국어 교사 시절의 고민들을 떠올리며 썼습니다.
첫 수업에서 ‘-습니다’, ‘-으십니다’의 차이를 묻는 학생에게 만족스런 답을 해 주지 못한 채 집에 와서 이불을 뒤집어 쓰고 자책했던 일,
학생들에게 ‘-어서’, ‘-니까’, ‘-는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서관에서 논문을 찾아보며 노트에 빼곡하게 정리했던 일,
선배 강사의 수업 대강을 갑자기 맡게 되어 ‘신뢰’와 ‘신임’과 ‘신용’의 차이를 묻는 학생에게 당황하는 표정을 들키지 않으려고 재빨리 뒤돌아 칠판에 이 단어들을 쓰며 챗 GPT의 속도로 예문을 떠올려 상황을 모면했던 일,
수업 자료를 찾기 위해 영화관, 지하철 역, 슈퍼마켓을 헤매고 다녔던 일...
이 모든 기억들이 제 머릿속에 남아 있는 초보 한국어 교사 이은경의 모습입니다.
요즘은 교재에서부터 교사용 지도서까지 초보 교사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들도 많아졌고, 수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이미지와 영상도 넘쳐나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의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 책은 후배 한국어 교사를 안내하는 선배의 마음으로 기록했습니다. 한국어 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한 큰 틀을 보게 함과 동시에, 각 영역별로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가를 단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지면 관계상 담지 못하는 내용은 참고 자료나 사이트를 소개하여 독자 스스로가 심화 학습을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또한 학습 목표와 확인 문제 및 생각해 볼 내용 등을 포함하여 대학 기관이나 한국어교원 양성기관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이 책이 한국어 교육이라는 미지의 세계로 들어온 한국어 예비 교원들에게 길을 안내하는 지도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각자의 공부와 경험을 차곡차곡 쌓아 자신만의 한국어 교육 스토리를 만들어 나가시기를 기대합니다.
특별히 이 책의 편집자이자 1호 독자로서 출판의 모든 과정을 흔쾌히 맡아주신 함께걷는사람들의 김용민 대표님께 감사드립니다. 대표님의 정성 어린 손길로 거친 원고의 구석구석이 아름답게 메워졌기에 특별한 감사를 전합니다.
끝으로 이 책을 읽는 모두가 각자의 자리에서 멋진 한국어 교사로 성장하시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2024년 9월
세종사이버대학교 무방관 연구실에서
저자 이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