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태백 시집 1

이태백 시집 1

이백 (지은이), 신하윤, 이영주, 임도현 (옮긴이)
  |  
학고방
2015-03-30
  |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태백 시집 1

책 정보

· 제목 : 이태백 시집 1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88960714793
· 쪽수 : 459쪽

책 소개

이백의 시 1072수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그의 시는 물론이고 일부 구절만 남아있는 것까지 모두 수록하여 세계 최초로 그의 시를 완전하게 수록하였다.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의 역대 주석가와 번역가의 연구 성과를 모두 참조하였다.

목차

머리말 v
이백의 생애와 시 세계 x
1 고풍古風 1
1. 고풍 59수 제1수 古風五十九首 其一(大雅久不作) 3
2. 고풍 59수 제2수 古風五十九首 其二(蟾蜍薄太淸) 9
3. 고풍 59수 제3수 古風五十九首 其三(秦王掃六合) 13
4. 고풍 59수 제4수 古風五十九首 其四(鳳飛九千仞) 18
5. 고풍 59수 제5수 古風五十九首 其五(太白何蒼蒼) 22
6. 고풍 59수 제6수 古風五十九首 其六(代馬不思越) 25
7. 고풍 59수 제7수 古風五十九首 其七(客有鶴上仙) 28
8. 고풍 59수 제8수 古風五十九首 其八(咸陽二三月) 31
9. 고풍 59수 제9수 古風五十九首 其九(莊周夢胡蝶) 34
10. 고풍 59수 제10수 古風五十九首 其十(齊有倜儻生) 37
11. 고풍 59수 제11수 古風五十九首 其十一(黃河走東溟) 40
12. 고풍 59수 제12수 古風五十九首 其十二(松柏本孤直) 42
13. 고풍 59수 제13수 古風五十九首 其十三(君平旣棄世) 45
14. 고풍 59수 제14수 古風五十九首 其十四(胡關饒風沙) 49
15. 고풍 59수 제15수 古風五十九首 其十五(燕昭延郭隗) 53
16. 고풍 59수 제16수 古風五十九首 其十六(寶劍雙蛟龍) 56
17. 고풍 59수 제17수 古風五十九首 其十七(金華牧羊兒) 59
18. 고풍 59수 제18수 古風五十九首 其十八(天津三月時) 61
19. 고풍 59수 제19수 古風五十九首 其十九(西上蓮花山) 66
20. 고풍 59수 제20수 古風五十九首 其二十(昔我遊齊都) 69
21. 고풍 59수 제21수 古風五十九首 其二十一(郢客吟白雪) 74
22. 고풍 59수 제22수 古風五十九首 其二十二(秦水別隴首) 76
23. 고풍 59수 제23수 古風五十九首 其二十三(秋露白如玉) 79
24. 고풍 59수 제24수 古風五十九首 其二十四(大車揚飛塵) 83
25. 고풍 59수 제25수 古風五十九首 其二十五(世道日交喪) 86
26. 고풍 59수 제26수 古風五十九首 其二十六(碧荷生幽泉) 89
27. 고풍 59수 제27수 古風五十九首 其二十七(燕趙有秀色) 91
28. 고풍 59수 제28수 古風五十九首 其二十八(容顔若飛電) 93
29. 고풍 59수 제29수 古風五十九首 其二十九(三季分戰國) 95
30. 고풍 59수 제30수 古風五十九首 其三十(玄風變太古) 98
31. 고풍 59수 제31수 古風五十九首 其三十一(鄭客西入關) 102
32. 고풍 59수 제32수 古風五十九首 其三十二(蓐收肅金氣) 105
33. 고풍 59수 제33수 古風五十九首 其三十三(北溟有巨魚) 107
34. 고풍 59수 제34수 古風五十九首 其三十四(羽檄如流星) 109
35. 고풍 59수 제35수 古風五十九首 其三十五(醜女來效顰) 114
36. 고풍 59수 제36수 古風五十九首 其三十六(抱玉入楚國) 118
37. 고풍 59수 제37수 古風五十九首 其三十七(燕臣昔慟哭) 121
38. 고풍 59수 제38수 古風五十九首 其三十八(孤蘭生幽園) 124
39. 고풍 59수 제39수 古風五十九首 其三十九(登高望四海) 126
40. 고풍 59수 제40수 古風五十九首 其四十(鳳飢不啄粟) 129
41. 고풍 59수 제41수 古風五十九首 其四十一(朝弄紫泥海) 132
42. 고풍 59수 제42수 古風五十九首 其四十二(搖裔雙白鷗) 135
43. 고풍 59수 제43수 古風五十九首 其四十三(周穆八荒意) 137
44. 고풍 59수 제44수 古風五十九首 其四十四(綠蘿紛葳蕤) 141
45. 고풍 59수 제45수 古風五十九首 其四十五(八荒馳驚飇) 144
46. 고풍 59수 제46수 古風五十九首 其四十六(一百四十年) 147
47. 고풍 59수 제47수 古風五十九首 其四十七(桃花開東園) 151
48. 고풍 59수 제48수 古風五十九首 其四十八(秦皇按寶劍) 153
49. 고풍 59수 제49수 古風五十九首 其四十九(美人出南國) 156
50. 고풍 59수 제50수 古風五十九首 其五十(宋國梧臺東) 158
51. 고풍 59수 제51수 古風五十九首 其五十一(殷后亂天紀) 160
52. 고풍 59수 제52수 古風五十九首 其五十二(靑春流驚湍) 163
53. 고풍 59수 제53수 古風五十九首 其五十三(戰國何紛紛) 165
54. 고풍 59수 제54수 古風五十九首 其五十四(倚劍登高臺) 168
55. 고풍 59수 제55수 古風五十九首 其五十五(齊瑟彈東吟) 171
56. 고풍 59수 제56수 古風五十九首 其五十六(越客採明珠) 174
57. 고풍 59수 제57수 古風五十九首 其五十七(羽族禀萬化) 176
58. 고풍 59수 제58수 古風五十九首 其五十八(我行巫山渚) 178
59. 고풍 59수 제59수 古風五十九首 其五十九(惻惻泣路歧) 180
2 악부樂府 185
60. 먼 이별 遠別離 187
61. 그대는 강을 건너지 마시오 公無渡河 192
62. 촉으로 가는 길이 험난하다 蜀道難 197
63. 양보 梁甫吟 206
64. 까마귀가 밤에 울다 烏夜啼 217
65. 까마귀가 깃들이다 烏棲曲 219
66. 성의 남쪽에서 전쟁하다 戰城南 222
67. 술을 드시오 將進酒 225
68. 가고 가며 사냥하다 行行且遊獵篇 230
69. 날아가 버린 용 2수 제1수 飛龍引 二首 其一 233
70. 날아가 버린 용 2수 제2수 飛龍引 二首 其二 236
71. 천마 天馬歌 240
72. 갈 길 험난하다 3수 제1수 行路難 三首 其一 250
73. 갈 길 험난하다 3수 제2수 行路難 三首 其二 254
74. 갈 길 험난하다 3수 제3수 行路難 三首 其三 259
75. 오래도록 그리워하다 長相思 264
76. 상류전 上留田行 267
77. 봄날 春日行 273
78. 앞에 술동이가 있다 2수 제1수 前有樽酒行 二首 其一 278
79. 앞에 술동이가 있다 2수 제2수 前有樽酒行 二首 其二 281
80. 밤에 앉아서 읊조리다 夜坐吟 283
81. 들판의 참새 野田黃雀行 286
82. 공후의 노래 箜篌謠 289
83. 아침에 장끼가 날아오르다 雉朝飛 293
84. 구름 위로 오르는 즐거움 上雲樂 296
85. 이칙격에 맞춘 불무를 추며 부르는 백구의 노래 夷則格上白鳩拂舞辭 307
86. 해가 뜨고 지다 日出入行 312
87. 오랑캐 땅에 사람이 없어지다 胡無人 317
88. 북풍 北風行 322
89. 협객 俠客行 326
90. 관문의 산에 뜬 달 關山月 331
91. 독록 獨漉篇 334
92. 높은 언덕에 올라 먼 바다를 바라보다 登高丘而望遠海 340
93. 따뜻한 봄 陽春歌 345
94. 양반아 楊叛兒 348
95. 한 쌍의 제비가 헤어지다 雙燕離 351
96. 산에 은거한 이가 술을 권하다 山人勸酒 354
97. 우전에서 꽃을 따다 于闐採花 358
98. 곤궁의 노래 鞠歌行 361
99. 그윽한 계곡의 샘물 幽澗泉 367
100. 왕소군 2수 제1수 王昭君 二首 其一 371
101. 왕소군 2수 제2수 王昭君 二首 其二 374
102. 중산왕의 첩 中山孺子妾歌 375
103. 형주 荊州歌 378
104. 벽사기를 공연하면서 치자반을 연주하다 設辟邪伎鼓吹雉子斑曲辭 380
105. 그대를 만나다 相逢行 384
106. 예전부터 그리워하는 바가 있었다 古有所思 385
107. 오랜 이별 久別離 387
108. 흰 머리 2수 제1수 白頭吟 二首 其一 391
109. 흰 머리 2수 제2수 白頭吟 二首 其二 398
110. 연밥을 따다 採蓮曲 404
111. 임강왕의 절개 있는 선비 臨江王節士歌 406
112. 사마장군 司馬將軍歌 409
113. 임금의 도리 君道曲 414
114. 버선 끈을 매다 結韈子 417
115. 젊은이들이 모인 곳에서 협객과 교제를 맺다 結客少年場行 419
116. 장간 마을 2수 제1수 長干行二首 其一 424
117. 장간 마을 2수 제2수 長干行二首 其二 429
118. 옛날의 밝은 달 古朗月行 433
119. 임금님이 회중궁으로 행차하시다 上之回 437
120. 홀로 만나지 못하다 獨不見 441
121. 하얀 모시 춤 3수 제1수 白紵辭 三首 其一 444
122. 하얀 모시 춤 3수 제2수 白紵辭 三首 其二 447
123. 하얀 모시 춤 3수 제3수 白紵辭 三首 其三 450
124. 우는 기러기 鳴雁行 452
125. 여인의 박복한 운명 妾薄命 456

저자소개

이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선(詩仙) 이백(李白, 701∼762)의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이고 이 한림(李翰林)이라고도 부른다.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며 1000여 편의 작품을 남겼다. 이백의 출생과 어린 시절은 명확하지 않다. 전해지는 바로는 조적(祖籍)은 지금의 간쑤성 톈수이(天水) 부근의 농서현(隴西縣) 성기(成紀)였으나, 수나라 말기에 부친이 서역으로 이사해 서안도호부 관할이었던 중앙아시아에서 이백을 낳았고, 부친이 다시 사천성 면주(綿州) 창륭현(昌隆縣) 청련향(靑蓮鄉)으로 옮겨 옴에 따라 이백 또한 이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전해진다. 725년(25세) 촉 땅을 떠나서 장강을 따라 삼협을 거쳐 강남 일대를 유람했으며 산동, 산서 등지를 떠돌며 도교(道敎)에 심취했다. 742년(42세) 도사 오균(吳筠)의 추천으로 한림공봉(翰林供奉)에 제수되었으나, 자신의 정치적 포부를 실현할 수 없자 3년 만에 관직을 버리고 장안을 떠나 다시 방랑의 길로 들어선다. 755년(55세) 안녹산이 난을 일으켰을 때 이백은 안휘성 선성(宣城)에 있었다. 57세에 황자(皇子) 영왕(永王) 인(璘)의 막료가 되었으나, 영왕이 권력 투쟁에서 패하고 숙종이 즉위하자 이백도 역도로 몰려 강서성 심양(尋陽)에 투옥되었다. 송약사(宋若思)가 구명해 그의 막료가 되었으나 끝내 귀주성 야랑으로 유배되었다. 야랑으로 가는 도중, 삼협을 거슬러 무산에 당도했을 때 특사를 받아 강릉으로 내려가며 <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을 지었다. 이후 노쇠한 이백은 금릉과 선성을 오가다가 당도(當塗) 현령으로 있던 친척 이양빙(李陽冰)에게 몸을 의탁했다. 762년 병이 중해지자 이백은 자신의 원고를 이양빙에게 주고 <임종가(臨終歌)>를 짓고는 회재불우의 한 많은 한평생을 끝마쳤다. 우리에게는 당도에 있는 채석기(採石磯)에서 노닐다 장강에 비친 달그림자를 잡으려다가 익사했다는 전설이 훨씬 더 익숙하다. 이백은 굴원 이후 가장 뛰어난 낭만주의자로 꼽힌다. 그는 당시의 민간 문예뿐 아니라 진한(秦漢)과 위진(魏晉) 이래 악부 민가를 이어받아 자신만의 독특한 풍격을 형성했다. 더구나 그는 도가에 심취해서 그의 시는 인간의 세계를 초월한 환상적인 경향 또한 짙다.
펼치기
신하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북경대학교에서 중국고대문학 전공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중국고전시가의 예술적 특징과 문화적 가치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중국어문학회 총무이사,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역서로 『이태백시집』(공역), 『영원한 대자연인 이백』(공역)이 있고 저서로는 『고전에 비추어보다(鑑於古典)』(공저), 『진사도(陳師道) 시선』(편저)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중국고전시의 이취(理趣)」,「18세기 조선 문인의 세계인식과 문학적 형상화」, 「서진(徐振) <조선죽지사(朝鮮竹枝詞)>에 나타난 청인(淸人)의 조선 인식」, 「궁정풍속시의 선하를 열다? 왕건(王建) <궁사일백수(宮詞一百首)>」, 「왕단숙(王端淑)과 ≪명원시위초편(名媛詩緯初編)≫의 편찬」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李永朱 字는 伯眞, 號는 韻山. 1955년 경남 고성에서 출생하였고, 본관은 眞 城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 학과에서 30여 년 교수로 재직하면서 중국고 전시가를 강의하다가 퇴직하여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두시의 장법과 격률』, 『한국 시화에 보이는 두시』, 『한자자의론』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이백과 한유의 시 전부를 번역하고 해설하여 『이태백시집』(총 8권, 공저), 『완역 한유시 전집』 (총 2권, 공저)을 출간하였다. 두보 시를 완역하고 역대의 대표적인 주석을 함께 번역하여 수록하는 작업을 여러 교수와 함께 30년 이상 진행해 왔고 그 결과물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에서 순차적으로 출간해 오고 있다. 『운산한시 辛卯壬辰集』, 『운산한시 癸巳甲午乙未集』, 『운산한시 丙申丁酉集』 등의 자작 한시집을 출간하였고, 이외에도 기존에 출간한 여러 한시집을 번역하여 새로 출간할 예정이다. 2023년 현재 사단법인 한국한시협회에서 매주 한 차례 한시를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임도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졸업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저서: ��쫓겨난 신선 이백의 눈물��(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두보 초기시역해1��(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기주시기시 역해1, 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이태백시집(7권)��(학고방, 공저), ��완역 한유시전집(상, 하)��(역락, 공저), ��시의 신선 이백 글을 짓다-이태백 문집��(박문사, 공저), ��협주명현십초시��(학고방, 공저), ��사령운 사혜련 시��(학고방, 공저), ��진자앙 시��(학고방, 공저), ��악부시집-청상곡사 1, 2��(학고방, 공저), ��한유시선��(학고방), ��하늘이 내린 내 재주 반드시 쓰일 것이니-이백의 시와 해설��(학고방), ��건재한시집-오리는 잘못이 없다��(학고방)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