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태백 시집 2

이태백 시집 2

이백 (지은이), 신하윤, 이영주, 임도현 (옮긴이)
  |  
학고방
2015-03-30
  |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3,000원 -0% 0원 1,650원 31,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태백 시집 2

책 정보

· 제목 : 이태백 시집 2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88960714809
· 쪽수 : 453쪽

책 소개

이백의 시 1072수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그의 시는 물론이고 일부 구절만 남아있는 것까지 모두 수록하여 세계 최초로 그의 시를 완전하게 수록하였다.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의 역대 주석가와 번역가의 연구 성과를 모두 참조하였다.

목차

머리말 v
126. 오랑캐 말을 탄 유주의 협객 幽州胡馬客歌 1
127. 문 밖에 수레를 탄 손님이 있다 門有車馬客行 5
128. 군자가 그리워하는 바가 있다 君子有所思行 9
129. 동해의 용감한 부인 東海有勇婦 13
130. 누런 칡 黃葛篇 20
131. 흰 말 白馬篇 23
132. 봉황의 소리를 내는 생 鳳笙篇 27
133. 원망의 노래 怨歌行 30
134. 변새 아래에서 6수 제1수 塞下曲 六首 其一 34
135. 변새 아래에서 6수 제2수 塞下曲 六首 其二 36
136. 변새 아래에서 6수 제3수 塞下曲 六首 其三 38
137. 변새 아래에서 6수 제4수 塞下曲 六首 其四 40
138. 변새 아래에서 6수 제5수 塞下曲 六首 其五 42
139. 변새 아래에서 6수 제6수 塞下曲 六首 其六 44
140. 지난날엔 많이 힘들었다 來日大難 46
141. 변새 위에서 塞上曲 50
142. 옥 계단에서 원망하다 玉階怨 53
143. 양양 4수 제1수 襄陽曲 四首 其一 55
144. 양양 4수 제2수 襄陽曲 四首 其二 57
145. 양양 4수 제3수 襄陽曲 四首 其三 59
146. 양양 4수 제4수 襄陽曲 四首 其四 61
147. 대제 大堤曲 62
148. 궁중의 즐거움 8수 제1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一 64
149. 궁중의 즐거움 8수 제2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二 66
150. 궁중의 즐거움 8수 제3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三 68
151. 궁중의 즐거움 8수 제4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四 70
152. 궁중의 즐거움 8수 제5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五 72
153. 궁중의 즐거움 8수 제6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六 74
154. 궁중의 즐거움 8수 제7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七 76
155. 궁중의 즐거움 8수 제8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八 78
156. 청평조사 3수 제1수 淸平調詞三首 其一 80
157. 청평조사 3수 제2수 淸平調詞三首 其二 82
158. 청평조사 3수 제3수 淸平調詞三首 其三 84
159. 음악을 울리며 조회에 들어가다 鼓吹入朝曲 86
160. 진여휴 秦女休行 89
161. 진나라 여인이 천자의 옷을 말아 개다 秦女卷衣 93
162. 동무 東武吟 96
163. 한단의 궁녀가 시집가서 허드렛일 하는 부역인의 부인이 되다 邯鄲才人嫁爲厮養卒婦 102
164. 계주 북문을 나서다 出自薊北門行 105
165. 낙양의 길 洛陽陌 109
166. 북쪽으로 가다 北上行 110
167. 짧은 노래 短歌行 114
168. 빈 성의 참새 空城雀 117
169. 보살만 菩薩蠻 120
170. 억진아 憶秦娥 123
171. 백마진을 출발하다 發白馬 126
172. 밭두둑의 뽕나무 陌上桑 130
173. 말라죽은 물고기가 황하를 건너며 눈물을 흘리다 枯魚過河泣 134
174. 정 도호 丁都護歌 137
175. 서로 만나다 相逢行 140
176. 천 리의 그리움 千里思 144
177. 숲 속의 풀 樹中草 146
178. 그대의 말이 누렇다 君馬黃 148
179. 옛 시를 본뜨다 擬古 151
180. 버들을 꺾다 折楊柳 153
181. 젊은이 少年子 155
182. 자류마 紫騮馬 157
183. 젊은이 2수 제1수 少年行二首 其一 159
184. 젊은이 2수 제2수 少年行二首 其二 162
185. 하얀 코의 말 白鼻騧 164
186. 예장 豫章行 166
187. 목욕하는 사람 沐浴子 170
188. 고구려 高句驪 172
189. 고요한 밤의 그리움 靜夜思 174
190. 맑은 물 淥水曲 175
191. 봉황 鳳凰曲 177
192. 봉대 鳳臺曲 179
193. 종군 從軍行 181
194. 가을 상념 秋思 183
195. 봄 상념 春思 185
196. 가을 상념 秋思 187
197. 자야의 노래 4수 제1수 子夜吳歌四首 其一 189
198. 자야의 노래 4수 제2수 子夜吳歌四首 其二 191
199. 자야의 노래 4수 제3수 子夜吳歌四首 其三 193
200. 자야의 노래 4수 제4수 子夜吳歌四首 其四 195
201. 술을 마주하다 對酒行 197
202. 떠돌이 상인 估客行 200
203. 다듬이질 擣衣篇 201
204. 젊은이 少年行 206
205. 긴 노래 長歌行 211
206. 오랜 그리움 長相思 214
207. 사나운 호랑이 猛虎行 217
208. 버림받은 여인 去婦詞 225
3 가음歌吟 233
209. 양양 襄陽歌 235
210. 남도 南都行 243
211. 강 위에서 江上吟 247
212.의춘원에서 황제를 모시다가 황제의 명을 받들어 용지의 버들빛이 막 푸를 때 새로 나온 꾀꼬리가 사방에서 지저귀는 소리 듣는 것을 읊다 侍從宜春苑, 奉詔, 賦龍池柳色初靑聽新鶯百囀歌 251
213. 옥 타구 玉壺吟 255
214. 빈 땅의 노래를 읊어 형님인 이찬 신평장사께 올리다 豳歌行上新平長史兄粲 259
215. 화산의 운대봉을 노래하여 원단구를 전송하다 西岳雲臺歌送丹丘子 263
216. 원단구 元丹丘歌 268
217. 부풍의 호걸 扶風豪士歌 271
218. 문중 동생인 금성위 이숙경과 함께 벽에 그려진 산수화를 촛불로 비춰보다 同族弟金城尉叔卿, 燭照山水壁畵歌 277
219. 백호자 白毫子歌 280
220. 양원 梁園吟 283
221. 명고산을 노래해 잠 징군을 보내다 鳴皐歌送岑徵君 289
222. 명고산을 노래해 문중 어르신인 이청께서 오애의 산장으로 돌아가시는 것을 받들어 전별하다 鳴皐歌奉餞從翁淸歸五崖山居 300
223. 노로정 勞勞亭歌 304
224. 횡강 6수 제1수 橫江詞六首 其一 307
225. 횡강 6수 제2수 橫江詞六首 其二 309
226. 횡강 6수 제3수 橫江詞六首 其三 310
227. 횡강 6수 제4수 橫江詞六首 其四 312
228. 횡강 6수 제5수 橫江詞六首 其五 314
229. 횡강 6수 제6수 橫江詞六首 其六 315
230. 금릉성 서쪽 누대의 달 아래에서 읊다 金陵城西樓月下吟 317
231. 동산 東山吟 319
232. 승가 대사 僧伽歌 322
233. 흰 구름을 노래해 산으로 돌아가는 유씨를 보내다 白雲歌送劉十六歸山 326
234. 금릉을 노래하여 범선을 떠나보내다 金陵歌送別范宣 328
235. 우스워서 노래하다 笑歌行 332
236. 슬퍼 노래하다 悲歌行 338
237. 추포 17수 제1수 秋浦歌十七首 其一 344
238. 추포 17수 제2수 秋浦歌十七首 其二 346
239. 추포 17수 제3수 秋浦歌十七首 其三 348
240. 추포 17수 제4수 秋浦歌十七首 其四 349
241. 추포 17수 제5수 秋浦歌十七首 其五 350
242. 추포 17수 제6수 秋浦歌十七首 其六 351
243. 추포 17수 제7수 秋浦歌十七首 其七 352
244. 추포 17수 제8수 秋浦歌十七首 其八 354
245. 추포 17수 제9수 秋浦歌十七首 其九 356
246. 추포 17수 제10수 秋浦歌十七首 其十 358
247. 추포 17수 제11수 秋浦歌十七首 其十一 360
248. 추포 17수 제12수 秋浦歌十七首 其十二 361
249. 추포 17수 제13수 秋浦歌十七首 其十三 362
250. 추포 17수 제14수 秋浦歌十七首 其十四 363
251. 추포 17수 제15수 秋浦歌十七首 其十五 365
252. 추포 17수 제16수 秋浦歌十七首 其十六 366
253. 추포 17수 제17수 秋浦歌十七首 其十七 367
254. 조염 당도현위의 산수벽화 當塗趙炎少府粉圖山水歌 368
255.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1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一 373
256.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2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二 375
257.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3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三 377
258.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4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四 379
259.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5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五 380
260.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6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六 382
261.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7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七 383
262.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8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八 385
263.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9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九 387
264.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10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十 389
265.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11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十一 391
266.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1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一 393
267.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2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二 395
268.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3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三 396
269.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4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四 398
270.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5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五 399
271.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6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六 401
272.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7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七 403
273.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8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八 404
274.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9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九 406
275.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10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十 407
276. 아미산의 달 峨眉山月歌 409
277. 아미산의 달을 노래하여 장안으로 들어가는 촉 땅의 스님 안을 보내다 峨眉山月歌送蜀僧晏入中京 411
278. 적벽을 노래하여 송별하다 赤壁歌送別 414
279. 강하 江夏行 416
280. 신선을 그리워하다 懷仙歌 421
281. 여도사 옥진공주 玉眞仙人詞 424
282. 청계 靑溪行 426
283. 은좌명께서 오운구를 주신 것에 감사하다 酬殷佐明見贈五雲裘歌 428
284. 길을 떠나다 臨路歌 434
285. 옛 뜻 古意 436
286. 산자고 山鷓鴣詞 439
287. 역양의 장사 근사제 장군의 노래 및 서문 歷陽壯士勤將軍名思齊歌 幷序 442
288. 초서를 노래하다 草書歌行 445
289. 노 시어의 <통당곡>에 화답하다 和盧侍御通塘曲 450

저자소개

이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선(詩仙) 이백(李白, 701∼762)의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이고 이 한림(李翰林)이라고도 부른다.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며 1000여 편의 작품을 남겼다. 이백의 출생과 어린 시절은 명확하지 않다. 전해지는 바로는 조적(祖籍)은 지금의 간쑤성 톈수이(天水) 부근의 농서현(隴西縣) 성기(成紀)였으나, 수나라 말기에 부친이 서역으로 이사해 서안도호부 관할이었던 중앙아시아에서 이백을 낳았고, 부친이 다시 사천성 면주(綿州) 창륭현(昌隆縣) 청련향(靑蓮鄉)으로 옮겨 옴에 따라 이백 또한 이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전해진다. 725년(25세) 촉 땅을 떠나서 장강을 따라 삼협을 거쳐 강남 일대를 유람했으며 산동, 산서 등지를 떠돌며 도교(道敎)에 심취했다. 742년(42세) 도사 오균(吳筠)의 추천으로 한림공봉(翰林供奉)에 제수되었으나, 자신의 정치적 포부를 실현할 수 없자 3년 만에 관직을 버리고 장안을 떠나 다시 방랑의 길로 들어선다. 755년(55세) 안녹산이 난을 일으켰을 때 이백은 안휘성 선성(宣城)에 있었다. 57세에 황자(皇子) 영왕(永王) 인(璘)의 막료가 되었으나, 영왕이 권력 투쟁에서 패하고 숙종이 즉위하자 이백도 역도로 몰려 강서성 심양(尋陽)에 투옥되었다. 송약사(宋若思)가 구명해 그의 막료가 되었으나 끝내 귀주성 야랑으로 유배되었다. 야랑으로 가는 도중, 삼협을 거슬러 무산에 당도했을 때 특사를 받아 강릉으로 내려가며 <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을 지었다. 이후 노쇠한 이백은 금릉과 선성을 오가다가 당도(當塗) 현령으로 있던 친척 이양빙(李陽冰)에게 몸을 의탁했다. 762년 병이 중해지자 이백은 자신의 원고를 이양빙에게 주고 <임종가(臨終歌)>를 짓고는 회재불우의 한 많은 한평생을 끝마쳤다. 우리에게는 당도에 있는 채석기(採石磯)에서 노닐다 장강에 비친 달그림자를 잡으려다가 익사했다는 전설이 훨씬 더 익숙하다. 이백은 굴원 이후 가장 뛰어난 낭만주의자로 꼽힌다. 그는 당시의 민간 문예뿐 아니라 진한(秦漢)과 위진(魏晉) 이래 악부 민가를 이어받아 자신만의 독특한 풍격을 형성했다. 더구나 그는 도가에 심취해서 그의 시는 인간의 세계를 초월한 환상적인 경향 또한 짙다.
펼치기
신하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북경대학교에서 중국고대문학 전공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중국고전시가의 예술적 특징과 문화적 가치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중국어문학회 총무이사,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역서로 『이태백시집』(공역), 『영원한 대자연인 이백』(공역)이 있고 저서로는 『고전에 비추어보다(鑑於古典)』(공저), 『진사도(陳師道) 시선』(편저)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중국고전시의 이취(理趣)」,「18세기 조선 문인의 세계인식과 문학적 형상화」, 「서진(徐振) <조선죽지사(朝鮮竹枝詞)>에 나타난 청인(淸人)의 조선 인식」, 「궁정풍속시의 선하를 열다? 왕건(王建) <궁사일백수(宮詞一百首)>」, 「왕단숙(王端淑)과 ≪명원시위초편(名媛詩緯初編)≫의 편찬」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李永朱 字는 伯眞, 號는 韻山. 1955년 경남 고성에서 출생하였고, 본관은 眞 城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 학과에서 30여 년 교수로 재직하면서 중국고 전시가를 강의하다가 퇴직하여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두시의 장법과 격률』, 『한국 시화에 보이는 두시』, 『한자자의론』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이백과 한유의 시 전부를 번역하고 해설하여 『이태백시집』(총 8권, 공저), 『완역 한유시 전집』 (총 2권, 공저)을 출간하였다. 두보 시를 완역하고 역대의 대표적인 주석을 함께 번역하여 수록하는 작업을 여러 교수와 함께 30년 이상 진행해 왔고 그 결과물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에서 순차적으로 출간해 오고 있다. 『운산한시 辛卯壬辰集』, 『운산한시 癸巳甲午乙未集』, 『운산한시 丙申丁酉集』 등의 자작 한시집을 출간하였고, 이외에도 기존에 출간한 여러 한시집을 번역하여 새로 출간할 예정이다. 2023년 현재 사단법인 한국한시협회에서 매주 한 차례 한시를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임도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졸업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저서: ��쫓겨난 신선 이백의 눈물��(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두보 초기시역해1��(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기주시기시 역해1, 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이태백시집(7권)��(학고방, 공저), ��완역 한유시전집(상, 하)��(역락, 공저), ��시의 신선 이백 글을 짓다-이태백 문집��(박문사, 공저), ��협주명현십초시��(학고방, 공저), ��사령운 사혜련 시��(학고방, 공저), ��진자앙 시��(학고방, 공저), ��악부시집-청상곡사 1, 2��(학고방, 공저), ��한유시선��(학고방), ��하늘이 내린 내 재주 반드시 쓰일 것이니-이백의 시와 해설��(학고방), ��건재한시집-오리는 잘못이 없다��(학고방)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