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건설 클레임"(으)로 1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77659513

해외건설 클레임

이세중  | 건설경제
22,500원  | 20150918  | 9788977659513
▶ 이 책은 해외건설 클레임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해외건설 클레임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88977659476

건설클레임 분쟁론

박준기  | 건설경제
40,500원  | 20150417  | 9788977659476
▶ 이 책은 건설클레임 분쟁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건설클레임 분쟁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9791163561095

건설 클레임의 실무적 이해 (FIDIC 조건과 국가계약법을 중심으로)

정영모  | 바른북스
0원  | 20190315  | 9791163561095
이 책은 건설 클레임을 실무적으로 접근하여 여러 가지 사례를 싣고 있으며, 국내공사와 해외공사 클레임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클레임의 사유와 절차, 설계변경, 분쟁해결 기구 및 절차, 지연분석 방법, 공기연장에 따른 간접비 청구에 대해 FIDIC 조건과 국가계약법을 중심으로 상술하고 있다.
9788927413349

건설! 클레임에 길을 묻다 (위기의 건설! 생존을 위해 클레임에게 길을 묻다.)

이승현  | 예문사
16,200원  | 20150320  | 9788927413349
『건설! 클레임에 길을 묻다』는 나를 둘러싼 잘못된 관행, 동조, 규제, 제도, 환경을 알고 거기서 내가 어떻게 생존해야 하는가를 생각하는 책이다. 또한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잃어버리고 있었던 나의 권리, 사회적 동조 속에 잘못 인식하고 현재는 마치 그것이 법률인 것처럼 인식된 가짜 규정에 빼앗긴 목소리를 내고자 한다.
9788996879299

건설분쟁사례해설 (건설 클레임·소송·실무·분쟁사례를 중심으로)

윤성철, 최승준  | 법과교육
108,000원  | 20220919  | 9788996879299
법무법인 정진 시절부터 인연을 맺고 이후 법무법인 로베이스를 창립한 발기인으로 의리와 신의를 함께 해온 최승준 변호사와 함께 저희 전문분야인 건설 분야 전체를 망라하는 법적 쟁점에 대하여 출간을 결심을 하였습니다. 특히 윤성철 변호사의 현재 활동 중인 한국공정거래조정원 하도급분쟁조정협의회에서 위원과 위원장으로 10년 전부터 현재까지 활동해 온 경험과 대한변호사협회 건설전문변호사로서 건설법무대학원의 경력을 가진 최승준 변호사의 지혜를 모아 그간의 건설분야의 실무경험과 사례를 중심으로 집필을 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본 책은 건설공사도급계약부터 건설도산 분야까지 22개의 장으로 구성된 건설의 관련 모든 분야를 망라하고 관련 법적 쟁점을 정리하였으며 특히 로베이스에서 수행한 하급심 판결과 일본 문헌[특히 ?崎 勤·安藤一郞 編, 建築關係訴訟法 (新?裁判實務大系 2.), 1999.12. 靑林書院]을 분석하여 삽입하였습니다.
9791193258095

부실벌점의 주요 쟁점

법무법인 율촌 건설클레임연구소, 정유철, 조희태, 김한솔  | 대한경제
26,550원  | 20240610  | 9791193258095
법무법인 율촌 건설클레임연구소의 『부실벌점의 주요 쟁점』은 〈부실절점을 소개합니다〉, 〈부실벌점에서 주로 문제되는 쟁점〉, 〈어떤 사유로 부실벌점을 부과할수있나요〉 등에 대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이 수록된 책이다.
9791188761524

건축견적이야기 6 (설계변경과 건설클레임을 알고 대처하자! 건설원가관리사 자격증으로!)

현동명  | 건설경제
16,200원  | 20200710  | 9791188761524
현장기술자를 위한 『건축견적이야기』 제6권은 〈설계변경의 이해와 접근 방법〉, 〈공사원가를 개선하는 방법과 건설클레임〉, 〈한국형 Q.S제도(건설원가관리사 KQS)〉 등 건축 수량산출 및 내역서 작성 실습항목의 이해 및 설계변경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9791130344782

국제건설계약 금전 클레임의 이론과 실무 (영미법과 Fidic 및 Jct 등 표준계약조건을 중심으로)

김준범, 윤덕근  | 박영사
21,160원  | 20230815  | 9791130344782
국제건설계약에서 흔히 quantum claim 혹은 monetary claim으로 지칭되는 금전 클레임은 계약조항에 근거한 추가공사비 청구 및 계약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등 금전지급을 구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대규모 국제건설 프로젝트에서는 구체적인 프로젝트의 규모와 복잡성에 따라 작게는 수천만 달러에서 많게는 수억 달러 규모의 금전 클레임(quantum claim)이 발생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건설프로젝트 중 하나인 파나마 운하는 약 10년간의 건설프로젝트에서 총 수억 달러가 넘는 금전 클레임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런던 크로스레일(Crossrail) 프로젝트에서는 수십억 파운드가 넘는 금전 클레임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 건설사도 프로젝트마다 수억에서 수조 원에 달하는 금전 클레임을 제기하고 있고 상당수는 중재나 소송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실정에도 불구하고 국제건설계약이나 클레임 전반을 다루는 서적은 나오고 있으나, 금전 클레임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국문 서적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저서에서는 국제건설계약 분쟁을 수행한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금전 클레임을 상세히 정리하려고 하였다. 본서는 시공자가 많이 제기하는 주요 금전 클레임의 개념과 산정 방법, 산정 시 유의사항 등을 다루고 있으며, 이를 산정하고 평가하는 데 중요한 법적 잣대가 되는 손해배상에 관련된 법적 내용, 그리고 금전 클레임과 관련된 다양한 판례 등을 다루고 있다. 본서를 통해 국제건설계약 분쟁을 다루는 변호사나 건설사 직원 등의 실무가들의 금전 클레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분쟁 상황에서 보다 효과적인 대응을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제1장에서는 국제건설계약에 따른 금전 클레임을 제기할 때 적용되는 손해배상의 일반적인 개념, 원칙 및 제한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손해배상의 원칙은 금전 클레임의 이론적 근거로서 법원이나 중재재판부가 금전 클레임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잣대에 해당한다. 손해배상에 대한 법적 내용은 방대하고 난해할 뿐만 아니라 건설계약 외의 다양한 계약들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본 저서에서는 건설계약에서의 손해액 산정(quantum)에 실무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내용 위주로만 다루었다. 예컨대 손해는 적극적 손해와 소극적 손해로 분류될 수 있지만, 본서에서는 영국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표준 계약인 Joint Contracts Tribunal(JCT) 표준계약조건 및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s Ingénieurs­Conseils(FIDIC) 표준계약조건을 포함한 국제건설계약 표준 계약이 채택하고 있는 통상손해와 특별손해의 분류 방식을 기준으로 손해액 산정을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제1장은 계약상 명기된 보상 청구권과 계약위반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권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한다(1.II.장). 손해배상책임의 요건에 관하여 영미법계는 무과실책임주의를 원칙으로 하는 반면 대륙법계는 과실책임주의를 채택하는 점(1.III.장) 영미법계와 대륙법계에서 손해배상 산정 원칙과 산정 범위, 손해배상액의 산정에 있어서 판사나 중재재판부의 재량권의 여부 등을 다루며(1.IV.장) 손해배상책임을 제한하는 여러 사유 등에 대해 살펴본다(1.V.장). 계약 당사자는 계약 위반이 발생하기 전에 계약 위반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지불해야 할 손해배상액을 미리 정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쟁점도 다루고자 한다(1.VI.장) 제2장에서는 한국 시공자가 해외건설 프로젝트에서 빈번하게 제기하는 혹은 직면하게 되는 주요 금전 클레임의 산정방법 및 이에 대한 유의사항을 다룬다. 2.I.장에서는 건설계약에서 금전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두 가지 경로인 시공자 클레임(Contractor’s claim)과 공사변경(Variation)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2.II.장에서는 시공자 클레임(Contractor’s claim)의 금액 산정 시 주로 기준이 되는 손실 및 지출(loss and expense)과 비용(Cost)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2.III.장에서는 설계변경을 포함한 공사변경(Variation)에 대한 금액 산정방법 및 유의사항을 설명하고자 한다. 공사변경(Variation)은 공사계약의 대상인 역무의 제공과 관련하여 내용의 변경이 생기는 것을 말하는데, 공사변경(Variation)에 따른 추가공사비 금액 산정 시 자주 쟁점이 되는 7가지 사안에 대해, JCT 및 FIDIC 계약조건을 포함한 국제건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 표준건설계약 및 (ii) 영국법적 관점에서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지연 및 방해(delay and disruption) 문제에 대한 유용한 지침을 제공하는 Society of Construction Law Delay and Disruption Protocol 2017년 개정판(“SCL 프로토콜”) 그리고 (iii) 영국법에서 제시하는 규칙 혹은 지침을 설명하고자 한다. 2.IV.장에서는 건설관리 관련 미국 중심의 대표적인 협회인 Association for Advancement of Cost Engineering International(“AACEI”)의 Recommended Practice 및 미국법 그리고 SCL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방해(Disruption) 클레임을 다루고자 한다. 방해(Disruption) 클레임이란 시공자의 계획 대비 저하된 생산성에 따른 추가 비용을 발주자 측 사유와 연계하여 클레임하는 것을 의미한다. 2.V.장에서는 현장간접비(On­Site Overhead) 클레임에 대해 다룬다. 현장간접비 클레임은 건설계약에서 prolongation claim으로 흔히 지칭되며, 계약에서 정해진 공사 완료 기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사가 연장되었을 때 발생하는 현장간접비의 지급을 청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현장간접비 클레임은 공사가 지연되어 추가로 발생하는 인건비, 임대료, 간접 비용 등의 손해에 대한 청구로 전개된다. 현장간접비 클레임과 관련하여 영국의 주요 판례인 Costain v Haswell 사건과 Walter Lilly v Mackay 사건을 중심으로 현장간접비 산정방법 및 이에 대한 유의사항을 설명하고자 한다. 2.VI.장에서는 본사 간접비(Off­site Overhead) 클레임, 이윤 클레임 및 일실손해 클레임을 다룬다. 본사 간접비 클레임은 본사 간접비가 발주자 측 사유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 그 보상을 요구하는 클레임으로서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간접 비용 중에서, 시공자 본사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그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본사 건물 및 본사 직원을 운영하는 비용 및 본사에서 처리하는 각종 부대비용 등이 본사 간접비 클레임의 대상에 포함된다. 이윤은 공사마진의 개념으로서 계약적으로 비용과 더불어 이윤을 보상하는 경우의 클레임을 의미한다. 일실손해 또는 일실이익의 손실(loss of profit)은 발주자 측 사유로 인하여 시공자가 얻을 수 있었으나 얻지 못한 이득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클레임을 일실손해 클레임으로 부른다. 2.VI.장에서는 본사 간접비 클레임, 이윤 클레임 및 일실손해 클레임을 영국의 주요 판례인 Walter Lilly v Mackay 사건과 영국법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건설 프로젝트에서 하자(defect)가 없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공자가 아무런 하자도 발생시키지 않거나, 하도사나 공급 업체(vendor)와의 관계에서 아무런 문제없이 건설 공사를 완료시키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하도사나 공급업체로 인해 하자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공사의 적기완료를 위해 혹은 다른 여러 사유로 인해 시공자는 하도사 또는 공급업체 대신 문제를 해결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하도사 또는 공급업체에 상환을 청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실무상 백차지(back charge)라고 부른다. 2.VII.장에서는 백차지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과 건설하자에 있어서 백차지(back charge)에 대해 캐나다 판례와 영국법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건설 프로젝트에서는 계약 당사자 중 일방이 계약 조건을 위반하거나 계약서에 명시된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상대방이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2.VIII.장에서는 계약의 해지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클레임에 대해 FIDIC 계약조건을 중심으로 다루고자 한다. FIDIC 계약조건에서는 (i) 시공자 측 사유에 따른 계약 해지, (ii) 발주자의 임의해지(Termination for convenience), (iii) 발주자 측 사유에 따른 계약 해지를 규정하는바, 각각의 경우 어떠한 금액 항목들이 검토되어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들은 본 저서를 마무리하면서 여러 가지 한계를 실감하였다. 본서는 주로 국제건설계약의 준거법과 이론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영미법, 특히 영국법을 중심으로 작성되었다. 실제 국제건설 관련 분쟁 및 중재에 있어 영국 법률가들이나 감정인들(quantum expert)이 준거법과 관계없이 주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관련 논문이나 저서들도 주로 (대륙법과의 비교법적 연구 또한) 영미법 관점에서 작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아직 국내법을 포함한 대륙법의 입장에서의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나름대로 비교법적 논의를 하려고 하였으나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다음으로, 영미법에서 사용되는 여러 용어를 한글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번역이 자연스럽지 않거나 우리나라의 법률용어와 정확히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영미계약법이 상사 실무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하면 아직 영미계약법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부족하여 정확한 국문용어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으며, 실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문 용어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아 번역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필자들은 오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영문을 병기하고자 노력하였다. 필자들은 손해배상원칙의 관점에서 국제건설계약의 금전 클레임을 설명하고자 하였는데, 법학에서 방대하고도 복잡한 내용에 해당하는 손해배상원칙을 비법률가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요약하여 제시하다 보니, 필요한 법적 논의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 있다. 국제건설실무를 최대한 알기 쉽게 정리하고자 한 본 저서의 목적을 고려해 글의 흐름을 깨지 않는 선에서 각주 등에 최대한 관련 논의를 언급하고자 하였으나, 한계를 부정하지 않을 수 없다. 마지막으로 계약상 명기된 보상 청구권과 계약위반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권 등이 어떠한 경우에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권리를 청구하는 절차에 대해서는 글의 흐름상 심도 있게 논의하지 못했다.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수억에서 수조 원에 달하는 금전 클레임과 씨름하며 고군분투하고 있는 여러 실무가들에게 본서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2023년 8월 김준범·윤덕근
9791188761678

건설현장의 위험과 클레임처리

김정식  | e대한경제
45,000원  | 20210817  | 9791188761678
이 책은 건설현장의 위험과 클레임처리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건설현장의 위험과 클레임처리에 대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91156108733

건설공사 공기지연 클레임과 분쟁 (입증방법과 평가방법을 중심으로)

김영재, 김기현  | 씨아이알
37,800원  | 20200831  | 9791156108733
입증ㆍ평가 방법을 중심으로 한 공기지연 클레임 분쟁 건설 클레임은 발주자와 시공자 간에 발생하는 불신과 갈등의 결과물이 아니다. 건설 클레임은 성공적인 건설 프로젝트 완료라는 목적을 위해 프로젝트 수행 중 발생하는 각종 변경사항에 대한 영향력을 계약당사자들이 적시에 논의하기 위한 계약적 행위이다. 변경사건 발생에 대한 적시통보와 합리적으로 영향력 분석을 시행한 클레임 제출을 통해 발주자와 시공자 간에 영향력과 만회방안에 대한 적극적 협의를 시행함으로써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료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산업에서 클레임은 반드시 활성화되어야 한다. 클레임에 대한 통지기한 및 입증 방법 등과 관련하여 평가가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는 해외 건설현장에서 해외 선진 건설업체들에 비해 클레임 수행역량이 미흡한 아국 건설업체들이 발주처로부터 상당한 지체배상금 위험에 처해 있다는 소식을 대중매체를 통해 낯설지 않게 접할 수 있다. 대부분의 건설현장은 공기지연이 발생한 그 시점에서 지연사건의 영향력을 명확히 분석하여 클레임을 추진하거나 만회업무에 대한 후속 클레임 협상업무를 수행하기보다는 준공지연이 사실상 확정되는 상황에 이르러서야 지체상금을 회피하거나 지연 관련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공기연장 클레임이나 분쟁을 추진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따라서 대다수의 공기지연 클레임이 적시 해결되지 못하고 현장은 외부의 컨설팅업체 또는 국내외 대형 로펌과 클레임 용역과 분쟁을 진행하여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추가적인 손실을 보는 안타까운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 이 책은 건설공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그 영향이 심대한 공기지연 클레임과 관련하여 공기지연에 영향력의 합리적인 입증 방법과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건설 클레임 관련 학술지와 주요 국제적 기관에서 발행하는 공기지연 클레임 관리에 대한 단행본, 그리고 필자가 실제 국내외 다수 대형 건설현장에서 경험한 공기연장 클레임 실무 사례를 토대로 책의 주요 내용을 구성하였다.
9788993451191

건설업의 클레임과 민원해결

노순규  | 한국기업경영연구원
27,000원  | 20100401  | 9788993451191
『건설업의 클레임과 민원해결』은 법률상 권리로 정해지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건설계약하에 혹은 건설계약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분쟁에 대해 금전적 지급을 요구하거나 계약조건의 조정이나 해소, 그리고 다른 구제조치를 요구하는 서면적 청구 및 주장을 하는 건설 클레임에 대하여 살펴본다.
9791188761630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클레임 관리 (해외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자 관점)

임정주, 이현경, 김기호  | e대한경제
31,500원  | 20210226  | 9791188761630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클레임 관리』는 〈공사변경 클레임〉, 〈예상할 수 없는 부지조건 클레임〉, 〈발주자 행위에 의한 클레임〉, 〈불가항력 클레임〉, 〈공사중단 & 계약해지 클레임〉, 〈공기연장 클레임〉 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9791156107088

계약 클레임 리스크 관리

김옥규, 박형근, 장경순, 조영준, 이민재  | 씨아이알
11,700원  | 20190225  | 9791156107088
건설의 계획, 설계, 시공 그리고 운영 및 유지 관리에 이르는 건설사업 전반의 프로세스 2019년 ‘한국건설관리학회’가 창립 20주년을 맞습니다. 그러나 20년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아직 건설관리학의 전반을 망라하는 건설관리학 총서가 없다는 것은 그동안 큰 아쉬움이었습니다. 몇몇 번역서가 있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이 안타까웠습니다. 이에 우리 집필진은 글로벌 표준을 근간으로 하고, 우리나라의 현실을 반영한 건설관리학 총서를 집필하였습니다. 우리는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의 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을 참조하여 총서의 구성을 설정하고, 건설관리 프로세스의 흐름을 중심으로 내용을 기술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현실을 반영하고, 현업에서 두루 활용되고 있는 실무적인 내용을 추가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였습니다. 본 총서는 다음과 같이 4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권은 계약 관리, 클레임 관리, 리스크 관리, 제2권은 설계 관리, 정보 관리, 가치공학 및 LCC, 제3권은 공정 관리, 생산성 관리, 사업비 관리, 경제성 분석 그리고 제4권은 품질 관리, 안전 관리, 환경 관리입니다. 위 네 권의 책은 건설의 계획, 설계, 시공 그리고 운영 및 유지 관리에 이르는 건설사업 전반의 프로세스를 아우릅니다. 본 총서는 여러 저자들의 재능기부로 완성되었습니다. 모든 저자들이 건설관리학 총서를 발간한다는 역사적인 취지에 공감하고 기꺼이 집필에 참여해주셨습니다. 적절한 보상도 없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주신 저자들께 한국건설관리학회를 대신하여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본 총서는 대학생 교육을 위한 교재로 집필되었습니다. 본래 한 권의 책으로 발간하려 하였으나, 저술되어야 하는 분야가 광범위하고, 각 분야가 전문적으로 독립되어 있어서 한 권으로 발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습니다. 또한 책 내용을 수정, 보완하는 데 대용량의 한 권의 책은 민첩성이 떨어져 효과적인 교재 관리가 어렵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런 숙고의 과정을 통하여 네 권으로 구성된 총서가 발간되었습니다. 현재 건설관리학 총서는 초판 수준으로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습니다. 우리 저자들은 지속적으로 책의 내용을 수정, 보완해나갈 것입니다. 이 책으로 공부하는 대학생들이 건설관리학 분야에 흥미와 관심을 갖게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9788964147139

공기연장 클레임 실무 (공기지연 방해요인 분석)

임정주  | 두남
0원  | 20161115  | 9788964147139
▶ 이 책은 공기연장 클레임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공기지연 및 방해요인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88958212928

알기 쉬운 국제 플랜트 계약과 클레임 강의

손동환  | 법률출판사
40,500원  | 20161110  | 9788958212928
본 개정판에서는 초판 내용 중 특히 Termination 효과와 유의사항 부분을 수정하였고, 문맥과 오탈자 등을 바로 잡았으며 또한 관련된 판례를 일부 보충하였다. 그 이외에 계약자에 의한 Termination, 플랜트 계약과 관련한 보험 부분을 추가하였고, 플랜트 계약이 이른바 Main Contractor이외에 다수의 계약 참여자들(Subcontractor, Vendor, Consortium Partner)이 참여한다는 점에서 플랜트사업과 관련한 각종 계약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샘플 계약서들을 첨부하였다. 특히, 플랜트 사업과 관련한 각종 계약의 샘플에 각주 등을 통하여 유의사항을 기재하였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