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극동지역"(으)로 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63473727

러시아 극동지역의 역사

S. M. 두다료노크 외 23인  | 진인진
36,000원  | 20180310  | 9788963473727
『러시아 극동지역의 역사』는 러시아 극동연방관구의 역사를 러시아 제국의 동방진출 이전 시기, 러시아 제국의 동방 지배시기인 17세기~20세기, 러시아 혁명기 및 소비에트 지배시기, 소비에트 해체이후 현재까지의 시기로 구분하여 정치, 경제, 종교, 민족의 영역을 기준으로 기술하여, 선사시선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 방대한 지역에서 진행되어 온 역사의 과정을 소개한다.
9788932201016

러시아 극동지역 투자가이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38,300원  | 20131107  | 9788932201016
『러시아 극동지역 투자가이드』는 러시아 극동지역 투자에 관심이 있지만 정보를 갖지 못한 기업들을 위해 기획된 책이다. 총 5장으로 구성하여, 러시아 극동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부터 러시아 극동지역 외국인투자자의 교훈 및 경험까지 살펴본다.
9788932213408

한 러 극동지역 경제협력 20년 (새로운 비전과 실현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편집부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12,000원  | 20101230  | 9788932213408
9791188165599

러시아 극동지역 조선산업 동향과 한-러 협력 방향 (수산업과 연계한 어선 건조 정책 활용 전략)

김학기, 김민지  | 산업연구원
5,000원  | 20170621  | 9791188165599
▶ 이 책은 산업연구원의 러시아 극동지역 조선산업 동향과 한-러 협력 방향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88971802069

동토의 디아스포라 (러시아 극동지역과 한인들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이채문  | 경북대학교출판부
14,500원  | 20070730  | 9788971802069
1863년 러시아의 연해주 지역으로 한인들이 처음으로 이주한 지 140여 년이 흘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1903년 1,133명의 한인들이 하와이로 건너가 사탕수수 농장의 노동자로 일하면서 시작된 미주지역으로의 한인 이주 역사보다 러시아 지역 고려인들의 역사가 훨씬 장구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러시아의 한인 이주민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되었다는 문제의식 아래, 독립국가연합의 고려인 이주민들에 대한 연구의 흔적을 모아놓은 것이다. 총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러시아의 아시아 및 극동지역 진출과 민족문제, 한인의 러시아 극동지역 이주,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및 극동지역 귀환이주 문제 등을 다루고 있다.
9791159673368

러시아 극동 바이칼 지역의 개발과 신북방 경제협력의 여건

 | 휴먼컬처아리랑
28,000원  | 20160815  | 9791159673368
21세기 ‘신동방정책’으로 표현되는 푸틴 정부의 극동지역 개발은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극동지역 개발에 참여한다는 측면에서 과거와는 차별성을 갖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극동지역의 외국인투자 유치 및 대규모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극동개발펀드’를 설립하였고, 정부조직 개편을 통해 극동지역 개발을 전담하는 ‘극동개발부’를 신설했습니다. 또한 2012년 9월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한 뒤 2013년 3월 말에는 2025년을 목표로 대규모 재정을 투입하여 교통, 에너지, 사회 인프라 등 각종 인프라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장기극동개발프로그램을 승인했습니다. 이처럼 러시아가 ‘신동방정책’을 추진하면서 최근 중국, 일본 등 주변국들의 극동지역 개발진출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한국도 이미 2012년에 러시아의 WTO 가입 등을 계기로 한 ? 러 경제협력 활성화 차원에서 ‘신북방정책’의 기조를 펼쳐나가기로 천명한 바 있습니다.
9788928509249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유라시아 (대외정책, 경제통합 그리고 극동개발)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 유라시아 연구사  | 민속원
19,800원  | 20170625  | 9788928509249
유라시아 지역 국가들의 대외정책을 글로벌화 및 지역주의가 초래하고 있는 거대 지역통합 흐름과의 관련 속에서 고찰하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와 연이은 유럽 국가들의 재정위기에 대한 대처 과정에서 중국의 존재감 증대로 G2체제가 운위되는 등, 글로벌 세력 구성과 배치에서 커다란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특히 EU의 동방으로의 확산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러시아가 탈소공간에서 야심차게 주도하고 있는 EEU(유라시아경제연합:Eurasian Economic Union)와의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EU와 EEU 간 탈소공간의 둘러싼 통합 경쟁 등 국외적 핵심 영향 변수들이 변화되고 있는 환경에서 새로운 발 전모델을 선택하고 있는 유라시아 국가들의 기존 대외정책노선의 성격과 핵심 내용들을 재검토하고, 영향 변수들의 변화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대외정책의 전개 방향을 검토하고 전망하는 것이 이 책의 연구 목표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