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무역
· ISBN : 9788932201016
· 쪽수 : 572쪽
· 출판일 : 2013-11-07
목차
발간사
서론
제1장 러시아 극동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 외국인투자 및 기업유치 기반
1.러시아 극동지방의 일반적 특징
2. 극동에 대한 연방 및 지역 개발계획
3.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한 연방 및 지역 활동
제2장 러시아 극동지역 사업을 위한 법적 근거
1. 외국인투자에 대한 주요 법적 규제
1) 투자제도 및 투자에 대한 보장
2) 외국인투자의 제한
3) 배당소득의 원천징수
2. 극동에서의 회사 설립 및 사업 수행
1) 러시아시장 진출을 위한 경제적 전제조건
2) 현대 러시아의 시장동향
3) 시장 진입에 필요한 금융수단: 대표적 대안
4) 직접투자에 따른 금융서비스, 보험, 감사, 평가 및 기타 서비스
5) 외환관리
6) 법적 기반
7) 추진 및 관리
8) 위험성 및 전형적인 실수: 변호사, 감사, 금융전문가의 조언
제3장 러시아 극동지역의 사업 및 투자환경
1. 거시경제적 분석
1) 2004~11년 극동지역 발전의 거시적 분석
2. 투자 및 투자환경: 최근 동향
1) 투자유치의 주요 동향
2) 극동지역별 투자환경
3. 극동 연방 관구 내 투자 위험성
1) 사하(야쿠티아)공화국 투자 위험성
2) 캄차카 주 투자 위험성
3) 연해주 투자 위험성
4) 하바롭스크 주 투자 위험성
5) 아무르 주 투자 위험성
6) 마가단 주 투자 위험성
7) 사할린 주 투자 위험성
8) 유대인 자치구 투자 위험성
9) 추코트카 자치구 투자 위험성
4. 러시아 극동지역의 사업 및 투자 환경: 기업 관점
5. 투자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문화적 특징
제4장 러시아 극동지역의 유망투자 대상
1. 에너지
1) 전기에너지
2) 석유와 가스 생산
3) 광물자원
4) 외국인투자자들이 겪는 문제점 및 해결방안
2. 농업
1) 개요
2) 발전 전망
3) 투자자들이 당면하는 문제점과 도전과제들
4) 문제점 해결방안
3. 어업
1) 일반적 특성 및 혁신적 유망 프로젝트
2) 투자자들의 당면 문제점 및 도전과제들
4. 임업
1) 일반적 특성
2) 우선투자 프로젝트
3) 임산물 수출동향
4) 한국기업과의 투자협력 시 문제와 전망
5. 운송과 물류
1) 해상 운송
2) 내륙 수운
3) 철도 수송
4) 항공 운송
5) 도로 및 육로 수송
6) 관로 수송
6. 인프라 및 건축업
1) 2018년 연방 계획의 일환으로 예정된 건축사업
2) 설계 시공회사 개요
3) 건축자재 시장
4) 건축공사 및 수행절차
7. 서비스 분야
8. IT 및 통신 부문
9. 중공업 부문
10. 은행 부문
11. 금융 부문
12. 의료 부문
제5장 러시아 극동지역 외국인투자자의 교훈 및 경험
1. 칼루가 주 외국인투자 유치 분야에서의 성공사
2. 성공사례: ‘하바롭스크공항’ 사(社)와 ‘인천국제공항’ 사(社)의 협력
부록
1. 러시아 극동지역 투자진출을 위한 전문가 조언
1) 러시아 극동지역: 바로 여기에 투자처가 있다
2) 21세기 초 ‘태평양 러시아’의 발전 방향과 극동 투자자들의 고려사항
3) 극동 러시아 진출방안
2. 러시아 극동지역 정보
1) 연해주 지방
2) 하바롭스크 지방
3) 사할린 주
4) 마가단 주
5) 캄차카 주
6) 아무르 주
7) 유대인 자치구
8) 추코트카 자치구
3. 러시아 극동지역에 대한 투자프로젝트
1) 연해주
2) 하바롭스크 주
3) 사할린 주
4) 마가단 주
5) 캄차카 지방
6) 아무르 주
7) 유대인 자치구
8) 추코트카 자치구
9) 연방 ‘태평양수산업과학연구센터’에서 제안한 러시아 극동지역 어업분야 투자 프로젝트
4. 외국 및 러시아 기업 대상 설문조사 결과
1) 서문
2) 외국인투자 확대를 저해하는 요인
필자 소개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