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을 위한 한국어문화론
김덕호, 나채근, 이철희, 이재섭, 황지윤 | 역락
26,100원 | 20240828 | 9791167428646
한국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도구를 넘어서 한국인의 얼과 문화를 형성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한국인을 위한 한국어문화론’은 언어를 문화의 차원에서 이해할 때, 한국어의 다차원적 측면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집필하게 되었다. 한국어의 탄생과 발전, 그리고 한국어가 한국문화와 어떠한 상호작용을 이루며 현재의 모습에 이르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한국어가 한국인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며, 세대 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인이라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잘 안다고 자부하지만 정작 이를 한국인이 아닌 외국인에게 설명하려고 할 때 무엇을 말해야 할지 망설이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적어도 이 책의 내용 정도를 이해하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부에서는 인간의 탄생과 함께 언어와 문화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인류의 진화 과정에서 언어의 발달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문명과 문자 언어가 형성되면서 문화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다룬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언어와 문화의 기초적인 상관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제1장에서는 인류의 진화와 함께 언어가 어떻게 발달했는지, 초기 역사와 문화의 시작, 문명의 발달과 문자 언어의 등장이 인류 문화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제2장에서는 문화의 정의와 개념, 속성과 특성을 논의하며, 문화의 역사와 진화를 통해 변화와 발전 과정을 분석한다. 제3장에서는 언어의 본질, 언어 능력과 뇌의 역할, 언어의 특성과 분류, 다양한 기능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언어가 인간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언어와 문화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제1부는 인류의 기원과 함께 언어와 문화의 발전 과정을 종합적으로 탐구하여, 인간의 본질과 사회적 존재로서의 특성을 밝힌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언어와 문화의 상호 연관성과 중요성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2부에서는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한국어가 문화를 담는 그릇으로서의 역할과 언어와 문화의 상호작용 및 발전 과정을 살펴본다. 또한, 한국어문화의 분석 방법론과 한류의 확산 속에서 한국어의 위치를 조명한다. 한국어 사용 원리와 한국어문화론의 정립을 통해 한국어의 독특한 특성과 중요성을 분석한다.
제4장에서는 언어가 문화를 담는 그릇으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탐구하고, 언어와 문화의 상관성과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언어문화 분석 방법론을 다루며, 질적 분석법과 테크놀로지 활용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제6장에서는 한국의 언어문화와 한류를 깊이 탐구한다. 한국의 민족문화와 한국어의 관계, 대표적인 한국 정신문화 중 하나인 풍류정신문화, 한류의 확산과 다문화 시대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역할을 분석한다. 제7장에서는 한국어 사용의 원리-공손성, 경제성, 정확성, 표현성-을 체계적으로 논의하여 한국어 사용의 독특한 방식을 설명한다. 제8장에서는 한국어문화론의 성격과 정립 과정을 다루고, 연구 방향성을 제시한다.
제2부는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탐구하여 그 독특한 특성과 중요성을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독자들은 이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상호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한국어문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제3부에서는 문화 속에서 한국어의 사용과 연구를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한국어 방언의 문화적 코드를 탐구하고, 한국어문화 자원의 조사 및 연구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한국어문화 콘텐츠의 실용적 활용과 경제언어학적 산업화 가능성을 논의한다.
제9장에서는 한국어 방언의 언어문화적 측면을 분석하고, 문학 작품에서 방언의 효과와 그 문화적 의미를 살펴본다. 제10장에서는 한국어문화 자원의 조사 방법론과 이론적 틀을 설명하며, 체계적인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제11장에서는 한국어문화 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론과 아카이브 구축론을 제시하고, 정책 분석을 통해 한국어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제12장에서는 한국어문화 콘텐츠의 실용적 활용과 산업화 방안을 모색하며, 경제적 잠재력을 논의한다.
제3부는 한국어의 문화적 및 경제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한국어문화 연구의 중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한다. 독자들은 한국어의 실용적 활용 방안과 연구의 방향성을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요즘 한류 열풍으로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정작 한국인들이 우리 말과 문화를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해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설명해야 할 때 망설이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잘 이해하고자 하는 한국인들을 위한 참고서가 될 것이다. 또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좀 더 깊게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을 위한 안내서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이 책이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관심을 가진 모든 이들에게 유익한 지침서가 되면서,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이 단순한 언어 학습을 넘어, 우리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여정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그리고 이러한 여정이 우리 언어와 문화를 보전하기 위한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