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만화영화"(으)로 231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68182877

지금, 만화 : 26호 [2025] (SF + 만화)

지금만화 발간위원회  |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700원  | 20250805  | 9788968182877
‘SF + 만화’를 만화비평으로 풀어내다! SF와 만화의 조우를 만화비평으로 해석하는 단 한 권의 비평지! 􀀀 한국 SF 만화는 어디서 어떻게 시작됐을까? 􀀀 왜 유독 한국에서는 SF 장르가 맥을 못 출까? 􀀀 세기말 종말론을 다룬 웹툰은 왜 SF 장르로 그릴까? 􀀀 SF 웹툰은 어떤 키워드로 찾을 수 있을까? 􀀀 웹툰ㆍ웹소설 작가의 2차 저작권을 지키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비평지 소개 《지금, 만화》는 지난 2018년 1호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 유일의 만화비평잡지로 자리를 잡았다. 웹툰만화학과를 비롯한 학계와 만화이론연구가뿐만 아니라 웹툰 플랫폼과 에이전시, 관련업체 종사자들, 그리고 작가지망생과 전공학생들이 만화비평잡지,《지금, 만화》를 환영하고 있다. 한국 만화웹툰계에서 일어나는 가장 뜨거운 핫이슈를 숨김없이 들여다보고 관련 작품을 날카롭게 비평하며 생생한 인터뷰도 전하는 매체가 거의 전무한 만큼,《지금, 만화》를 통해서 만화와 웹툰을 보고자하는 사람들의 수가 점점 늘고 있는 것이다. 2025년《지금, 만화》 26호는 과학기술이 발달한 미래 속 인간군상과 휴머니티의 고찰을 다루는 SF 장르에 대해 알아본다. 본래 SF는 사이언스 픽션의 줄임말로 과학적 사실이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창작물을 뜻한다. SF 장르는 인간이 가볼 수 없는 미래를 통해서 현재를 점검하고 인간과 인류애를 되짚게 만든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의 장밋빛 미래를 꿈꿨지만, 기후위기, 핵무기 개발, 인공지능 발명 등으로 미래를 바라보는 시선은 암울하고 부정적이기만 하다. 영화, 문학뿐만 아니라 만화웹툰까지도 세기말 디스토피아와 기계와의 전쟁, 외계인의 침략과 대결 등 과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인류의 존재를 다시금 생각하게 만든다. 한국 SF 장르도 꾸준히 충성적인 독자들을 형성하며 생태계를 자생시켰다. 1952년 최성권의〈헨델박사〉가 최초로 발표된 이후 1959년 김산호의〈정의의 사자 라이파이〉로 공상과학 만화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켰다. 1960년대는 훨씬 다양한 SF 만화가 등장했다. 왕현의〈저 별을 쏘라〉, 신동우의〈싸워라 지구함대〉, 박기당의〈천리안〉, 이정문의〈설인 알파칸〉 등이 우주, 로봇, 액션영웅을 내세워 주목받았다. 2000년대에 들어서도 SF 만화와 웹툰의 관심은 식지 않았다. 멀리 갈 필요도 없이, 지난 10년간 연재 되었던 웹툰만 떠올리면 오늘날에도 중요하게 언급되는 웹툰 중 상당수가 SF 장르의 작품이다. 한때 공고한 팬덤을 형성하며 10년 가까이 연재되었던 양영순의〈덴마〉, 만화 연출을 논할 때 반드시 한 번 즈음은 언급되는 이경탁, 노미영의 〈심해수〉, 최근 1부를 마무리하고 휴재 중인 뱁새, 왈패의〈물위의 우리〉도 한국 SF 웹툰의 명맥을 잇고 있다. 통계적으로도 SF 웹툰을 명확히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이나 환경은 모호해졌지만 최근 SF 웹툰으로 분류되는 작품 수는 매년 두 배 가까이 증가하고 있다. 결국 SF는 만화 매체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장르 중 하나임은 분명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화웹툰 산업계에서는 여전히 SF 장르를 비주류 장르로 여기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노블코믹스의 제작시스템이 고착되면서 웹툰 시장에 자리잡은 로맨스 판타지, 현대 판타지에 비해 SF 장르의 입지는 여의치 못하다. 그러나 만화웹툰 시장 내에서 틈새로 불리는 좁지만 강한 독자층을 형성한 장르임을 이미 역사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9791199278707

쿄로쿄로 창간특별호: 에반게리온+a (창간특별호)

쿄로쿄로 편집부  | 쏘리프레스
16,200원  | 20250623  | 9791199278707
〈쿄로쿄로〉는 국내 유일 애니메이션 전문 반년간 실물 매거진이다. 애니메이션을 단순히 보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사유하고, 기록하고, 공유하는 문화로 확장시키기 위해 〈쿄로쿄로〉는 탄생했다. 그 창간호는 일본 애니메이션의 가장 상징적인 작품 중 하나인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30주년을 맞아 ‘에반게리온+a’라는 주제로 완성됐다. ‘a(알파)’란 동시대 애니메이션이 어떤 방식으로 에반게리온의 영향을 받아왔는지 비평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이자 해석이다. ‘에반게리온 시리즈’에 대한 각종 정보와 분석, 비평을 비롯해 국내외 에반게리온의 성지 탐방기, 국내 에반게리온 전문가와 더빙판 성우들과의 인터뷰, 현 세대 에바 문화를 책임지고 있는 SNS 계정주들과의 대담, 에반게리온을 사랑하는 창작자들의 솔직한 에세이, 독자와 함께한 앙케이트 등으로 지면을 꾸몄다. 《에바 오디세이》를 집필한 이길용 서울신학대학교 종교학 교수, 송경원 〈씨네21〉 편집장, 멜트미러 영상작가 등 애니메이션을 사랑하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이 참여했다. 《쿄로쿄로 창간특별호: 에반게리온+a》는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약 2,500만 원의 모금액을 달성하는 등 출간 이전부터 많은 애니메이션 매니아들에게 환영을 받았다. 애니메이션을 향한 새로운 장에 독자 여러분을 초대한다. 앞으로 더 넓고, 지대한 평원이 〈쿄로쿄로〉 앞에 펼쳐지길.
9791198807076

매거진 C(Magazine C) No 5: K Chair (체어 다큐멘터리 매거진)

매거진 C 편집부  | 그란데클립
21,600원  | 20250630  | 9791198807076
■ 매거진 《C》 매거진 《C》는 그란데클립과 매거진 《B》가 매호 아이콘 체어를 선정해 이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라이프스타일을 소개하는 체어 다큐멘터리 매거진입니다. 관련 산업과 대중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유명 의자부터 거리의 의자까지 고루 다루며 디자이너, 브랜드, 제조사, 컬렉터, 그 의자에 앉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과 동시대에 미친 영향 등을 조명합니다. 매거진 《C》를 발행하는 그란데클립은 김봉진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창업자가 새롭게 시작한 스타트업으로 ‘사소한 것을 위대하게’를 모토로 클립처럼 사소하고 평범한 것들에서 가치를 찾아 의미 있고 위대하게 만드는 것을 지향합니다. ■ 이슈 소개 1962년 가리모쿠가구가 선보인 K체어는 단순하고 튼튼하며 본질에 충실한 ‘롱라이프 디자인’ 제품입니다. 기술과 정성, 진심을 담아 제작하는 가리모쿠가구의 품질 기준과 철학을 정립한 상징적인 의자로, 2002년 디자이너 나가오카 겐메이가 ‘가리모쿠60’의 K체어로 리브랜딩하며 널리 알려졌습니다.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수리가 용이하고,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매력을 지닌 K체어는 일상 속 평범한 물건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재발견하게 합니다. 매거진 《C》는 이번 호에서 도쿄, 싱가포르, 타이중, 서울, 교토 5개의 도시에서 K체어를 사용하는 유저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살펴보는 한편, 가리모쿠가구의 본사와 공장을 방문해 K체어의 역사와 생산 과정을 밀도감있게 취재했습니다. 이 외에도 가리모쿠60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맡고 있는 나가오카 겐메이와의 스페셜 인터뷰, 하라 겐야, 빅게임 등 세계적인 디자이너와의 인터뷰를 통해 K체어를 관통하는 ‘모노즈쿠리 정신’과 ‘롱라이프 디자인’의 힘을 정의합니다.
9788947501750

arte 아르떼 매거진 14호(2025년 7월호) (해방의 춤꾼, 안은미)

arte 취재편집부  | 한국경제신문
18,000원  | 20250627  | 9788947501750
일상이 예술이 되는 마법, 아르떼에서 펼쳐집니다. 100명+의 칼럼니스트, 아르떼 기자들이 전하는 문화예술 리뷰와 소식을 배달합니다.
9791198893703

빌보드코리아 케이팝아티스트 인명사전

빌보드코리아 편집부  | 글로벌엔터테인먼트미디어그룹
23,750원  | 20240825  | 9791198893703
전세계 음악산업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 빌보드가 선정한, 2023~2024 올 한해 가장 활발한 활동을 펼쳤던 KPOP ARTIST 100. 에스파, 에이티즈, 블랙핑크, BTS, 엔하이픈, 피프티피프티, (여자)아이들, 잇지, 르세라핌, NCT 127, NCT DREAM, 뉴진스, 세븐틴, 스트레이키즈, 투모로우바이투게더, 트와이스 등 총 16팀 100명 인명사전. 한국어와 영어로 함께 구성된 스페셜 에디션으로 빌보드가 선정한 해당 연도 가장 주목받은 케이팝 아티스트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매력적인 지침서가 될 것이다.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케이팝아티스트들의 유니크한 비주얼과 함께 전문 컬럼니스트가 분석한 탑티어 케이팝스타에 대한 평론이 담겼다.
9788968182839

지금, 만화 : 24호 [2024] (중년 + 만화)

 | 한국만화영상진흥원(KOMACON)
2,600원  | 20241205  | 9788968182839
‘중년 + 만화’를 만화비평으로 풀어내다! ‘낀 세대’ 중년과 그들이 향유하는 만화의 의미를 짚어낸 단 한 권의 비평지! - 1980~90년대 한국만화 태동기에 유년 시절을 보낸 중년들! - 단행본과 연재 만화로 ‘첫 만화’ 접한 중년들…그들은 현재 만화를 어떻게 추억하고 있을까? - 중년 세대가 젊은 날 접한 다양한 만화는 현재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줬을까? - 오늘날 만화와 웹툰 속 중년들은 어떤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을까? - 중년 세대에게 지금, 만화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 걸까?
9791198807014

매거진 C (Magazine C) Vol.2 : 14번 의자 (체어 다큐멘터리 매거진)

매거진 C 편집부  | 그란데클립
20,740원  | 20240930  | 9791198807014
매거진 〈C〉는 그란데클립과 매거진 〈B〉가 매호 아이콘 체어를 선정해 이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라이프스타일을 소개하는 체어 다큐멘터리 매거진입니다. 관련 산업과 대중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유명 의자부터 거리의 의자까지 고루 다루며 디자이너, 브랜드, 제조사, 컬렉터, 그 의자에 앉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과 동시대에 미친 영향 등을 조명합니다. 매거진 〈C〉를 발행하는 그란데클립은 김봉진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창업자가 새롭게 시작한 스타트업으로 ‘사소한 것을 위대하게’를 모토로 클립처럼 사소하고 평범한 것들에서 가치를 찾아 의미있고 위대하게 만드는 것을 지향합니다.
9788947500951

아르떼 arte (월간) : 8월 [2024] (VOL.3)

arte 취재편집부  | 한국경제신문
18,000원  | 20240826  | 9788947500951
일상이 예술이 되는 마법, 『arte 아르떼 매거진』에서 펼쳐집니다. 100명+의 칼럼니스트, 아르떼 기자들이 전하는 문화예술 리뷰와 소식을 배달합니다.
9791190460347

Filo 38호(매거진 필로)(2024년 5/6월호) (제38호)

매거진 필로 편집부  | 매거진필로
18,000원  | 20240529  | 9791190460347
〈필로〉 38호는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특집과 최근 국내 개봉작들로 구성했다. 〈새벽의 모든〉 미야케 쇼 감독 인터뷰, '행자' 연작 차이밍량 감독 인터뷰, 주앙 페드루 호드리게스 감독 인터뷰, 빌 모리슨 감독 인터뷰, 난니 모레티 〈찬란한 내일로〉 감독 인터뷰 및 작품론, 조너선 글레이저 〈존 오브 인터레스트〉 작품론, 길베르토 페레즈 〈영화, 물질적 유령〉 서평 등이 실려 있다.
9791198446565

엔터위크 2024년 9월호(Vol.2) (Vol.2)

엔터위크 편집부  | 에스비엠엔이
13,500원  | 20241015  | 9791198446565
9791198446510

엔터위크 2024년 8월호(Vol.1) (Vol.1)

엔터위크 편집부  | 에스비엠엔이
13,500원  | 20241014  | 9791198446510
9788968182754

지금, 만화 : 23호 [2024] (청년 + 만화)

지금, 만화 발간위원회  |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600원  | 20241002  | 9788968182754
‘청년 + 만화’를 만화비평으로 풀어내다! 청년과 만화라는 고차방정식을 만화비평으로 짚어내는 단 한 권의 비평지! 􀀀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변화의 바람 중심에 섰던 청년들! 􀀀 1990년대 ‘황금기’ 일본 만화를 ‘첫 만화’로 접한 청년들…그들은 여전히 만화를 다채롭게 즐기는 ‘현재진행형 세대’일까? 􀀀 청년 세대가 접한 다양한 만화는 현재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줬을까? 􀀀 만화와 웹툰 속에서 청년들은 어떤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을까? 􀀀 청년 세대에게 만화는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 《지금, 만화》는 2018년 1호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 유일의 만화비평잡지로 자리 잡았다. 웹툰만화학과를 비롯한 학계와 만화이론연구가뿐 아니라 웹툰 플랫폼과 에이전시, 관련업체 종사자들, 그리고 작가지망생과 전공학생들이 만화비평잡지가《지금, 만화》를 환영하고 있다. 한국 만화웹툰계에서 일어나는 핫 이슈를 낱낱이 들여다보고 관련 작품을 날카롭게 비평하며 생생한 인터뷰도 전하는 매체가 거의 전무한 만큼, 《지금, 만화》를 통해서 만화와 웹툰을 보고자하는 사람들의 수가 점점 늘고 있는 것이다. 2024년 10월 2일 발간한 《지금, 만화》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절정에 도달해 무르익은 나이대인 청년 세대를 조망했다. 대한민국에서 청년은 법률상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사람을 그 대상으로 보는데, 특정 제도나 조례에 따라 그 범위가 넓어져 30대 후반까지 포괄하기도 한다. 사회 진출을 시작한 이들부터 자리 잡은 이들 모두를 포함하고 있기에, 그 어떤 세대보다 가장 활동적인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은 문화를 소비하는 부분에 뚜렷하게 작용해 청년 세대를 겨냥한 콘텐츠는 시대를 막론하고 중요했다. 특히 오늘날의 청년 세대는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는데, 그도 그럴 게 이들은 인터넷과 스마트폰 보급의 과정을 가장 직접적으로 겪은 세대이기 때문이다. 1990년대의 인터넷, 2010년대의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우리 사회와 우리의 삶은 큰 변화를 겪었다. 오늘날의 청년 세대는 이 모든 변화의 바람을 맞는 그 중심에 있었다. 그리고 그 바람엔 만화도 포함된다. 받아들이는 게 익숙한 이 세대는 인터넷을 통해 ‘황금기’로 불리는 1990년대 일본 만화를 접하게 된다. ‘첫 만화’를 일본 만화로 접한 이들이 어느덧 청년이 된 것이다. 그 뿐 아니라 이들은 웹툰의 탄생과 성장도 지켜봤으며, 지금은 미래를 함께하는 상황이다. 그 어느 세대보다 만화를 폭넓게, 또 다채로운 즐기는 ‘현재진행형인 세대’라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지금, 만화》 23호는 ‘청년’과 ‘만화’의 관점에서 현시점 청년 세대가 접한 다양한 만화들과 그로 인해 현재에 미친 영향은 없는지 살펴보고, 청년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또한, 만화와 웹툰 속에서 청년들은 어떤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는지, 아쉬운 점은 없는지 등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며 만화가 청년 세대에게 어떤 의미로 작용하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9791198064790

움직이는 아시아, Verb 2호

Verb 편집부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13,500원  | 20240930  | 9791198064790
독자대상: 일반대중 구성: 인터뷰, 칼럼, 일러스트, 기사 등 특징 ① 매 호마다 하나의 동사 단어(Verb)를 선정하여 그와 관련한 다양한 시각을 보여주는 기사를 싣는다. ② 2호 주제 “치다Hit”
9791192618654

Critique M 크리티크M (계간) : Vol.10 [2024] (영화 평론의 쓸모)

성일권  | 주식회사 르몽드디플로마티크
14,850원  | 20240913  | 9791192618654
〈크리티크 M〉은 비평의 종말시대에 문화예술 비평의 부흥을 꿈꿉니다. 비평은 작품을 정의하고 그 가치를 분석하며 판단하는 일입니다. 비평은 작품과 작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며, 그 기준은 과거의 작품과 전통에서 가져오지만, 그 기준은 시대마다 다르며 비평의 준거틀 자체가 비평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심미안적인 요소가 다분한 문화·예술 분야에서 비평은 작가 정신의 미적 자극제로서, 냉소적이며 부정적인 비난과 다릅니다. 하지만, 우리는 비평 부재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영화, 연극, 뮤지컬, 미술, 공연, 소설, 시 등 문화예술 활동이 넘쳐나지만, 비평은 거의 없고, 상업광고와 즉물적인 SNS 댓글만이 넘쳐납니다. 비평 없는 문화예술은 자칫 우리의 눈과 의식을 멀게 할 수 있습니다. 〈크리티크 M〉은 인식과 사유의 장을 넓혀 비평의 르네상스를 활짝 열어 재끼려 합니다. 〈크리티크 M〉는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어판을 발행해온 르몽드코리아가 테마별 무크 계간지 〈마니에르 드 부아르〉 한국어판에 이어 세 번째로 선보이는 지성지입니다. "진실을, 모든 진실을, 오직 진실만을 말하라"라는 언론관으로 유명한 프랑스 일간지 르몽드의 자매지이자 국제관계 전문시사지인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는 1954년 창간 이래 국제 이슈에 대한 깊은 분석과 참신한 문제 제기로 인류 보편의 가치, 인권, 민주주의, 평등 박애주의, 환경보전, 반전 평화 등을 주창하는 대표적인 독립 대안언론입니다. 그리고 르몽드코리아에서 2008년 10월에 창간하여 올해 만 13년을 맞이하게 되는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은 빠른 속도로 지식인 사회의 필독지로 자리매김하며, 인권과 문화다양성을 보호하고 개혁과 변화의 가치를 존중하는 지성인과 민주시민의 벗이 되어왔습니다.
9788968182730

지금, 만화 : 22호 [2024] (어린이 + 만화)

불친  | 한국만화영상진흥원(KOMACON)
2,700원  | 20240720  | 9788968182730
‘어린이 + 만화’를 만화비평으로 풀어내다! 어린이 만화의 과거?현재?미래를 만화비평으로 짚어내는 단 한 권의 비평지! 중장년층의 추억이 된 명랑만화, 요즘 어린이들에게도 추억이 될까? 웹툰 플랫폼에 익숙한 어린이는 어떤 만화를 원할까? ‘좋은’ 어린이 만화와 ‘나쁜’ 어린이 만화를 나누는 기준은 무엇일까? 만화웹툰 비평지《지금, 만화》22호는 대표적 어린이 만화인 ‘명랑 만화’를 중심으로 한국 어린이 만화의 시대에 따른 변화와 특징을 커버스토리로 다뤘다. 콘텐츠 소비 시장이 출판계에서 웹툰계로 이동하는 현 상황은 어린이 만화의 위기일까 기회일까. 어린이 만화가 나아갈 미래는 어떤 방향일까. 아울러 서로 다른 콘텐츠이지만 ‘어린이’라는 공통의 독자를 가진 만화와 아동문학 간의 최근 동향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