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갯빛 성장 소설 이야기
하창식 |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14,400원 | 20240405 | 9788973167975
이 책에서 소개되는 제1부의 주요 일곱 성장(교양) 소설 목록은 아래와 같다. 필자가 참고한 소설들의 번역가와 출판사도 함께 나타내었다. 물론 같은 제목의 다른 번역본들도 출판되어 있지만, 외국 문학의 경우 번역자에 따라 작품에서 사용된 단어나 구문들의 표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책의 순서는 해당 작품이 처음 발표된 연도에 따라 배열하였다.
1. 요한 볼프강 괴테,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1796년 출간, 곽복록 옮김, 동서문화사, 2016년, 서울)
2. 로맹 롤랑, 『장 크리스토프』(1904년 출간, 손석린 옮김, 동서문화사, 2016년, 서울)
3. 윌리엄 서머싯 몸, 『인간의 굴레』(1915년 출간, 조용만 옮김, 동서문화사, 2016년, 서울)
4. 제임스 오거스틴 앨로이시어스 조이스, 『젊은 예술가의 초상』(1916년 출간, 김종건 옮김, 범우사, 1995년, 서울)
5. 헤르만 카를 헤세, 『유리알 유희』(1943년 출간, 이영임 옮김, 민음사, 2011년, 서울)
6. 이문열, 『젊은 날의 초상』(1981년 출간, 민음사, 서울)
7. 알레드 호세이니, 『연을 쫓는 아이』(2003년 출간, 왕은철 옮김, 현대문학, 2022년, 서울)
한편 제1부에서 다루진 않았지만, 제2부와 제3부에서 ‘에세이’ 형태로 언급된 다른 성장 소설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제2부와 제3부의 구분은 소설들의 주제에 따라 임의로 나누었다. 대체로 우정을 바탕으로 주인공들의 성장을 다룬 소설은 제2부에, 주인공들이 처한 시대적, 환경적 영향에 따른 성장 줄거리를 가진 작품은 제3부에 수록하였다.
1.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유년 시절 소년 시절 청년 시절』(1851~1857년 출간, 최진희 옮김, 펭귄클래식코리아, 2013년, 서울)
2. 찰스 디킨스, 『위대한 유산』(1861년 출간, 이인규 옮김, 민음사, 2009년, 서울)
3. 새뮤얼 랭혼 클레먼스(필명: 마크 트웨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1885년 출간, 박중서 옮김, 현대문학, 2011년, 서울)
4. 헤르만 헷세, 『데미안』(1919년 출간, 강두식 옮김, 신영출판사, 1994년, 서울)
5. 헤르만 헷세, 『싯다르타』 유혜경 옮김의 이 소설 제목은 『싯달타』로 되어 있으나, 독일어인 Siddhartha의 대부분의 다른 번역본은 모두 『싯다르타』로 번역이 되어 있으므로, 이 책 내용에서는 모두 『싯다르타』로 통일하였다.
(1922년 출간, 유혜경 옮김, 소담 출판사, 1993년, 서울)
6. 토마스 만, 『마의 산』(1924년 출간, 곽복록 옮김, 동서문화사, 1987년, 서울)
7.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서부 전선 이상 없다』(1928년 출간, 홍성광 옮김, 열린책들, 2006년, 서울)
8. A. J. 크로닌, 『고독과 순결의 노래』(1944년 출간, 이종환 옮김, 바오로딸, 2021년, 서울)
9.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호밀밭의 파수꾼』(1951년 출간, 이덕형 옮김, 문예출판사, 1985년, 서울)
10. 넬레 하퍼 리, 『앵무새 죽이기』(1960년 출간, 김욱동 옮김, 열린책들, 2015년, 서울)
11. 김려령, 『완득이』(2008년 출간, 창비, 2008년, 서울)
12. 마야시타 나츠, 『기쁨의 노래』(2016년 출간, 최미혜 옮김, 이덴슬리벨, 2018년, 서울)
13. 손원평, 『아몬드』(2017년 출간, 창비, 2017년, 서울)
아울러 위에 열거된 작품들과 관련된 다음 작품들도 함께 참조하였다.
1. 요한 볼프강 괴테,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1796년 출간, 곽복록 옮김, 동서문화사, 2016년, 서울)
2. 헨리 데이비드 소로, 『월든』(1854년 출간, 강승영 옮김, 2011년 출간(개정판), 은행나무, 서울)
3.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까자끄 사람들』 책에 따라서는, 원어의 발음에 따라 『카자크 사람들』로 번역된 책들도 있으나, 이 책에서는 필자가 읽었던 책 제목대로 『까자끄 사람들』이란 용어로 통일하였다.
(1862년 출간, 안정범 옮김, 소담, 1998년, 서울)
4.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귀로』(1931년 출간, 이갑규 옮김, 범조사, 1982년 (3판), 서울)
5. 마이클 패트릭 히언, 『주석 달린 허클베리 핀』(2001년 출간, 박중서 옮김, 현대문학, 2010년, 서울)
6. 할레드 호세이니, 『천 개의 찬란한 태양』(2007년 출간, 왕은철 옮김, 현대문학, 2007년, 서울)
7. 마야시타 나츠, 『끝나지 않은 노래』(2016년 출간, 최미혜 옮김, 이덴슬리벨, 2019년, 서울)
이 책에서는, 위에서 열거된 작품들의 구문이나 문장을 직접 인용한 부분은 큰따옴표(“ ”)로 표시하였다. 되도록 책 내용을 충실히 전달하기 위해 책에서 인용한 부분이 적지 않다. 때로는 번역 투의 말들이 적지 않음을 미리 일러둔다. 마찬가지로, 블로그나 혹은 다른 출처로부터 인용된 글들도 큰따옴표로 표시하였다.
또한, 인명이나 지명 등이 외래어일 경우, 위에 열거된 번역본들에 표기된 외래어를 그대로 인용하였다. 다만 필자가 별도로 해설을 위해 첨가한 외래어일 경우는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을 따랐다. 작품명은 『 』로, 작품 속의 장, 절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시 혹은 노래 제목 등은 〈 〉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잡지 이름은 《 》로, 노래 제목은 ♪…♪와 같이 나타내었다. 한편, 신・구약성경처럼 여러 작품이 묶인 책 속의 개별 작품은 「 」로 나타내었다.
끝으로 이 책에선 필요한 경우, 과거의 역사나 특정 종교 교리에 관련된 용어, 혹은 전문 용어들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청소년 독자들을 위해 각주로 대체적인 설명을 덧붙였다. 본문엔 포함되지 않아도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 경우에도 각주로 설명을 덧붙였음을 일러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