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민속마을"(으)로 2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36902650

아산 외암마을 (호서 선비의 숨결이 살아 있는 민속마을)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 대원사
15,300원  | 20071226  | 9788936902650
『아산 외암마을』은 조선 후기 호서지방의 대표적 유학자로 이름을 떨친 외암 이간의 마을인 아산의 외암마을을 보여준다. 양반마을의 민속과 경관, 주민들 생활 속에 남아 있는 호서선비의 숨결을 최대한 책으로 되살리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외암마을 사람들이 세월을 거리면서 어떤 변신을 하였는지도 소개하였다.
9791196689513

샘고을 원정마을: 원형이정을 갖춘 생태 민속마을

김익두, 허정주  | 광대와바다
25,200원  | 20191231  | 9791196689513
▶ 샘고을 원정마을: 원형이정을 갖춘 생태 민속마을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88928505869

도시마을의 민속문화

정형호  | 민속원
12,000원  | 20140228  | 9788928505869
「민속학연구소 학술총서」 제9권 『도시마을의 민속문화』. 정형호의 ‘도시마을 민속 연구의 필요성과 접근 방법’을 비롯하여, 김정하의 ‘도시마을 현대민속의 역동성과 진정성’, 이창언의 ‘도시화와 제의 주재집단’ 등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9788928501311

마을 유형과 민속문화

조정현, 김미영  | 민속원
13,500원  | 20110430  | 9788928501311
『마을 유형과 민속문화』는 마을의 성격에 따라 형성되는 마을민속의 특징을 여러 집필자들이 다각적으로 다룬 공동노작이다. 동성마을과 각성마을의 '결속과 연대' 원리, 마을의 입지유형별 비보풍수의 형태, 문경 산북면의 마을 공간구조와 전통가옥 평면에 대한 연구 등이 실려 있다.
9788928518029

시대와 조응하는 마을민속의 현장 원림

한양명, 이영배, 강윤정, 이상현, 강석민  | Korea Data Project
30,600원  | 20221214  | 9788928518029
마을은 고대로부터 그 흔적을 바위나 암석에 새겨놓고 삼국시대를 거쳐 현재까지 그 수많은 생태조건과 시대환경의 변화상을 구술과 행위를 매개하여 응축해놓은 하나의 우주이다. 근대화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도시중심의 경제 사회 문화적 변동 속에서 국가를 중심으로 한 체제의 주변에 편입되어 최근에 이르러서는 쇠락해가고 있는 중이지만 여전히 그곳에는 고대로부터 이어진 역사문화적 지층을 기반으로 지탱되고 있는 세계와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다. 다만 그 세계가 현재의 시간 속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아득한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역사가 중심이 된 과거의 시간이 현재를 살아가는 세대의 기억을 중심으로 회자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경향성이 강하다. 마을민속도 이와 같은 마을의 특수한 현재성에 조건지어지는 경향성이 강하다. 과거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현재보다 높고 현재에는 그 기억의 편린들이 조각난 채로 흩어져 있어서 마을민속의 조사와 채록 및 보고는 그 조각들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특히 현재를 살아가는 마을세계의 고령화된 세대의 구술과 기억에 의거하여 그 전모를 이어붙여 조형할 수밖에 없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원림마을의 민속지는 이와 같은 마을과 마을민속의 경향성과 특수성을 고스란히 반영할 수밖에 없는 한계 조건을 지니고 있다. 다만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마을이라는 우주와 사람들의 생활세계에 근거하고 있으며, 현재의 사회구조와 삶의 조건에 조응하면서 변화 지속되고 있는 마을민속의 끈질긴 생명력을 이 마을민속지를 통해 확인해볼 수 있을 것이다.
9788928500253

마을민속 연구의 새 지평

임재해  | 민속원
18,900원  | 20100930  | 9788928500253
『마을민속 연구의 새 지평』은 마을민속의 여러 국면들을 다각적 시각으로 다루면서도, 현단계 한국민속학의 문제와 전망을 제시한다.
9788956384313

마을민속 조사연구 방법

임재해  | 민속원
24,300원  | 20070225  | 9788956384313
민속학 연구의 토대가 되는 마을민속 조사연구의 방법을 자세하게 다룬 책. 연구 방법을 자세하게 다룸으로써 해체 위기에 처한 마을공동체의 연구를 촉구하며 우리 민족문화의 전통을 살려야 한다는 저자의 의견이 녹아들어있다....
9788956380001

일본의 집과 마을의 민속학

김미영  | 민속원
10,800원  | 20020520  | 9788956380001
한국과 일본의 촌락구조의 비교연구를 담은 책. 동질론과 이질론에 따른 마을 분류, 은거제에 따른 가족생활, 혈연보다 연령을 중시하는 마을생활, 아버지쪽과 어머니쪽을 가리지 않는 친족생활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했다.
9788928512492

당진의 공동체민속과 마을축제

박종익, 강성복  | 민속원
26,100원  | 20181224  | 9788928512492
▶ 민속놀이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88928511396

농촌 마을의 민속지식 존재양상

안동대학교 대학원 민속학과 BK21플러스 사업팀  | 민속원
18,000원  | 20171227  | 9788928511396
이번에 발간하는 이 책은 안동대학교 대학원 민속학과 BK21플러스사업팀에 소속된 대학원생들이 현지조사를 통하여 ‘민속지식의 존재양상’에 관하여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한 것이다. 이 학술적 작업은 지난해 ‘민속지식의 전승양상’에 주목한 성과물을 낸 데 이은 것이다. 현지조사를 하여 민속지식에 대한 정보를 낱낱이 체계화하고 존재양상을 설명적으로 분석한 셈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생업과 생산지식의 존재양상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농작물을 기르고 물품을 만들면서 생산에 관한 민속지식을 오랫동안 축적해 왔고, 실제 생업활동을 하면서 생산과정에서 터득한 슬기를 발휘하고 있다. 제2장은 식생활과 음식제조 지식의 존재양상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오랜 세월 동안 자연환경에 적응하며 사회ㆍ문화적 맥락과 경제적 조건을 고려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는 것에 관한 지식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제3장은 생활경험과 토착지식의 존재양상에 관한 것이다. 주민들의 생활경험에 담긴 민속지식은 삶의 여러 방면의 토착지식으로서 존재하며 활용되고 있다. 제4장은 의례지식의 존재양상에 관한 것이다. 주민들은 혈연공동체 또는 개별적으로 여러 의례를 행하여 왔는데, 이를 통해 마을단위, 문중단위, 개별단위 등의 사회적 관계망뿐만 아니라 의례에 관한 민속지식의 존재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9788928506934

풍도의 민속 정초놀이와 마을굿

민속원 편집부  | 민속원
13,500원  | 20141215  | 9788928506934
이 책은 풍도인의 삶의 역사와 민속문화를 현장조사 중심으로 기록한 책이다. 따라서 풍도의 정초 민속을 중점적으로 기술하면서 생업 방식의 변화, 마을조직과 공동체, 생활기반의 변화 양상, 교육, 의식주, 세시풍속, 마을신앙, 일생의례, 놀이와 여가, 구비문학 등을 두루 조사하였다.
9788956383750

내포지역 마을제당의 민속지리

이인화  | 민속원
35,100원  | 20061030  | 9788956383750
이 책은 지리학에서 민속을 접근한 최초의 논문으로 역사환경, 지형환경, 교통환경적 측면에서 마을제당을 이해하고 그 마을제당들의 기능, 배치, 특성을 분석해 지표공간상에서 마을제당들의 잔존, 확산 경로를 추적하고 그 분포상을 지도로 표시해 볼 수 있게 하였다....
9788956383255

마을 민속비교 어떻게 할 것인가 (민속연구 제15집)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민속원
9,000원  | 20060220  | 9788956383255
9788956381275

마을 민속전승 어떻게 할 것 인가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민속원
9,000원  | 20040220  | 9788956381275
9788956380605

마을 민속보고 어떻게 할것인가

안동대학교민속학연구소  | 민속원
9,000원  | 20030210  | 9788956380605
이 책은 해당 분야 전공자들을 위한 교재 겸 전문서이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