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78013369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12-01-05
책 소개
목차
차례
머리말 - 불교민속의 근원과 전개
Ⅰ. 한국불교민속의 본질
1. 불교민속
1) 불교민속의 의의
2) 불교민속의 범위
3) 불교민속의 대상
2. 불교신앙 의례
1) 불교신앙 의례의 유형
2) 불교신앙 의례의 구조
3) 불교신앙 의례의 특성
3. 가람과 성지사원 신앙
1) 성지로서의 가람
2) 가람과 신앙행위
Ⅱ. 불교문화와 민속
1. 불교민속의 범위와 성격
1) 불교민속 발생의 연원
2) 불교민속의 성격
2. 불교문화와 민속예술(예능)
1) 불교의례의 예능적 특성
2) 범패의 종교적·미학적 의미
3. 불교와 민속예술의 다양성
4. 불교문화로서의 민속
1) 괘불재와 민속
2) 사월초파일과 민속
3) 불교와 민속신앙
4) 헌공의례와 민속
5) 불교와 무형문화재
Ⅲ. 한국불교와 밀교
1. 한국불교의 밀교적 특색
1) 한국 불교문화와 밀교
2) 한국 가람구조의 밀교적 요소
3) 한국 불교의례의 밀교적 요소
2.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불교의 밀교적 특색
1) 신라 경주의 밀교유적 사천왕사지
2) 오대산에 펼친 신라인의 만다라적 발상
3) 신라오악의 성립과 밀교
4) 불국사의 조영과 밀교
5) 석굴만의 밀교적 요소
6) 가람·불교의례의 밀교적 요소
3. 고려시대 불교의 밀교적 특색
1) 고려시대 밀교도량·의례
2) 고려시대 밀교유적과 밀교도량
3) 고려시대 밀교유적과 그 의례
4) 고려불교의 밀교적 성격과 그 의의
5) 고려사회의 불교적 분위기 조성과 밀교의범
6) 고려시대의 신중신앙
7) 고려불교의례 구조상의 밀교
4. 조선시대 불교의 밀교적 특색
1) 조선시대 불교와 밀교의례
2) 조선시대 불교의례와 밀교
3) 조선시대 불교의 밀교적 특성
4) 조선시대 밀교의 특성
5) 『조상경』의 간행과 불상관의 밀교화
6) 조선시대 밀교적 신앙의례의 문화적 의의
7) 조선시대 불교의 특색
5. 현대 한국불교의 밀교적 특색
1) 가람의 구조와 밀교
2) 가람구조로 본 밀교적 성격
부록
연등회와 팔관회
불교의례와 무속의 비교
수륙제의 구성과 의미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불교민속의 대상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불교민속과 민속불교의 개념 설정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불교민속의 성격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불교민속은 불교가 주체가 되어 민중에 전승되어 온 민속을 수용 · 융합한 형태를 지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반면 민속불교는 재래의 민속이 불교와 습합 내지는 혼합되어 있는 것이라 하겠다. 예컨대 무속이 불교의례적 요소를 많이 수용하고 있는 것 등이라 하겠는데 이상과 같은 두 가지 유형의 문화 형태가 외연상으로는 흡사한 것 같으나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는 데서 불교민속의 특성을 살필 수 있게 된다.
불교민속은 아무리 재래적인 민속을 다양하게 수용하였으나 그를 체계적으로 수용함에 있어서 선인 · 선과의 인과법이란 불교적 핵심이 결여되지 않고 있는 데 반하여 민속불교는 그와 같은 체계와 신앙의 핵심을 찾아볼 수 없다는 데 차이점이 있다 하겠다. 따라서 불교민속도 민속을 수용하는 불교적 주체가 상실되면 민속불교가 되고 만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불교에 있어 밀교는 민속(힌두교)을 다양하게 수용하여 고도의 밀교철학과 그에 따른 신앙 형태를 형성하였으나 13세기경에 이르러 밀교를 지탱하는 밀교철학이 무너진 이후 인도에서는 불교가 소멸하고 힌두교만 남게 되었다는 사실이 그를 잘 전해 주고 있다.
밀교에 대한 정의는 관점에 따라 달리 내릴 수 있겠으나, 밀교가 성립되는 역사적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밀교는 재래 토속신앙의 불교적 전개라 할 수 있다. 밀교 이전의 불교에서는 재래의 토속신앙적 요소들을 모두 외도外道라 하여 배척하였으나, 대승불교가 발달함에 따라 외도에 접해 있는 대중들을 구제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외도라고 하여 도외시하여 왔던 재래 토속신앙적 요소들을 불교가 수용하여 새로운 교학의 체계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되었으니, 이렇게 하여 성립된 대승불교의 한 분파를 밀교라 하게 되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