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비판불교"(으)로 6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56101369

보리수 가지치기 (비판불교를 둘러싼 폭풍)

제이미 허바드  | 씨아이알
34,200원  | 20150605  | 9791156101369
불교학계를 넘어 인문학계 전반에 가지치기를 시도하는 비판의 폭풍 보리수로 상징되는 불교전통은 오늘날 양심적으로 지혜의 나무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 더 나아가, 불교전통을 넘어서 오늘날의 문학, 사학, 철학, 종교학을 아우르는 인문학은 양심적으로 지혜의 나무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 지혜의 나무는 이미 병들어서 고사(枯死)하고 있지 않은가? 오늘날의 불교학자를 비롯한 인문학자들은 참여적이고 양심적이고 실천적인 지혜에 대한 사랑을 포기하고, 기득권층의 정의롭지 못한 질서에 편승하면서, 더 나아가 기꺼이 종속적으로 자본을 추종하면서, 우리의 몸을 상하게 하는 불량식품보다 더 심각하게 우리의 정신을 좀먹는 어용 지식을 판매하는 지식소매상 노릇을 자처하고 있으면서도 전혀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고 있지 않은가? 여기에 하카마야 노리아키 그리고 마츠모토 시로 같은 일본의 대표적 불교학자들이 그 지혜의 나무를 되살리고자 본격적인 가지치기에 나섰다.
9788964476055

일본의 종교문화와 비판불교

길희성, 류제동, 정경일  | 동연
14,400원  | 20200917  | 9788964476055
비판불교가 바라본 일본의 불교와 사회문화 제목으로 제시된 “비판불교”라는 어구는 이 책이 불교를 비판하려는 의도로 집필되었다는 인상을 줄 수 있지만, 그것은 이제 고유명사가 된 일본의 학문적인 조류을 지칭한다. 일본 고마자와대학 불교학 교수인 마츠모토 시로는 1986년에 개최된 국제학술대회에서 “여래장사상은 불교가 아니다”라는 도발적인 논문을 발표함으로써 불교의 근본 사상에 대한 논쟁을 일으키기 시작했고, 수년 뒤 같은 대학의 하카야마 노리아키 교수가 쓴 ?비판불교?라는 책 제목이 그대로 이러한 학문적 운동의 이름이 되었다. 세계 학계가 이런 흐름을 주목한 이유는 이 운동이 단지 학문적인 불교 연구에 그치지 않고, 불교사상과 연계된 일본의 토착문화와 사회, 나아가 혼합주의적 종교문화까지 비판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은 크게 2부로 나누어 제1부에서는 ‘비판불교의 대승불교사상 비판’을 다루고 제2부에서는 ‘비판불교의 일본 사회 및 종교 비판’을 다룬다. 그리고 머리글과 종합적 비평을 전과 후에 배치해 구성했다. 이 책은 종교학자 세 분, 길희성, 류제동, 정경일 선생이 장기간에 걸쳐 연구와 토론을 통해 나온 결실로서, 일본의 불교와 사회문화를 이해하고, 한국과 세계 불교계의 동향을 바라보는 일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9791168562981

조선전기 국가와 사찰: 조선시대 불교 역사상에 대한 비판과 성찰 (조선시대 불교 역사상에 대한 비판과 성찰)

손성필  | 씨아이알
23,400원  | 20241230  | 9791168562981
“조선시대 국가, 사회와 공존하고 동행한 불교!” _조선전기 불교 정책과 수많은 사찰들에 관한 실증 연구 _‘숭유억불’로 왜곡된 사실과 인식을 비판하고 성찰하다 《조선전기 국가와 사찰》은 조선전기 국가와 사찰, 불교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한 연구서이다. 조선시대는 흔히 불교가 억압받았던 시기로 알려져 있지만, 이 책은 기존의 고정관념을 넘어 국가의 불교 정책, 승정체제의 변화, 사찰 수와 운영의 실상 등을 당시의 역사 자료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한다. 저자인 손성필 교수는 이 책에서 단순히 불교가 억압받았다는 기존의 이분법적 해석을 넘어서, 국가 정책의 맥락, 사찰과의 상호관계 등을 세심히 분석하고 있다. 조선 초기에 단행된 승정체제 개혁과 사찰 혁거는 단순한 억불 정책이라기보다 국가 체제 개혁의 일환이었고, 조선 사회에는 수많은 사찰이 지속 운영되었음을 제시하며, 당시 자료를 통해 그 실상을 입체적으로 그려낸다.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장에서는 불교사 자료의 특성 등을 개관하고, 3장에서는 불교 정책과 제도의 실제적인 작동 방식을 다룬다. 4장에서는 당시 사찰의 수, 사찰 운영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며, 기존 역사 연구에서 간과된 조선전기 사회의 현실을 조명한다. 특히, 결론 부분에서는 조선시대 불교에 대한 새로운 연구 과제와 방향을 다각도로 제시하며, 일제강점기 형성된 기존 역사상에 대한 학문적, 사회적 성찰을 촉구하고 있다. 《조선전기 국가와 사찰》은 조선전기의 정치와 사회,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9791156120186

정도전의 불교 비판을 비판한다

고상현  | 푸른역사
17,550원  | 20140912  | 9791156120186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에서 사회와 역사에 부응하는 승가교육을 만드는 데 일조하고 있는 고상현 연구원의 <정도전의 불교 비판을 비판한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정도전의 불교 사상을 면밀히 살피고 문제점은 없는지 검토한다. 가능한 한 불교 경전에 근거하여 정도전의 불교 비판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또한 <심문>, <천답>, <심기리편>, <불씨잡변>을 옮긴 부록을 통해 독자들이 정도전의 불교 사상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가 새 왕조의 기틀을 세운 정도전의 여러 사상 가운데 불교관에 초점을 맞춘 까닭은 그에 대한 사상적 평가의 지평을 넓히고자 했기 때문이다. 정도전은 조선왕조를 만들고 지속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이데올로그다. 그러나 그에 대한 평가, 특히 불교 사상과 관련된 평가는 소략하다. 역사적 인물은 공과를 동시에 따져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찬양 일변도나 비판 일변도는 타당하지 않다. 정도전 또한 마찬가지다. 조선왕조 건설의 토대를 닦은 개혁주의자로서만이 아닌, 성리학의 안착을 위해 독선적이고 피상적인 불교 비판을 일삼은 정도전을 살펴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9791170485926

감추고 싶은 진실 (불교, 개신교, 천주교의 실체를 공개하며 그들의 사상과 그릇된 행태를 비판!)

최규철  | 생각나눔
15,120원  | 20230825  | 9791170485926
우리나라 3대 종교, 불교, 개신교, 천주교에 관한 분석 불교의 기원, 전래 과정, 타 종교 혼합, 사상적 오류 등을 분석하고, 개신교의 오류, 독선주의, 기복 신앙, 사회복지시설 운영 등에 관해 이야기하며, 천주교의 이중성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우리 사회의 개혁은 물론 종교계의 성찰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9788971551134

성리학 수용기 불교 비판과 정치ㆍ사상적 변용 (정도전과 권근을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13,000원  | 20070903  | 9788971551134
『성리학 수용기 불교 비판과 정치ㆍ사상적 변용』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조선이 유교 사회가 되었으며, 한국 사회에 나타나는 유교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고 있다. 저자는 한국의 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 초기 성리학자 가운데 드물게도 굵직한 저술을 남긴 권근과 정도전을 주목하고 있다. 이들이 불교와 관련하여 남긴 시문이 적지 않음을 알고 그에 대해 연구한 결과로 이 책을 쓰게 되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