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사회통합전망"(으)로 8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84918177

통일대비 여성 가족정책 추진 전략과 통일한국 사회통합 전망 연구 2

홍승아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7,100원  | 20161231  | 9788984918177
▶ 이 책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통일대비 여성 가족정책 추진 전략과 통일한국 사회통합 전망 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88984917507

통일 대비 여성·가족정책 추진 전략과 통일 한국 사회통합 전망연구 1

장혜경 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3,050원  | 20151231  | 9788984917507
▶ 이 책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통일 대비 여성 가족정책 추진 전략과 통일한국 사회통합 전망 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88984914490

사회발전을 향한 여성통합 30년의 성과와 전망 1 (2011 연구보고서 26)

변화순, 최유진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8,000원  | 20111230  | 9788984914490
이 책은 정부의 정책수행 과정과 결과, 각종 통계, 연구조사 결과 등을 소개하는 정부간행물이다.
9788984915404

사회발전을 향한 여성통합 30년의 성과와 전망 2: 여성정책 30년의 성과점검 및 여성정책 선진화방안 탐색 (여성정책 30년의 성과점검 및 여성정책 선진화 방안 탐색)

양애경, 이선주, 정현주, 강정숙, 김경주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300원  | 20121231  | 9788984915404
이 책은 정부의 정책수행 과정과 결과, 각종 통계, 연구조사 결과 등을 소개하는 정부간행물이다.
9788963473758

남북한 협력과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 Vol.2 (남북통합과 전망)

서울대학교 통일연구 네트워크  | 진인진
33,250원  | 20180228  | 9788963473758
70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분단과 반목을 극복하고 다가 올 평화체제 및 남북 통합에 대비하기 위한 통합 연구 작업의 결실인 『남북한 협력과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가 1권 북한의 현실과 남북협력 및 2권 남북통합과 전망의 제목으로 출간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는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통일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교육과 연구를 위해 지난 2014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을 중심으로 각 단과대학과 주요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서울대학교 통일연구 네트워크」를 출범시켰습니다. 「서울대학교 통일연구 네트워크」는 2015년부터 「통일기반구축사업」을 시작하여 2017년까지 3년간 교내 주요 연구기관이 참여한 총 82개 연구사업을 실시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기관은 언어, 역사, 정치, 경제, 공학, 의학, 법학, 농업, 교육, 수의학, 생활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고 있는데, 다양한 분야의 연구 사업은 크게 남북한 관계, 북한 연구, 남북한 비교 및 통합, 국제관계 및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습니다. 『남북한 협력과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4가지 주제를 다시 2권의 분책으로 분류하여 구성하였는데, 1권은 -북한의 현실과 남북협력- 이라는 제목으로 언어, 지리, 문학 도시와 건축, 의약, 토지 개량, 광업 및 에너지 산업, 의료 보건, 수의학, 생활문화 분야에 해당하는 북한의 현실 및 남북협력의 가능성을 살펴 본 13편의 논문을 수록하였습니다. 2권은 -남북통합과 전망- 을 주제로 하여, 정치, 언론, 평화, 법, 사회통합, 국가운영, 보건의료 정책 농업, 국토 개발, 물류산업, 관광 분야에서 남북 통합의 가능성과 전망을 제시하는 17편의 논문을 수록하였습니다. 1,2권에 수록된 논문을 작성한 연구자는 각 38, 50 명으로서 90 명에 이르고 있고, 각 권 별 부피는 각 530, 690 쪽으로서 총 1,200여 쪽에 이르는 방대한 볼륨을 자랑합니다. 중국의 굴기, 북한의 핵개발 및 일본의 재무장, 미국의 대북 강경파인 공화당 집권 등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환경이 악화되고, 대한민국 내부의 혼란이 극심하던 시기에 진행된 「통일기반구축사업」의 성과가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조성되기 시작하는 시기에 발간되게 된 것은 ‘가장 어두운 시기에 아침을 준비하는 지혜’가 필요함을 드러내는 적절한 사례가 되었다고 하겠습니다. 『남북한 협력과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는 곧 다가올 한반도 평화와 남북 교류의 시기에 대비한 기본적인 지식과 대안 모색의 단초를 제공할 것입니다.
9788946049925

유라시아경제연합 (지역통합의 현실과 전망)

김영진, 성원용, 이상준, 김상원, 우준모  | 한울아카데미
15,300원  | 20150520  | 9788946049925
EU에 맞선 유라시아 국가들의 경제적 결속과 그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15년 1월, EU의 독주에 맞설 새로운 경제공동체가 등장했다.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5개국이 참여한 유라시아경제연합(EEU)은 세계경제 질서의 재편을 꿈꾸는 러시아의 야심에서 시작되었다. 옛 소련권 국가들의 경제공동체인 EEU는 최근 중국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 신생 경제통합체를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 경제 활성화에 활용하기 위해서 유라시아 지역의 역사적 유산과 통합 조건, 그리고 각국의 경제적 특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이런 EEU가 성립되기까지의 과정과 전망을 경제적·지정학적·정치적 측면에서 총체적으로 다루었다. 유라시아 통합의 경제적 중요성을 평가하는 것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고도의 정치적 성격을 내포한 EEU를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즉, EEU 출범이 어떠한 배경에서 이루어졌으며 어떠한 제도적 특징을 갖고 있는지, 이 기구의 경제적 조건과 회원국 간의 경제통합 수준은 어떠한지, 이에 가입한 관련 국가의 조건과 입장은 무엇인지, 마지막으로 EEU가 동북아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이에 한국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까지 면밀하게 살폈다.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서는 EEU 출범과 배경 및 제도적 특징, 그리고 현황을 들여다보았다. 2부에서는 EEU에 가입했거나 아직 가입하지 않았더라도 EEU의 미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가들의 입장과 조건을 다루었고, 3부에서는 EEU의 국제적 조건을 언급하면서 특별히 EU와의 관련성과 차별성, 그리고 한국에 미치는 영향과 그 의미를 담았다. 그동안 우리나라 정부는 러시아를 비롯한 유라시아 지역을 경제의 신개척지로 삼아왔다. 김대중 정부의 ‘철의 실크로드 계획’과 노무현 정부의 ‘동북아 평화 번영 정책’ 등 유라시아를 동북아의 새로운 경제적 허브이자 블루오션으로 여긴 것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했을 뿐 아니라, 유라시아와 한국을 잇는 정책들도 그 실체가 불분명했다. 그러한 와중에도 국내에 몇 안 되는 러시아·유라시아사업단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는 유라시아와 동북아의 관계를 묵묵히 연구해온 뚝심 있는 단체이다.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의 연구진은 1974년부터 현재까지 오랜 기간 유라시아를 연구해오면서 다져온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유라시아경제연합: 지역통합의 현실과 전망?을 출간했다. 특히 새로이 출범한 EEU에 초점을 맞춘 이 책은 앞으로 한반도와 유라시아를 잇는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할 것이다.
9788946057845

유라시아경제연합 지역통합의 현실과 전망 (지역통합의 현실과 전망)

김영진, 성원용, 이상준, 김상원, 우준모  | 한울아카데미
17,000원  | 20150520  | 9788946057845
『유라시아경제연합 지역통합의 현실과 전망』은 EEU는 소련 제국의 부활인가? 아니면 EU에 대적할 만한 유라시아 지역의 경제적 구세주인가? 또 EEU는 한국의 새로운 경제적 동반자가 될 수 있을 것인가? 그렇다면 한국 정부는 EEU에 어떠한 입장을 취해야 하는가? EEU 경제통합에 대한 현실과 전망을 파헤친 책이다. 한국의 대외 정책 방향과 효과를 제고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구성되었다.
9788981879891

남북한 통합시 인구이동 전망과 대응과제 (연구보고서 2012-47-13)

이상림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400원  | 20120101  | 9788981879891
이 책은 정부의 정책수행 과정과 결과, 각종 통계, 연구조사 결과 등을 소개하는 정부간행물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