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비판사회학회 (엮음), 정태석 외 | 한울아카데미
0원 | 20191120 | 9788946068308
현대 사회학의 이론과 쟁점을 폭넓게 다룬,
‘대중적 사회학 개론서’
_ 대표적 사회학 입문서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제2판) 2014년 최신판 출간
_ 거시적 담론의 반복에서 탈피, 현실적·시대적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는 교양서
_ 사회학 기초 개념들에 대한 충실한 소개
_ 기존 『사회학』의 2배 분량, 더욱 풍부해진 이론과 사례
_ 비판적·진보적 관점, 사회현상에 대한 객관적 이해에 기초한 집필
_ 사례, 통계자료, 도표, 그림 등을 통한 쉽고 구체적인 서술
_ 사회학적 사고를 연장할 수 있는 〈깊이 읽기〉, 〈이야깃거리〉, 〈읽을거리〉 등 수록
2012년 초판이 나온 이래 꾸준히 사랑받아오던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가 2014년까지의 최신 자료, 사례 등을 업데이트하여 제2판으로 출간되었다. 기존 사회학 개론서는 주로 대학 강의용 교재로 거대담론에 대한 추상적 서술에 그쳤으나, 이 책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는 ‘대중적 교양서’로 누구나 쉽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정리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구체적인 사회 현실과 주변의 삶을 체계적·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슈, 사회현상을 소개했다.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는 2004년에 출간되었던 『사회학(전면개정판)』의 두 배 정도로 분량이 늘어났으며, 그만큼 내용이 풍부하고 명확해졌다.
사회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회구조와 사회변동’ 장, 한국 사회에서 주요한 관심거리로 떠오르고 있는 ‘사회복지’ 장을 추가하고, ‘일탈행동과 범죄’를 독립된 장으로 다루었으며, ‘사회문제’ 장에서는 도시와 지역문제 이외에도 인구, 여성, 교육, 실업, 빈곤 등 현대사회의 중요한 사회문제들을 소개했다. ‘자본주의의 원리와 역사적 변동’ 장에서는 자본주의에 대한 원론적인 설명에 그쳤던 기존의 내용에서 벗어나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내용을 대폭 보완했다. ‘세계화와 지역화’ 장에서는 다문화현상, 테러리즘, 전쟁 등 그동안 소홀히 다루었거나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사회현상들을 포괄하려고 노력했다. 그리고 ‘과학기술, 위험, 환경’ 장에서는 과학기술과 환경문제를 위험이라는 시각에서 체계적으로 소개하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