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서명응"(으)로 6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5861155

도덕지귀

서명응  | 학고방
18,000원  | 20201130  | 9791165861155
조선조 유학자들의 『도덕경道德經』 주석을 번역하면서 매번 느끼는 점은 그 내용을 해독하기가 무척 어렵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 흔히 왕필王弼의 『노자주老子注』가 이해하기 어렵다고 평가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유학의 시각을 덧붙이지 않고 노자의 논리적 사유를 철저히 적용해 차분해 읽어보면 저절로 해석되는 것이 왕필의 주석이다. 그런데 조선 유학자들의 주석을 해석하기 어려운 것은 『도덕경』의 구절이 당시의 시대적 폐단을 걱정하는 유학자 그 자신의 시각으로 주석되었기 때문이다. 곧 노자의 사상에 유학의 관점이 덧입혀지는 동시에 당시의 시대적 폐단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까지 겹으로 꼬아 『도덕경』을 해석하기 때문이다. 서명응의 『도덕지귀』도 압도적인 서양의 과학문명에 뒤처진 그 당시의 문제를 유학자의 시각에다가 동양의 전통과학 곧 음양오행과 『역』의 상수학적 관점을 가지고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나온 것이다. 서명응에 대한 다른 연구는 어느 정도 진행되었지만 『도덕지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그래서 옮긴이는 서명응의 저서에서 『도덕지귀』 연구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고전의 구절이면, 참고할 수 있도록 대부분 각주를 통해 인용해 놨다.
9788976462381

도덕지귀 (성리학자 서명응의 열린 노자 읽기)

서명응  | 예문서원
24,300원  | 20080526  | 9788976462381
이 책은 시대상에 걸맞은 새로운 진리관을 모색하였던 성리학자 서명응의 고심을 담고 있는 역작,『도덕지귀』를 역주한 것이다. 조선시대 내내 이단의 사상으로 배척당하기만 했던 『노자도덕경』을 재해석하여‘인위’의 학문 유학의, 특히 성리학의 닫힌 세계관에 대한 반성과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이 책의 역주자들은 특별히 ‘교감 및 주해’ 부분을 통해 왕필본, 하상공본 등의 현행본들에 있는 다양한 주석들을 소개하면서 서명응이 보여 주는 해석상의 독특함을 드러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9788976462503

참동고 (역리와 내단학에 의한 서명응의 참동계 주해)

서명응  | 예문서원
0원  | 20090825  | 9788976462503
서명응은 조선의 영.정조 시대를 살면서 소론계 서인의 영수로서 정치계와 학술계를 이끌었던 당대의 명사였다. 주자학의 나라 조선의 사상계를 주도해 간 인물이었던 만큼 그의 사상에서 주자학(성리학)은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였다. 서명응은 열린 지성의 소유자였다. 이 때문에 그는 사상계를 주도하는 위치에 있으면서도 당시의 일반적인 경향인 주자학의 순정주의나 엄숙주의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었다. 실제로 그는 이용후생을 주장함으로써 북학파의 비조가 되어 박지원, 박제가, 홍대용 등에게 영향을 주었는데, 이것은 보수적인 주자학자로서는 결코 이룰 수 없는 성과였다. 조선시대의 성리학자들 가운데 서명응만큼이나 도가적 사유에 관심을 기울였던 학자도 드물 것이다. 서명응은 '도덕경'을 ‘현경玄經’이라 하고 '참동계'를 ‘단경丹經’이라 하면서 두 책을 하나로 엮은 '이경통해二經通解'라는 책을 저술했다고 한다. 그리고 각각의 책을 별도로 주해하여 '도덕지귀'와 '참동고'를 내놓았다. 이처럼 '도덕지귀'와 '참동고'의 내용은 서로 보완적이다.
9788976682840

서명응과 서유구의 학문 활동

김문식  | 신구문화사
27,000원  | 20240930  | 9788976682840
서명응은 소론계 명가인 대구서씨의 후예로 태어나 영조와 정조 대에 고위 관직을 역임한 학자 관료이다. 서유구는 정조와 순조, 헌종 대에 관리로 활동하면서 할아버지인 서명응의 학문을 계승하여 발전시켰다. 서명응과 서유구의 학문은 정조가 건립한 규장각의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서명응은 선천학의 복원에 학문적 목적을 두고 조선이 삼대의 제도를 복원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졌으며, 서유구는 한나라, 당나라 이후의 경설을 망라하는 교재를 만들자고 하여 주자학을 상대화시켰다. 두 사람은 청나라에서 들어오는 고증학과 서학을 수용하여 새로운 경세 방안을 마련하였으며, 특히 농학 분야에서 주목할 성과를 거두었다. 서명응과 서유구의 학문은 18~19세기 조선학계를 주도했던 지식인의 학문적 정보와 경세적 관심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9788965251064

정조의 스승 서명응의 철학 (서양 과학에 대한 조선학자의 대응)

이봉호  | 동과서
25,650원  | 20131110  | 9788965251064
서양 과학에 대한 조선학자의 대응『정조의 스승, 서명응의 철학』. 이 책은 총 2부로 구성하여, 선천학의 체계와 철학적 특질, 선천학과 서양 과학 그 접점 및 비판을 담고 있다.
9791187746218

도덕지귀전석

서명응 (원저자), 박원숙, 정경주  | 도서출판3
0원  | 20170310  | 9791187746218
조선 후기 경학자 서응명의 역작 노자 도덕경 해설서 번역과 전석으로 새롭게 태어나다. 조선 후기 대표 경학자인 보만재(保晩齋) 서명응(徐命膺, 1716~1787)의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에 대한 역작 『도덕지귀』을 번역하고 전석한 『도덕지귀전석』(정경주, 박원숙 국역 전석, 도서출판3)을 “한국한자연구소 연구총서 04”로 출간했다. 이는 조선 내내 유학자들에게 금서였던 『도덕경』을 경학자 서명응의 눈으로 풀어낸 역작 『도덕지귀』의 최신 국역서이다. 이는 서명응이 자신의 태극음양설을 토대로 도덕경을 해석한 책으로, 조선후기 유학자들의 도덕경 이해의 관점이 잘 반영되어 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