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물리치료 검사 및 평가
강양훈, 김대훈, 김형수, 남형천, 박재효 | 학지사메디컬
46,500원 | 20250815 | 9791194219927
기능 회복 중심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근골격계 물리치료 지침서
최근 물리치료는 질환 중심의 단순한 증상 치료를 넘어, 개인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Quality of Life) 향상을 중심으로 하는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보건의료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근골격계 물리치료 영역은 통증의 원인 규명과 기능적 장애 분석을 통해, 보다 정밀하고 과학적인 치료적 중재로 이어짐에 따라, 정형외과적 질환이나 손상에 국한되지 않고 스포츠 손상, 만성 통증 관리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근골격계 장애에 대한 정밀하고 체계적인 진단평가의 중요성 또한 날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근골격계물리치료 검사 및 평가학』은 이러한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임상현장에서 근골격계 환자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물리치료적 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알기 쉽게 설명하였고, 물리치료사 및 물리치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근골격계 기능장애에 대한 체계적 접근법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평가기법을 교육하고 습득하는 데 중점을 두어 집필하였다.
본 교재는 단순히 검사의 순서를 습득하는 데 그치지 않고, 평가를 통해 ‘무엇을 확인할 것인가’, ‘어떤 판단을 내릴 것인가’에 대한 근거 중심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물리치료사의 진단적 사고력과 평가 능력을 키우는 데 목표를 두었다. 나아가 임상 현장에서 환자 중심의 통합적 관점을 견지하여, 단편적인 병변 중심 접근을 넘어서 환자 개개인의 문제를 정량화하고 기능 수준을 분석하며, 기능회복의 방향성을 설계할 수 있는 고차원적인 전문 역량을 함양하고자 하였다.
본 『근골격계물리치료 검사 및 평가학』 교재는 총 9장으로 구성하였다. 1장에서는 검사와 평가의 개요, 병력 청취, 계통별 검진, 관찰, 촉진, 운동검사, 신경학적 검사, 특수검사, 물리치료 기록(SOAP 노트) 등 검사 및 평가의 원리를 설명하였다. 2장부터 9장까지는 신체 각 부위별 평가를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적 분석을 기반으로 설명하고, 다양한 평가기법을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실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알기 쉽게 정리하였다.
오늘날 보건의료 패러다임은 점차 환자의 ‘참여’와 ‘기능적 삶의 질’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리치료사의 전문적 진단 및 평가 능력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위치에 서게 되었다. 치료의 정확성은 진단의 정밀성에 기초하며, 적절한 중재 선택은 정확한 평가로부터 출발하게 된다.
본 교재는 국내 물리치료학 교육과정의 표준화를 목표로 하였으며, 국가시험 출제기준과 교육인증 평가기준을 반영하여 물리치료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실질적이고 유용한 지침서가 될 수 있도록 저술하였다. 또한 졸업 후 임상 현장에서 곧바로 투입되어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용성을 극대화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교재를 집필함에 있어, 다양한 국내외 근거자료와 선행연구를 폭넓게 참고하였으며, 가능한 한 최신 임상지침과 학술적 지견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다만 빠르게 변화하는 보건의료 환경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개정과 보완을 통해 더욱 완성도 높은 교재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