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로나이즈드 바다 아네모네(미니 에디션 더 쏙)
김혜순 | 난다
7,920원 | 20250905 | 9791194171836
“시인 김혜순이 온다, 시가 난다!”
난다에서 시작하는 시집 시리즈
‘난다시편’의 첫 권
그리고
김혜순 시인의 신작
1.
돌파를 멈춘 적 없는 시적 신체의 최전선(이광호) 시인 김혜순의 신작 시집 『싱크로나이즈드 바다 아네모네』가 난다의 시집 시리즈 난다시편 첫 권으로 출간된다. 3년 만에 발표하는 이번 신작은 독일 국제문학상 수상 이후 선보이는 그의 열다섯번째 시집으로서 미발표작 시 65편을 8부로 구성해 싣고 시인 김혜순의 편지와 대표작 시 1편을 영문으로 번역해 수록했다. 고통으로 가득차서 시를 쓰던 김혜순 시인은 어느 순간 찬물을 몸에 끼얹듯 다른 시를 써야겠다고 생각한다. 자신을 씻어줄 물이 필요하다고. 캄캄하고 캄캄하고 캄캄했던 어둠에서 이 시들은 그를 직립하게 한 끈, 혹은 슬픔으로 팽팽한 철사였다. 그를 찾아오는 리듬과 멜로디, 고통과 아픔은 정말 새것이다. 시인은 발 없는 명랑한 귀신이 되어 편한 마음으로 찾아오는 리듬을 받아 적고, 작은 폭포처럼 떨어지는 말들을 적었다. 이 시들을 만나지 못했으면 죽음이 얼굴에 드리운 험한 사람이 되었을 거라고 시인은 말한다. 이 시들을 쓰면서 고통도 슬픔도 비극도 유쾌한 그릇에 담을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고. 이 시집이 바로 웃음의 그릇에 담았던 그 다른 시들이다(「김혜순의 편지」). 시인은 어느 건물 로비에서 커다란 어항 같은 화면에 처음 보는 생물이 하나 일렁이는 걸 본다. 깊은 바다 속에서 온갖 색깔을 뽐내며 혼자 표표히 고독하게 싱크로나이즈드하는 긴 촉수들을 만지는 듯한 감동. 그날 밤 시인은 그 심해의 존재에 살포시 기대고 누워 있었다. 그 존재의 명패에는 Sea Anemone가 적혀 있었고, 그다음 이 시집이 탄생했다(시인의 말).
2.
뭉뚱그려진 세상을 끊임없이, 일순에 중심을 쪼개어보는, ‘없음, 죽음’의 칼, 그 바순 것 속에 편재하는 생명. 시 속의 웃음은 네모지고 딱딱한 현실에 구멍을 뚫고자 한다. 삶 속에 죽음이, 죽음 속에 삶이 있는, 부재하나 존재하게 된 ‘삶/죽음’의 미끄러짐. 엉기고 번지고 함께하는 삶. 죽음은 끝이 아니기에 삶도 시작이 아닌, ‘아닌’ 것의 한가운데에서 씌어지고 불리어져서 들리어(lift up) 있는 것(『김혜순 죽음 트릴로지』). 그에게 시는 한사코 나이면서 나와 다른 것, 나 아닌 것, 낮고 분열되고 작은 사람들을 향해 가는 ‘하기’의 작용, 도착이 가능한 어떤 세계가 아니라 도래해 있었으나 알 수 없었던 것, 분자적이면서 연결망인 그 도정에 있는 감응이다(『여자짐승아시아하기』). 시인에게 유머는 웃음으로 고통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유머는 무거운 것들 속에 숨어 있는 구멍을 알아보는 눈. 무거운 것, 그 어떤 고매한 것도 가벼이, 친근한 것으로 만들 수 있다. 이 작은 칼날, 위트의 칼날은 어느 것이든 내동댕이칠 수 있다. 시인은 한 개의 물방울, 소립자 하나가 무한과 다르지 않은 그 우주에 선을 그린다. 밖과 안을 함께 아우르는 만다라와 같은 구조를 띠는 시의 틀. 시인은 동시적으로 그어지는 선의 무늬들, 파동들 속에 거주한다. 해석할 수 없는 이 세상. 세계라는 기호는 단번에 꿰뚫어야 한다. 시의 주체란 리듬으로 대체될 수 있어야 한다. 시의 주체란 그 집의 호흡, 맥박이어야 한다. 그에게 시인은 다양한 개인에게 숨쉴 수 있는 공간을 부여하는 자. 그 공간은 움직이며, 떠다닌다(『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리듬은 시인의 모국어. 리듬을 타고 가며 죽은 자들의 나라에서 온 투명한 공기를 한잔씩 마실 때마다 옷이 벗기고, 나이가 벗기고, 성별이 벗긴다. 시인은 시간을 묶었다가 풀고 다시 묶는 놀이 속에서, 죽은 자들의 나라에서 날아온 사자, 천사, 없음인 당/신을 연주하고 당/신은 ‘나’를 연주하는 리듬의 나라에 시간을 담근다. 있음으로 ‘없음’을 호흡하는 리듬, 있음과 없음의 길항 속에서 시는 파동으로 움직인다. 언어를 사용하지만 언어가 사라진 세계에서 시인은 언어의 음악을 듣는다. 단어와 단어가 만나는 파동으로 언어 속에서 수수께끼를 끌어내는 시를(『여성, 시하다』).
그렇게 김혜순 시인은 죽음이 끝이 아니기에 삶도 시작이 아닌 이항적 구조를 무너뜨리며 부재 속 존재, 없음 속 생명이라는 역설로 죽음과 여성성의 언어가 공존하는 자리를 만들어낸다. 그에게 없음, 죽음의 칼은 세계를 해체하는 도구가 아니라 뭉뚱그려진 중심을 쪼개 새로운 생명을 드러내는 장치다. 김혜순 시인의 시에서의 죽음/없음은 소멸이 아닌 삶을 드러내는 통로가 되며 ‘아니’라는 부정(不定)은 다른 생명 가능성의 편재를 불러낸다. 시인에게 유머는 단순한 가벼움이 아니라 고통과 무거움을 뚫는 구멍으로서 현실의 경직성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감각을 가능케 한다. 밖과 안, 중심과 주변을 동시에 품는 원형의 구조로서의 만다라, 소립자와 물방울 하나가 우주 전체와 다르지 않다는 인식은 시적 주체가 ‘나’가 아니라 리듬, 호흡, 맥박이라는 살아 있는 운동으로 나아가게 한다. 그것은 해석하려고 하는 시선에 맞서 끈질기게 자체의 리듬과 무늬 속에서 존재하려는 시를 보여주고 해석 불가능한 세계를 꿰뚫음으로 접속하게 한다. 김혜순 시인의 싱크로나이즈드 말미잘은 그 자체로 흔들리고 파동하며 다른 존재와 공명하는 감각적 몸으로서 빛이 닿지 않는 영역, 생과 사의 경계에 가까운 죽음 같은 공간인 심해로 우리를 초대한다. “바닥 없는 바다”는 그럼에도 독자적 생태계와 발광, 새로운 생명 양식이 편재하는 생성의 장소가 되며 ‘죽음 아닌/삶 아닌’ 것을 사는 공간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고정된 경계와 중심이 없는 개체적이면서도 군락적인 말미잘은 하나하나의 촉수가 모여 리듬, 파동, 동시성 속에서 반응하는 존재다. 살아 있지만 죽음처럼, 죽어 있지만 삶처럼 보이는 집단적 유영은 ‘아닌 것의 한가운데’라는 개념을 새로운 차원에서 구현한다. 이들은 안과 밖, 죽음과 삶, 개인과 집단, 빛과 어둠의 경계를 동시에 품은 만다라적 존재들로서 인간의 언어로만 사유할 수 없는 세계에 구멍을 내고, ‘아니’의 상태를 체험하게 하는 통로가 된다.
3.
출판사 난다의 새로운 시집 시리즈 난다시편. 시를 모아 묶어 ‘시편(詩篇)’, 시인의 ‘편지(便紙)’로 대미를 장식함에 이리 칭한다. 모든 것이 시의 대상이자 모든 말이 시의 언어로 발산될 수 있다는 그 정신과 감각으로 다양함과 무한함과 극대화를 추구한다. 캐치프레이즈는 “시가 난다winged poems”이다. 날기 위해 버려야 할 무거움과 가져야 할 가벼움을 생각한다. 날개 없이도 우리들 몸을 날 수 있게 하는 건 시가 아닐까. 사랑처럼 희망처럼 날개 없이도 우리들 마음을 날 수 있게 하는 건. 하여 해설 없이 발문 없이 온전히 시인의 목소리만을 담아내기 위한 그릇을 빚는다. 한 편의 시를 최적격의 역자와 함께 영어로 번역해 시집 끝에 싣는다. 그렇게 난다는 무한한 가능성의 말, 여기 우리들 시를 거기 우리들 시로 언어적 경계를 넘는 또하나의 재미를 꿈꾼다. 난다시편은 두 가지 형태의 만듦새로 기획했다. 일반 시집 외에 “손에 쏙 들어오는 시의 순간”이라 할 미니 에디션 ‘더 쏙’을 함께 선보인다. ‘난다’라는 말에 착안하여 디자인한 이 휴대용 시집은 어디서든 꺼내 아무 페이지든 펼쳐 읽기 좋다. 한정판 아트북을 염두하여 수작업을 거친 ‘더 쏙’은 소장할 가치가 충분하다. 시를 읽고 간직하는 기쁨, 시를 쥐고 스며보는 환희. 건강하게 지저귀는 난다시편의 큰 새와 작은 새가 언제 어디서나 힘찬 날갯짓으로 여러분에게 날아들기를 바라며.
내 몸에서 내 몸이 돋아나올 때
내 몸이 세상 전체일 때
이게 어느 순간의 일인지
네가 정말 알아챘으면 좋겠어
나는 명랑한 싱크로나이즈드 말미잘 _「싱크로나이즈드 말미잘」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