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우리말사전"(으)로 144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가려 뽑은 순우리말사전

가려 뽑은 순우리말사전

고영천  | 유애플(uapple)
49,500원  | 20250731  | 9791193338049
가려 뽑은 순우리말사전》은 평생 국어 교사로 교직의 길을 걸어온 저자가 수십 년 동안 교단에서 학습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메모하여 USB에 저장해 둔 1만여 어휘와 스크랩자료, 여러 사전을 두루 참고하며, 은퇴 후 서재에서 하루 10시간 넘게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면서 작업한 우리말사전이다. 이 책은 7,689개의 순우리말 표준어를 올림말로 선정하고, 그 외 관용어ㆍ유의어ㆍ방언ㆍ속담 등 3,250개 여줄가리 올림말과 문학 작품ㆍ신문 기사ㆍ잡지ㆍ방송 대본 등에 쓰인 간결하고 세련된 10,280개 문장을 예문으로 취하여 생각하기와 글쓰기의 마중물로 삼게 하였다
사계절 우리말 사전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우리말 사전 (봄 여름 가을 겨울)

신영배  | 가나출판사
13,500원  | 20241128  | 9791168091481
‘인싸’와 ‘아싸’는 구분해도 ‘사흘’과 ‘나흘’은 구분하기 힘든 어린이들에게, ‘분좋카’와 ‘핵노잼’은 알아도 ‘윤슬’과 ‘버찌’는 모르는 어린이들에게는 어떤 책이 필요할까? 마음에도 밭이 있대요. 말 씨앗을 심는 밭이래요. 이 밭에서는 예쁜 말 심은 데 예쁜 마음 나고 미운 말 심은 데 미운 마음 난대요. 아름답고 순수한 우리말을 심어 볼까요? 생각과 마음과 정서를 담는 그릇 ‘말’, 우리는 어떤 말을 써야 할까? 말은 우리 조상들이 오랜 세월 동안 쓰고 다듬어 온 우리의 생각이고 삶이다. 우리말을 알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우리의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를 이어 나가는 일이다. 외래어가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신조어가 생겨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시대의 흐름이지만, 문제는 이러한 변화가 어린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이다. 인터넷과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어린이들은 예전보다 훨씬 다양한 언어 환경에 노출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폭력적인 표현이나 무분별한 외래어, 지나친 줄임말을 사용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우리말을 단지 ‘옛것’으로 여겨지게 만들고, 그 가치 또한 사라지게 만든다. 이런 흐름 속에서 우리가 지키고 간직해야 할 소중한 우리말에 다시 숨을 불어넣는 귀한 책이 탄생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우리말 사전』은 어린이들이 더 좋은 ‘말’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사계절을 함께 느끼고, 다정한 우리말과 가까워지는 특별한 사전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우리말 사전』은 어린이들의 삶과 관련 있는 우리말을 사계절의 흐름에 맞추어 소개한다. 자연이 깨어나고 잠드는 동안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는 여러 모습을 우리말로 알 수 있도록 다정한 글과 그림과 함께 풀어내고 있다. 이런 구성은 낱말을 단순히 알게 하는 것을 넘어서 우리말을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도와준다. 어린이들은 책을 펼칠 때마다 계절의 풍경이 우리말로 살아나는 것을 보며 다정한 우리말과 더 가까워지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순우리말사전 (문인.문학지망생.교양인을 위한)

순우리말사전 (문인.문학지망생.교양인을 위한)

최상윤  | 동아대학교출판부
22,800원  | 20180129  | 9788944984204
요즈음 등단한 문인들의 귀글, 즉 복합어나 합성어, 국적 불명의 외국어로 순우리말이 애와치는 아우성을 충격적으로 듣게 되었다. 그래서 삼십 여 년 전, 소설동아리 학생들과 함께 정리해 둔 순우리말, 안쫑잡았던 등사물을 찾게 된 것이 6년 전이었다. 여기에다 그동안 엮은이가 대학노트 두 권에 쉬엄쉬엄 정리해 두었던 순우리말을 합쳐 컴퓨터에 입력하였다. 엮은이 주변의 가까운 문인들, 후배문인들, 특히 문학을 지망하는 제자들과 함께 공유하기 위해. 그러나 전수의 대상이 점점 확대되자 컴퓨터로 공유하는 것보다 더 수월한 순우리말 사전을 엮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다.
우리말 사전 (다시 살려 써야 할)

우리말 사전 (다시 살려 써야 할)

고정욱  | 자유로운상상
15,750원  | 20071005  | 9788990805386
우리말을 쓰는 사람들의 어휘력을 키우고 그들의 인식 세계의 폭을 넓히고자, 사전에 있는 낱말들 가운데 순수한 우리말을 가려 뽑아 그 중에서도 살려서 쓸 만한, 일반인이 잘 몰랐던 말들을 정리한 책이다. 부록으로 실은 몇몇 유명 작가들의 작품에 나오는 말들과 북한에서 쓰는 말 중 살려 쓸 우리말은 나중에 그 작품을 읽거나 글을 쓰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이다....
일본어 유래 우리말 사전(상)

일본어 유래 우리말 사전(상)

이한섭  | 한국문화사
62,100원  | 20240820  | 9791169192156
일본어에서 온 우리말 어휘 찾아가기 개화기 이후 우리말에 사용된 어휘 가운데 일본어에서 유래한 어휘들을 수집하여 만든 것입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개화기 이후 우리말 어휘에는 일본어와 중국어 및 서양어에서 유래한 어휘가 적지 않게 들어와 있습니다. 이 사전에서는 이들 가운데 일본어에서 유래하였거나 일본어를 거쳐서 우리말에 들어온 어휘를 조사하여 수록하였습니다. 수록어수는 6,202 단어입니다. 《일본어 유래 우리말 사전》을 집필함에 있어서는 먼저 필자가 구축한 〈개화기 한국어 코퍼스〉와 한중일 각국에서 구축한 각종 언어데이터 등에서 추출, 조사된 용례를 바탕으로 표제어를 정하고, 이들의 용례를 출현 시기별로 늘어놓은 다음 각 단어의 유래와 성립 사정 등을 설명하였습니다. 《일본어 유래 우리말 사전》은 용례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 해당 단어가 언제부터 우리말 자료에 등장하는지, 어떤 형태로 등장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또 많은 어휘에 대하여 어떤 일본어에서 유래했는지, 번역어의 경우 어떤 서양어를 번역한 말인지를 표시하여 그 단어의 유래를 아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예쁜 우리말 사전 (글 잘 쓰는 어린이를 위한)

예쁜 우리말 사전 (글 잘 쓰는 어린이를 위한)

박남일  | 파란자전거
11,610원  | 20200901  | 9791188609451
《예쁜 우리말 사전》을 밑글 삼아 우리말과 글을 배우다 보면 글쓰기와 말하기 실력이 곰비임비 늘어요! 예쁜 우리말 사전》은 우리말과 함께 서정적이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그림을 통해 어린이의 감성과 지성을 깊게 하고 글쓰기와 말하기의 기본인 어휘력과 표현력을 길러 줍니다. 아름다운 우리말 속에 숨겨진 깊은 감성의 세계 인터넷 문화의 영향으로 표준어나 우리말보다는 외국어와 신조어, 줄임말에 익숙한 아이들.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도 외국어와 신조어에 익숙해진 나머지 말글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조차 어려워서 어린이들이 말과 글을 잘못 사용해도 옳게 고쳐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 나라의 문화와 민족 정체성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말과 글을 제대로 알고 익히는 것은 사회의 한 사람으로서 가져야 할 긍지를 갖게 되는 것이고, 우리말과 우리 문화의 정통성에 대한 중요성을 배우고 자기 것으로 만드는 일입니다. 그럼으로써 지금 이곳에 서 있는 ‘자기 자신이 누구인가’를 깨닫는 중요한 계기가 되지요. 세계적인 언어인지학자 노암 촘스키는 아이들에게 ‘언어 습득 장치’라는 것이 있는데, 13세 정도가 되면 그 기능이 소멸한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언어 습득 효과에 대한 이론이 외국어 교육에만 해당할까요? 물론 아닙니다. 언어 습득 효과가 높은 13세 이전의 어린이들에게 아름답고 어감이 좋은 우리말을 익히게 하면 아이들 심성이 고와지고 글쓰기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우리말 보전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이들이 이 책을 통해 우리말로만 나타낼 수 있는 익살스럽고 아름다운 표현을 익히고, 우리말에 담긴 고운 심성을 느끼며 우리말을 지켜 나갔으면 합니다.
가려 뽑은 순우리말사전

가려 뽑은 순우리말사전

고영천  | 유애플(uapple)
0원  | 20231130  | 9791193338001
《가려 뽑은 순우리말사전》은 평생 국어 교사로 교직의 길을 걸어온 저자가 수십 년 동안 교단에서 학습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메모하여 USB에 저장해 둔 1만여 어휘와 스크랩자료, 여러 사전을 두루 참고하며, 은퇴 후 서재에서 하루 10시간 넘게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면서 작업한 우리말사전이다. 이 책은 7,689개의 순우리말 표준어를 올림말로 선정하고, 그 외 관용어ㆍ유의어ㆍ방언ㆍ속담 등 3,250개 여줄가리 올림말과 문학 작품ㆍ신문 기사ㆍ잡지ㆍ방송 대본 등에 쓰인 간결하고 세련된 10,280개 문장을 예문으로 취하여 생각하기와 글쓰기의 마중물로 삼게 하였다
순우리말사전 (개정 증보판)

순우리말사전 (개정 증보판)

고석산  | 동천사
35,820원  | 20120220  | 9788975421167
개정증보판『순우리말사전』. 수집 정리 과정에서 미진했던 낱말들을 찾아 모아 증보판으로 정리하였다. 배열을 ㄱ, ㄴ, ㄷ 순으로 하여, 사람을 가리키는 순우리말부터 사람을 가리키는 말 밖의 순우리말, 증보한 순우리말로 분류하여 구성하였다. ▶ 이 책은 2010년에 출간된 (동천사)의 개정판입니다.
순 우리말 사전

순 우리말 사전

고석산  | 동천사
0원  | 20101210  | 9788975421143
순우리말이 사라지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는 저자들이 순우리말 사전을 엮었다. 사람을 가리키는 순우리말과 사람을 가리키지 않는 순우리말을 구분하여서 구성한 것이 특징적이다.
순 우리말 사전 (초등ㆍ중학생용)

순 우리말 사전 (초등ㆍ중학생용)

김선철  | 열린박물관
0원  | 20071221  | 9788992043649
이 책은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 기존 사전의 부정적인 면을 보완하여 쉽고 재미있게 우리말을 습득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총 4,005개 단어를 수록한 이 사전은 국립국어원 연구원인 저자들과 출판사의 10개월이 넘는 기획 및 집필 과정을 통해 출간된 것으로서 초등ㆍ중학생 맞춤형의 본격적인 우리말 교양사전이라 할 만하다.
작가를 위한 우리말 사전

작가를 위한 우리말 사전

김구름  | 부크크(bookk)
10,600원  | 20230209  | 9791141015367
대부분 어른이 되면 굳이 국어사전을 뒤져가면서 어휘를 늘리지 않는다. 일상에서 의사소통하는 데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의 언어생활을 되돌아보자. 평생 쓰는 어휘가 생각보다 빈약하다. 어휘가 단순하니 생각도 단순해지고 때론 과격해진다. 토박이말을 공부해보면 그동안 같은 걸로 퉁쳤던 것이 사실은 다른 것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어휘가 늘수록 우리는 감정과 생각을 더 세밀하게 그릴 수 있다. 우리말 특유의 생동감, 박자감의 묘미를 알게 되면 더 많은 단어를 알고 싶어질 것이다.
짱구 우리말 사전

짱구 우리말 사전

서울문화사 편집부  | 서울문화사
0원  | 20080910  | 9788953290525
'짜장면'일까, '자장면' 일까? '다르다'와 '틀리다'의 차이는? 시리즈 제14권 『짱구 우리말 사전』. 이 책은 우리말 공부를 못말리는 장난꾸러기 로 꾸민 학습 만화책입니다. 평소 잘못 알고 있거나 자주 사용하지만 헷갈리는 낱말 총 78개를 재미난 만화로 쉽게 설명해 줍니다. 이 책은 짱구의 일상생활 언어습관을 통해 우리말 낱말의 의미와 사용법, 틀리기 쉬운 표현 등을 쉽고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각 낱말에는 예문을 실어 이해를 돕도록 구성했으며, '우리말 다지기 문제'를 통해 배운 내용을 다시 한번 복습하도록 했습니다. 더불어 배운 우리말 단어를 '확인 문제'로 테스트 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말모이, 다시 쓰는 우리말 사전

말모이, 다시 쓰는 우리말 사전

말모이 편찬위원회  | 시공사
36,000원  | 20210211  | 9791165794231
말모이 100년, 다시 쓰는 우리말 사전 21세기 대한민국의 말모이, 사전으로 재탄생 2020년 12월,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사전 원고인 ’말모이 원고‘가 보물 제2085호로 지정되었다. 일제의 핍박 아래서도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함께했던 ’말모이 운동‘의 정신과 ’우리말 사전‘의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다시 한 번 되새기게 된 뜻 깊은 일이다. 그리고 이를 한 달 앞선 11월, 21세기 대한민국의 한국어 사용자들이 함께한 또 다른 말모이 원고가 온라인에서 오픈된다. 바로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한글학회·네이버·한글과컴퓨터·조선일보가 주최, 후원하고 전국 각지의 국민들이 직접 모은 〈말모이, 다시 쓰는 우리말 사전〉이다. 100년 전 ‘말모이’의 정신을 오롯이 계승한 이 사전은 외국어, 외래어와 정체불명의 은어들이 범람하는 가운데 이미 사라졌거나 점차 사라져가고 있는 전국의 옛말과 입말, 지역어들을 국민의 손으로 모아보자는 취지에서 기획됐다. 2019년 10월 7일부터 2020년 8월 6일까지 10개월간 말모이 누리집(https://malmoi100.chosun. com)과 말모이 사무국(상명대 국어문화원)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접수를 받았고 온라인으로 22,683건, 오프라인으로 약 70,000건의 단어가 접수되었다. ‘내가 죽으면 이 말, 그리고 여기 담긴 우리 삶도 함께 사라질 것 같다’며 손으로 꾹꾹 눌러쓴 편지를 보내온 어르신부터 평생을 바친 연구 자료들과 출판물을 보내온 학자들, 부모님 혹은 할머니, 할아버지와의 애틋한 추억이 담긴 사연을 올려준 젊은 세대들까지(‘지역어’라는 특성상 젊은 층의 참여가 적지 않을까 하는 예상과 달리, 누리집이 열린 지 나흘 만에 2100개의 단어가 온라인으로 접수되었다), 너무도 다양하고 열의에 찬 제보들이 이어져 실무진을 놀라게 했다. 이렇게 수집된 말모이는 71인의 지역대표가 검토한 다음, 60인의 국어문화원 연구진과 지역어 전문가 등이 정제·검수하는 과정을 거쳤고, 2020년 11월 온라인 사전이 먼저 공개되었다. 그리고 이제 그 모두의 노력이 담긴 결과물이 종이 책으로 선을 보인다.
일본어 유래 우리말 사전(하)

일본어 유래 우리말 사전(하)

이한섭  | 한국문화사
56,700원  | 20240820  | 9791169192163
일본어에서 온 우리말 어휘 찾아가기 개화기 이후 우리말에 사용된 어휘 가운데 일본어에서 유래한 어휘들을 수집하여 만든 것입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개화기 이후 우리말 어휘에는 일본어와 중국어 및 서양어에서 유래한 어휘가 적지 않게 들어와 있습니다. 이 사전에서는 이들 가운데 일본어에서 유래하였거나 일본어를 거쳐서 우리말에 들어온 어휘를 조사하여 수록하였습니다. 수록어수는 6,202 단어입니다. 《일본어 유래 우리말 사전》을 집필함에 있어서는 먼저 필자가 구축한 〈개화기 한국어 코퍼스〉와 한중일 각국에서 구축한 각종 언어데이터 등에서 추출, 조사된 용례를 바탕으로 표제어를 정하고, 이들의 용례를 출현 시기별로 늘어놓은 다음 각 단어의 유래와 성립 사정 등을 설명하였습니다. 《일본어 유래 우리말 사전》은 용례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 해당 단어가 언제부터 우리말 자료에 등장하는지, 어떤 형태로 등장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또 많은 어휘에 대하여 어떤 일본어에서 유래했는지, 번역어의 경우 어떤 서양어를 번역한 말인지를 표시하여 그 단어의 유래를 아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읽으면 마음이 순해지는 순우리말 사전 (순수한 말은 마음을 맑게 해줍니다.)

읽으면 마음이 순해지는 순우리말 사전 (순수한 말은 마음을 맑게 해줍니다.)

김나은  | 퍼플
6,500원  | 20230905  | 9788924113990
순수한 말은 마음을 맑게 해줍니다. 한국인으로서 한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우리는 우리말을 어디까지 알고 있을까요? 순우리말, ‘이쁘기는 한데 실제 적용해서 쓰긴 좀....’ 생활에서 가까이 접해보려 노력할 정도로 마음의 여유가 있는 사람들도 흔치 않습니다. 단어 중에서도 기본적이고 아름다운 의미를 가진 단어들. 실제로 써볼 만한 단어들을 골라 실었습니다. 숨막히는 일상 속에서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을 정화시켜주는 순우리말을 찾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아름답고 순수한 순우리말을 읽어보고 읽어보는 것만으로도 당신의 머릿속이 맑아집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