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우실하"(으)로 8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42390519

고조선문명의 기원과 요하문명

우실하  | 지식산업사
34,200원  | 20180928  | 9788942390519
한국 최초로 요하문명의 모든 것을 거시적으로 분석, 고조선문명의 시원을 추적하는 역작 유물에 나타난 고대사상과 과학 현상을 탐구하여 동북아 공동문화의 요람으로서 성격을 밝히다 한국 요하문명 연구의 선구자이자 권위자 우실하 교수가 요하문명과 고조선문명의 관계를 밝힌 역작(고조선문명총서3)을 선보인다. 2000년부터 요녕대학 교수로서 중국과 한국을 오가며 연구에 매진한 저자는 국내 유일무이한 요하문명의 입문서로 한국독자들을 안내한다. 각종 도판과 답사 사진 등으로 마치 만주 일대 유적 곳곳을 탐방한 듯한 현장감이 가득하며, 요하문명의 시기별 변천과정 및 고조선문명과의 관련성을 상세하면서도 논증적으로 해설한다.
9788952240422

요하 문명과 한반도

우실하  | 살림
6,120원  | 20190307  | 9788952240422
요하 일대에 황하문명과는 다른 새로운 요하문명이 있었고 그 주도 세력은 우리 민족의 선조와 연결된다 이 책은 우리나라 요하문명 연구의 최고 권위자인 우실하 교수가 요하문명에 대해서 쓴 세 권의 학술 서적과 여러 편의 논문을 바탕으로, 일반인이 요하문명에 대해서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문고본 형태로 만든 교양서이다. 특히 중국의 상고사 재편 움직임과 관련하여, 요하문명이 한반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필자가 직접 답사하면서 얻은 각종 유물과 유적의 사진 자료를 통해 탁월한 안목과 통찰력으로 소개하고 있다. 지난 수천 년 동안 아무도 알 수 없었던 거대하고 새로운 문명이 1980년대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발견되었다. 만주 일대 서쪽 요하(遼河)의 중상류인 요서(遼西) 지역을 중심으로 새롭게 발견된 고대문명을, 중국 학계에서는 1995년에 곽대순이 ‘요하문명’으로 명명하였다.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에 만주 일대 요서 지역을 중심으로 새롭게 발견된 요하문명의 유적과 유물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하고 발달된 형태를 보여 학계에 충격을 주었다. 그동안 아무도 모르고 잊혀진 고대문명이 이 지역에서 꽃을 피웠던 것이다 중국 학계는 이를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그들의 상고사를 완전히 재편하고 있는데, 우리의 역사-고고학계는 이 지역이 고조선의 강역, 영향권, 문화권이라고 인정하면서도 강 건너 불구경하듯 보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9788971395769

3수 분화의 세계관 (동북아 모태문화 유라시아 모태문화)

우실하  | 소나무
13,500원  | 20120227  | 9788971395769
3수 분화로 살펴본 동북아의 문화 동북아 모태문화 유라시아 모태문화 『3수 분화의 세계관』. ‘3수 분화의 세계관’의 논리체계와 기원 그리고 그 확산 과정을 다양한 분야의 자료를 통해 살펴본 책이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고대 북방 샤머니즘의 고유한 사유체계인 ‘3수 분화의 세계관’의 모습을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3수 분화의 세계관’과 그 성수인 ‘변화의 계기수’ 3, ‘변화의 완성수’ 9, ‘우주적 완성수’ 81이라는 이론적 틀을 통해서 동북아시아의 기층문화, 사상, 문학, 예술 등을 읽어낸 책이다.
9788971395431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 (삼태극의 춤, 동양 음악)

우실하  | 소나무
53,820원  | 20040625  | 9788971395431
9788971395271

전통문화의 구성원리 (학술총서 17)

우실하  | 소나무
0원  | 19980917  | 9788971395271
9788971393321

동북공정 너머 요하문명론

우실하  | 소나무
0원  | 20070409  | 9788971393321
사람들은 동북아공정이 어느 날 갑자기 등장한 것처럼 생각한다. 그러나 하상주단대공정→중국고대문명탐원공정→동북아공정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역사관련 공정들이 있다. 이런 역사 관련 공정의 최종판이 '요하문명론'이다. 중국의 의도대로 요하문명론이 정리되면 단군, 주몽 등은 모두 황제의 자손이 된다. '단군의 자손'이라는 한민족이 '황제의 자손'이 되는 것이다. 이 책은 중국에서 벌어진 다양한 형태의 역사관련 공정들을 소개하고, 그 배경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런 역사관련 공정들의 최종판이라고 할 수...
9788930089920

왜 지금 고조선문명인가 (21세기 새로운 고조선문명의 탐구)

신용하, 임재해, 우실하, 윤명철, 백종오  | 나남
31,850원  | 20190425  | 9788930089920
고조선문명, 인류 고대사의 새로운 화두 동아시아 문명의 뿌리로서 고조선문명을 재발견하다 세계 4대 내지 7대 문명 중심의 인류 고대사를 뒤흔드는 ‘고조선문명’.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를 필두로 하여 이런 고조선문명론을 펼치는 한국문명연구학회는 다양한 각도에서 고조선문명의 실상을 파헤치며 인류 고대사에서 잊힌 고조선문명을 되찾고자 한다. 각자의 접근법으로 고조선문명을 연구해 온 여섯 명의 역사학자들은 한반도, 그리고 1990년대부터 출토되기 시작한 중국 랴오허강(遼河) 유역의 사료를 면밀하게 검토하여 동북아시아 고대사, 나아가 인류 고대사를 올바르게 정립하고자 한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고조선문명의 학제적 연구’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한 한국문명연구학회는 그 결과물로 ‘고조선문명 총서’(지식산업사, 2018)를 출간하였지만, 그 분량과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비전공자가 쉽게 다가갈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그런 요청에 응하여 총서 여섯 권을 간추려 한 권으로 엮어 펴낸 책이 바로《왜 지금 고조선문명인가》이다. 이 책을 시작으로 한국문명연구학회는 한반도 고대사의 참모습을 일반 독자들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풀어 쓴 ‘한국문명연구학회 총서’를 계속해 발간하고자 한다. 독자들은 기존의 교과서적인 고대사 서술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한반도의 숨겨진 역사, 우리가 두 발을 딛고 서 있는 이 땅의 반만년 전 모습을 새로이 탐구하는 이 책을 통해 필자가 던지는 질문, ‘왜 지금 고조선문명인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1장에서 신용하 교수는 한반도의 고대 문화가 문명으로서의 위상을 갖는 근거를 제시하며 고조선문명의 개념을 설명한다. 2장에서 임재해 안동대 명예교수는 한반도에 이어져 내려온 신시문화의 연속성을 밝힌다. 3장에서 우실하 한국항공대 교수는 최근 발굴된 요하문명이 한반도의 문화와 가진 연관성에 주목하여 동북아시아 고대사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4장에서 윤명철 동국대 교수는 터 이론과 더불어 해양과 육지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해륙문명의 개념으로 고조선문명과 그 문명권을 재구성한다. 5장에서 백종오 한국교통대 교수는 요하문명의 유적ㆍ유물을 시대별로 검토하여 고조선문명의 흐름과 권역, 그리고 그 주체를 살핀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 박선희 상명대 명예교수는 복식 유물을 토대로 중국 홍산문화와 한반도 문화의 연관성을 검토하여 고조선문명의 권역을 설명한다.
9788942390465

고조선문명총서 세트

신용하, 임재해, 우실하, 윤명철, 박선희, 백종오  | 지식산업사
205,200원  | 20181026  | 9788942390465
우리는 과연 우리 겨레의 뿌리이자 옛 터전, 최초의 국가에 대해서 과연 얼마나 알고 있는가? 총론과 각론으로 고조선의 공간과 시간, 고조선인들의 삶 및 그 전후까지 밝히다 신개념의 거대 담론은 물론, 아날학파의 미시사적 관점까지 총동원하여 고조선문명 을 명쾌하게 정립하다 최근 고대(상고)사 학계에서 고조선사를 다시 보는 저작들이 속속 출간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고조선 붐을 일으켜 독자들의 관심을 환기시킨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이러한 고조선 다시 보기는 사실 길게는 20여 년 전부터 여러 학자들에 의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나, 주류 강단사학에 가려져 묻히거나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어찌 보면 지금의 고조선 붐은 이들의 씨뿌리기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고조선문명총서』 전6권은 이들 학자들이 2013년부터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후원을 받아 중국 만주를 오가며 최신의 발굴과 연구 성과를 총망라하여 집대성한 결과물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