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윤종빈"(으)로 20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62919059

Korean Political System and Democracy

윤종빈  | 푸른길
16,200원  | 20210614  | 9788962919059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politics in English People around the world want to read books written in English about Korean politics, but it is not easy to find Korean politics books written in English in Korea. So Jongbin Yoon, a director of Center for Future Policy Studies, wrote a book in English about Korean politics. 『Korean Political System and Democracy』 is the result. As such, the first goal of the book is to provide an overall picture of Korean political process to scholars and readers abroad. The second goal of the book is to theoretically analyze Korean political system and to practically demonstrate the real political aspects of Korean National Assembly, political parties, elections and public opinions. It would b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discipline of comparative politics to review Korean political system not only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but also from a practical aspect. The third purpose of the book is to provide the most updated data on the current issues of Korean politics. For those who need more updated and reliable knowledge on Korean politics may find useful information and insight out of this book. The chapters of the book are organized into thirteen parts. Each parts examine various issues of Korean politics both in theory and in practice. The key concepts dealt with in the book are as followings: democracy and democratization, Constitutions and power structures, party systems and electoral systems/laws, voting behavior, National Assembly, political culture and civil society, peace and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so on. Foreigners interested in Korean politics will be able to access various results of analyzing the Korean political system with the latest data throughout reading this book. 영어로 읽는 한국 정치 현황 세계 곳곳에서는 한국 정치를 영어로 다룬 책을 읽고 싶어하지만, 정작 한국에는 이런 요구를 충족시킬 만한 책을 찾기 쉽지 않다. 미래정책센터의 센터장 윤종빈은 그래서 한국 정치를 영어로 다룬 책을 썼다. 『Korean Political System and Democracy』가 그것이다. 그런 만큼 이 책의 첫 번째 목표는 해외의 학자들과 독자들에게 전반적인 한국의 정치 과정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어 두 번째 목표는 한국 정치 시스템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한국 국회, 정당, 선거, 여론의 정치적 측면을 실질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다. 한국 정치체제를 이론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측면으로도 재검토하는 것이 비교 정치학에 의미 있는 공헌이 될 것이다. 이 책의 세 번째 목표는 한국 정치의 현안에 대한 최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국 정치에 더욱 새롭고 믿을 만한 지식이 필요한 사람들은 이 책에서 유용한 정보와 통찰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책은 13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장은 이론적으로나 실질적으로 한국 정치의 다양한 문제들을 고찰한다. 이 책에서 다루는 핵심 개념들은 민주주의와 민주화, 헌법과 권력구조, 정당제도와 선거제도/법률, 투표행태, 국회, 정치문화와 시민사회, 한반도 평화와 안보 등이다. 한국 정치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이라면 이 책을 읽는 내내 한국 정치 시스템을 최신 자료로 분석한 다양한 결과를 접할 수 있을 것이다.
9788966801145

용서받지 못한 자

윤종빈  | 커뮤니케이션북스
0원  | 20121221  | 9788966801145
영화진흥위원회는 한국 영화의 정사와 기록을 발굴하고 정리하는 의미에서 제작된 극영화 가운데 우수한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1983년부터 매년 ≪한국 시나리오 선집≫을 발간하고 있다. 2005년 한국시나리오 선집에는 총 10편의 시나리오가 선정되어, 「그때 그 사람들」, 「너는 내 운명」, 「말아톤」, 「연애의 목적」, 「오로라 공주」, 「용서받지 못한 자」, 「웰컴 투 동막골」, 「주먹이 운다」, 「친절한 금자씨」, 「혈의 누」가 수록되었다. ≪한국 시나리오 선집≫은 2005년 한국 영화의 흐름을 요약하면서 동시대에 가장 뛰어난 작품성과 시나리오 완성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9788978464512

한국역학 연구의 기초

윤종빈  | 문경출판사
9,900원  | 20120225  | 9788978464512
한국 역학 연구의 기초를 다룬 책. 학역하는 사람들에게 쉽게 역학의 개념들을 소개하고자 했다. 역학의 성립부터 역학연구의 심법까지 살펴본다.
9788930313216

한국의 선거와 민주주의: 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윤종빈  | 집문당
9,030원  | 20070720  | 9788930313216
17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한 최초의 단독 집필 저서로, 체계성과 포괄성을 담보한 결과물이다. 총 6개 영역 중 1부는 17대 총선의 정치사적 의의로 새로운 리더십의 등장, 단점정부의 탄생, 의회 중심 세력의 교체, 전통적 의미의 지역주의 완화를 제시했다. 2부는 선거 직전 개정된 정치관계법이 선거운동의 공정성 및 공명성에 기여했으며, 총선에 처음 도입된 1인2표제가 분할투표를 유도하여 투표참여율과 대표성 제고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9791194654575

승부 각본집 (사활을 걸었다)

김형주, 윤종빈  | 스튜디오오드리
19,800원  | 20250421  | 9791194654575
“실전에선 기세가 팔 할이야.” “마음을 울리는, 가슴에 느껴지는 힘이 있는 영화” _조훈현 국수 전 국민의 손에 땀을 쥐게 한 전설적인 실화! 바둑판 위에서 한 치의 물러섬 없는 치열한 대국이 펼쳐진다 영화 〈승부〉의 열기를 이어갈 오리지널 공식 각본집이 독자들을 찾아온다. 〈승부〉는 대한민국 바둑계에서 길이 명승부로 꼽히는 조훈현과 이창호의 실화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전 세계 바둑대회에서 전관왕을 차지하며 대한민국 바둑의 위상을 높인 조훈현 국수. 당시 바둑 강국이었던 일본과 중국을 상대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1980, 1990년대 대한민국 영웅으로 불리던 조훈현은 바둑 영재로 유명했던 이창호를 수제자로 받아들인다. 제자와 한 지붕 아래에서 먹고 자며 가르친 지 수년, 모두가 스승의 뻔한 승리를 예상했던 사제 대결에서 조훈현은 전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기세를 탄 제자에게 충격적으로 패한다. 오랜만에 패배를 맛본 조훈현과 이제 승부의 맛을 알게 된 이창호. 조훈현은 타고난 승부사의 기질을 되살리며 다시 한번 비상할 결심을 하게 되는데…. 《승부 각본집》은 여느 스포츠 못지않게 격렬하고 치열한 사제 대결의 서사를 담았다. 이 책은 조훈현 국수의 말처럼 바둑을 넘어, “마음을 울리는” 이야기로 남을 것이다.
9788962919028

스마트 거버넌스 (초연결 지능정보사회의 온라인 공론장과 거버넌스)

윤종빈, 김기태 외  | 푸른길
13,500원  | 20210517  | 9788962919028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을 어떻게 정치에 접목시킬까? 디지털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스마트 거버넌스의 방향을 제시하다 기술 발전이 으레 우리 생활의 나아짐으로까지 이어지진 않는다. 누구나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곳곳에 마련되어 있는 키오스크 등 인공지능이 월등히 발전한, 바야흐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가짜뉴스가 빠르게 퍼지거나 SNS 해킹으로 인해 개인정보가 새어 나가는 등의 사건이 잊을 만하면 벌어지는 게 그 증거이다. 이렇듯 디지털 사회에서 벌어지는 가짜뉴스 문제나 집단 양극화, 개인정보 침해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은 명지대학교 미래정책센터는 이 같은 초연결 지능정보사회에서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문제를 진단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정부, 미디어, 시민 각 주체가 긴밀한 협의하에 서로의 역할을 조정하고 문제 해결에 수평적으로 참여하는 스마트 거버넌스(smart governance)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스마트 거버넌스』는 연구진들이 2년 동안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일부를 담아낸 책이다. 이 책은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초연결 지능정보사회와 공론장의 변동’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공론장에서의 정치적 갈등 및 이념적 대립 양상을 살펴보았다. 1부에 속해 있는 각 장에서는 초연결 지능정보사회에서 대의제 민주주의와 정당정치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전통적인 공론장과 온라인 공론장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유튜브 그룹채팅을 통하여 언론사별로 유권자들의 이념 갈등이 어떻게 표출되는지, 지난 1년간 한국 사회에서 검찰을 둘러싼 정치적 논란과 여론의 적대적 양극화 현상 등을 주목했다. 제2부에서는 ‘초연결 지능정보사회와 스마트 거버넌스’라는 주제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뉴스 미디어의 이념적 지형을 살펴보고 그러한 환경 변화 속에서 스마트 미디어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시민, 정부, 그리고 언론의 역할과 협치 거버넌스 구성에 초점을 두어 성숙한 민주주의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했다. 2부에 속해 있는 각 장에서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미디어 환경은 어떻게 재편되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유튜브 저널리즘은 무엇이고 어떠한 특징과 문제점이 있는지, 정보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거버넌스가 지역 차원에서 실제 적용된 사례는 무엇인지 등을 논했다. 한국사회는 초연결 지능정보사회에 들어선 지 오래다. 그렇기에 변화된 사회의 모습을 정확히 직시하고 뒤따르는 문제들에 대한 처방책은 무엇일지 고민하는 것을 더는 미루면 안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책은 지능정보 기술이 정치와 어떻게 연관 지을 수 있는지, 그리고 대의 민주주의 제도 속에서 시민의 건전한 참여와 소통의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9788962914337

정치현장에서 진단하는 한국 정당과 민주주의

윤종빈, 미래정치연구소  | 푸른길
19,800원  | 20171219  | 9788962914337
집단면접조사라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정치 현직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 정당과 민주주의를 진단하고 처방하다 이 책은 전문가 집단면접조사(FGI: 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통해 한국 정당정치의 현황과 사회통합의 가능성을 진단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작업을 기획하고 집필한 미래정치연구소는 한국사회와 시민-정당 연계와 정당 개혁, 사회통합 관련 경험적·실증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지난 4년여 간 해외 다양한 지역의 정당·의회 관계자 및 학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실제적인 정보를 수집해 왔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한국 사례의 경우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만을 실시해 다양한 정치 행위자의 입체적인 상호작용을 분석·연구하는 데 경험적 자료가 부족했었다. 이에 국회의원, 보좌진, 선거캠프 관련자 등 한국 정치현장에서 활동하는 현직자들의 인터뷰 자료를 구축하고자 전문가 집단면접조사를 기획·실시하였다. 그 결과물이 바로 『정지현장에서 진단하는 한국 정당과 민주주의』이다. 우리는 보통 신문, 뉴스 등 언론을 통해서 정치를 접해 왔다. 그러나 사실 언론은 완전한 객관성을 유지하기보다는 하나의 프레임에 맞추어 정치의 단면을 내비치는 경우가 다반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가 한국의 현 정치를 제대로 알고 있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이 책은 정치현장에서 현재 일하고 있는 정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언론을 통해서는 미처 알지 못했던 정치의 다른 단면과 한국 정치에 대한 색다른 시각을 제시해 준다. 이를 통해 언론이 만들어 낸 막연한 정치의 부정적인 면모를 걷어 내고 다른 측면에서 한국 정치를 목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정치 현직자들의 인터뷰를 토대로 하였기 때문에 탁상공론이 아닌 한국 정치에 적실(適實)한 해결책과 나아갈 방향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9788962914146

국민의 참여가 민주주의를 살린다

윤종빈, 미래정치연구소  | 푸른길
11,700원  | 20170630  | 9788962914146
『국민의 참여가 민주주의를 살린다』는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의 정치학자들이 기획하고 저술한 것으로, 우리 정치의 현실적인 고민을 전문가 내부의 논의에만 그치지 않고 대중들과 공감대를 이루어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정치참여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통해 정치참여의 확대 방안을 제시하며(제1부 정치참여), 정치참여 중에서도 투표참여에 집중하여 투표행태란 무엇이고 이러한 투표참여가 실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본다(제2부 투표참여). 또한 사회적자본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사회적자본과 정치참여 및 민주주의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제3부 사회적자본), 사회통합과 정치, 그리고 정치적 관용을 소개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모색한다(제4부 사회통합과 정치적 관용).
9788989815334

나는 이럴 때 주식을 산다

조영욱, 윤종빈, 조영욱  | 바른지식
17,820원  | 20100213  | 9788989815334
어설프게 공부한다면, 모르는 것보다 더 위험하다! 철저한 분석을 통해 살펴본 매수포인트 공략법~ 완벽한 주식 타이밍을 잡는 매매타이밍 포착 노하우를 담은 실전 지침서『나는 이럴 때 주식을 산다』. 주식은 타이밍이다. 어떤 시기에 주식을 사서, 어떤 시기에 파느냐에 따라 성공의 당락이 결정된다. 주식투자 전문가인 저자들은 그동안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던 매수포인트 공략법을 공개하고, 간단명료한 표현을 통해 매매 기준의 노하우를 전한다.
9788974184209

알고리즘의 정치학

박성원, 윤종빈, 황성수, 은종환, 고선규  | 인간사랑
18,000원  | 20210930  | 9788974184209
알고리즘의 정치학은 변화하는 현실을 마주하면서 엄밀하고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한국정치학의 연구질문을 새로이 설정하고 이를 궁구하는 노력을 담아보았다. AI알고리즘을 놓고 벌이는 세계정치의 변환에 대응하여 한국도 이 분야의 국가전략을 본격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AI알고리즘을 단순한 기술과 산업의 대상으로 보는 시각을 넘어서 국가 안보의 차원에서 이해하는 종합적 인식이 필요하다.
9788962919073

한국의 당원을 말하다 2 (4차 산업혁명과 팬데믹 시대의 당원과 당내민주주의)

윤종빈, 박지영, 김진주, 미래정치연구소  | 푸른길
13,500원  | 20210630  | 9788962919073
팬데믹,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로 인한 격변의 시기 속에서 당원이 해야 할 역할은 무엇인가 정당은 시민과 국가를 연계하는 주요 조직이며, 당원은 정당을 구성하고 시민과 정당을 잇는 핵심 집단이다. 또한 당원은 시민들의 정치참여를 독려해 시민사회를 강화시킴으로써 민주주의 안정화에 기여하며 여전히 정당의 정강, 정책, 공직 후보자 선출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집단이다. 한국의 당원 수는 2019년 기준 전년도에 비해 10.6%p 증가한 865만 7,559명으로, 인구수 대비 16.7%, 선거인수 대비 20.0%에 달한다(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0). 하지만 한국 정치사에서 당원은 선거나 당내 행사에 동원되고, 당원투표를 통해 정당 지도부에게 명분을 제공하는 등 ‘정당의 도구’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이에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연구자들은 대의민주주의의 위기 속에서 당원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설문조사를 기획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토대로 집필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4차 산업혁명과 팬데믹 시대의 당내민주주의와 당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책의 제1장 ‘당원의 소셜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은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비대면 방식의 선거 캠페인이 주를 이룬 21대 총선에서 어느 때보다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중요성이 상당했을 것으로 보고, 당원들의 소셜 미디어 이용 행태를 분석하였다. 제2장 ‘당원과 온라인 활동’은 정보화 환경에서 나타나는 당원 활동의 특성과 그것이 당내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제3장 ‘한국의 정당원들은 이념적 지지자인가?’는 최근 한국 정치에서 시민과 정당의 이념적 차이와 차별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정당과 정당원들의 이념 성향과 이념적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제4장 ‘당원의 정당 신뢰와 당내민주주의 인식’은 당원들의 정당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당내민주주의 인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 ‘한국 당원의 정당인식과 소속 정당 만족도’는 당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의 정당들이 민주적이고 개방적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변화된 정치환경에 따라 정당의 개혁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 책은 2019년 발간된 『한국의 당원을 말하다』의 연속물로, 2020년 확산된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과 이를 통해 가속화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라는 격변의 시기 속에서 대의민주주의의 위기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당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면서, 정치적으로 정당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시민과의 연계에 중요한 교두보가 될 수 있는 당원이 재조명 받기를 바란다.
9788962918717

Democracy and Social Change in South Korea

윤종빈, Soo Hyun Jung et al.  | 푸른길
18,000원  | 20200630  | 9788962918717
Political changes of South Korean democracy The Center for Future Policy Studies(CFPS) was established in 2019 at Myongji University to conduct in-depth research that leads to new ideas for solving political and socio-economic issues facing society at the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 This book was written by CFPS's researchers in South Korea, where there are few English-language books on politics and political parties, to introduce political parties and democracy in South Korean society to overseas scholars and international students and to discuss them. This book investigates important political issues of South Korea, with each article offering substantial background and multiple viewpoints. The chapters of the book are organized into five Parts. In Part I, current political challenges for South Korean democracy are examined. Part II examines various issues of social conflict and inequality in South Korea. Part III looks at social inclusion and political tolerance. In Part IV,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political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is examined. And the final Part of the book involves party politics and public deliberation in South Korea. Anyone interested in political change in South Korea will be able to get up-to-date information on critical issues in South Korean politics and society through this book. 한국 민주주의의 정치 변화 미래정치연구소(CFPS)는 지역·국가·글로벌 차원에서 사회가 당면한 정치·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롭고도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2019년 명지대학교에 설립되었다. 이 책은 미래정치연구소 연구진이 정치, 정당을 다룬 영문 단행본이 거의 없는 국내 실정을 고려하여 해외 학자, 유학생들에게 한국 사회의 정당 정치 및 민주주의를 소개하고 이를 논의하는 영문 단행본을 발간하는 데 뜻을 모아 만들어졌다. 한국의 중요한 정치적 이슈를 조사한 이 책은 각 논문을 통해 실질적인 배경과 다양한 관점을 제공한다. 책은 총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현재의 정치적 과제를 검토한다. 제2부에서는 한국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사회갈등과 불평등의 문제를 분석하고, 제3부에서는 사회적 포용과 정치적 관용을 고찰한다. 제4부에서는 한국의 정보기술 그리고 정치적 소통의 발전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5부에서는 한국의 정당 정치와 공적 숙의를 살펴본다. 한국의 정치 변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책을 통해 한국 정치와 사회의 중요 이슈에 대한 최신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9788962918083

한국의 당원을 말하다 (당원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한국형 정당모델의 탐색)

윤종빈, 정수현 외, 미래정치연구소 편  | 푸른길
13,500원  | 20190630  | 9788962918083
당원 분석을 통해 대한민국 정당정치를 진단하다 정당은 현대 민주주의의 대표체계에서 시민과 국가 간의 연계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조직이다. 정당의 구성원은 당원이므로 이들이 얼마나 되며, 어떤 사람들인가 하는 점은 민주주의의 작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서 이들 당원에 대한 논의는 그동안 빈약하게 이루어져 왔다. 당원을 분석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한 현실이 걸림돌이 되어 왔기 때문이다. 2018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당원 수는 750만 7,952명으로 인구수 대비 14.5%, 선거인 수 대비 17.6%가 정당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오랜 기간 정당 업무를 수행해 온 정당 사무처 직원들과 국회 관계자들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당원 수와 정당 가입률을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당원 명부에 있는 사람들이 실제 당원인지 아닌지 여부에 대한 엄밀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을뿐더러, 정당에서 당원의 수를 부풀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는 한국리서치와 함께 좀 더 실제에 입각한 우리나라 당원의 표본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들을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당원의 현재와 미래를 논하는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한국의 당원규모에 대해 통시적·비교적 방식으로 고찰하고, 당원과 비당원의 인구통계학적 차이와 행태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서구 유럽 정당의 당원 가입 및 당원 유형의 분화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 정당의 당원 및 당비납부에 관한 특수성을 검토했다. 제3장에서는 한국 당원들의 이념 성향과 경제, 외교안보, 사회분야 이슈들에 대한 태도를 검토하고 정당별로 당원들의 이념과 이슈태도가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각 정당에 직접 가입한 당원들이 정당의 활동과 스스로의 역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정당의 문제점과 필요한 제안들을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현재 한국 정당의 공천의 문제점을 진단한 후 당원들의 인식을 토대로 바람직한 공천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대의민주주의가 당면한 위기를 조명해 보고 기술혁신이 정당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응 방안으로서 한국형 정당모델을 모색하였다. 당원은 그 의미 그대로 정당의 구성원으로서 현실 정치에 대해 높은 관심과 참여의지를 갖고 있는 이들이다. 따라서 이들이 민주주의와 정당 그리고 스스로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현재의 문제와 위기를 진단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책은 우리나라 정당과 당원을 이해하고 한국 정당이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려는 연구와 노력의 산물이다.
9788962917536

민주주의의 두 얼굴 (2018년 지방선거를 통해서 본 유권자, 정당 그리고 사회통합)

윤종빈, 박지영 외, 미래정치연구소(편)  | 푸른길
13,500원  | 20190501  | 9788962917536
2018년 지방선거 분석을 통해 사회적 균열을 진단하고 통합을 모색한다 2018년 6월 13일에 치러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투표율은 예상과 달리 60.2%로 높게 나타났다. 이 투표율은 동시지방선거가 처음 시작된 1995년 제1회 지방선거를 제외하고 23년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지방선거는 우리의 삶과 직결된 생활 민주주의의 출발점이기 때문에 지방선거에서 ‘누가, 왜, 어떻게 투표하였는가?’를 분석하는 것은 대의민주주의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일 것이다. 따라서 『민주주의의 두 얼굴』에서는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결과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이번 지방선거의 성과와 과제를 진단하여 향후 지방선거 및 더 나은 민주주의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이 책은 총 2부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에서는 정당과 유권자의 정치 참여를 주제로 이번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정당의 역할과 유권자의 투표 행태를 살펴보고, 제2부에서는 사회적 균열에 대한 사회적 통합을 모색하는 다양한 시도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 있다. 심화되고 있는 이념 갈등, 대의민주주의의 약화, 세대 갈등, 지역주의 투표, 여성의 정치 참여 부족, 남남갈등은 우리 사회에 만연한 정치문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치문제들에 대한 처방책을 이 책의 각 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프랑스의 정치학자인 모리스 뒤베르제(Maurice Duverger)는 정치가 서로 다른 두 얼굴을 갖고 있는 로마의 신 야누스와 같다면서 정치권력이란 어떤 개인, 집단, 계급의 사회에 대한 지배의 도구인 동시에 최소한의 사회적 질서와 통합의 수단이라고 정의하였다. 사실 민주주의는 오늘날 거의 모든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는 최고의 정치체제라고 평가받고 있지만 과연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지는 생각해 볼 문제이다. 이런 맥락에서 『민주주의의 두 얼굴』은 ‘지금 이 시대의 민주주의는 어떠한 얼굴로 우리를 맞이하고 있는가’라는 문제제기로 시작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9788962911077

18대 총선 현장 리포트 (18인 정치학자의 참여관찰)

유재일, 손병권, 임성학, 가상준, 윤종빈  | 푸른길
16,200원  | 20090320  | 9788962911077
18인 정치학자의 참여관찰로 재조명한 '18대 총선' 한국정당학회 소속의 정치학자 18인이 2008년 4월 9일에 실시된 제18대 총선의 전 과정을 참여관찰이라는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한 책. 참여관찰 연구방법에 의한 선거분석은 16, 17대 총선에도 선보인 바 있으며, 이 책 역시 그 연장선상에서 출간되었다. 총 4부로 구성된 이 책의 1-3부에서 개별 연구자들은 자신이 소속된 대학이나 연구기관의 지역적 위치에 따라 배정된 선거구를 중심으로 참여관찰을 수행하였다. 마지막 제4부에서는 공천 과정, 유권자 평가, 매니페스토 등을 중심으로 선거 과정을 검토하고 있다. 본문에 수록된 글들은 수도권에서의 한나라당 승리, 지역주의의 변화와 지속성, 친박 세력의 득세와 진보의 퇴조, 선거 과정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선거에 나타났던 중요한 선거쟁점 및 특징과 관련된 대표적 지역구의 동향과 공천 과정까지 총망라해 담았다. [양장본]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