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탈탄소화 및 관세정책·조선업 부흥정책(미국)으로 인한 글로벌 해운·조선업 산업 이슈와 해상운송·주요국 선박 동향
			IPResearch센터   | 산업정책Research
			360,000원  | 20251027  | 9791189250225
			세계 해상 운송은 미지의 영역으로 들어섰다. 1967년 수에즈 운하 폐쇄 이후 세계 무역의 동맥이 이처럼 지속적으로 교란되는 것을 목격한 적은 없었다. 한때 홍해를 며칠 만에 통과했던 선박들이 이제는 희망봉을 몇 주씩 항해하고 있다. 수년간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운임은 이제 매달 크게 변동한다. 회복력이 강하다고 생각했던 공급망은 이제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교란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러한 변화는 해상 운송 운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고할 것을 요구한다. 수에즈 운하는 2023년 평균 수송 톤수보다 약 70% 낮은 수준으로 정상 처리량 이하로 운영되고 있다. 전 세계 해상 원유 수출의 약 34%가 통과하는 호르무즈 해협 주변에서 올해 발생한 사태는 해상 안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의 필요성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항만 운영 차질 또한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만성화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이미 해상 무역 패턴을 재편하고 있다. 2024년 물동량은 2023년 대비 2.2% 증가했지만, 그 속도는 완만했다. 2003년부터 2023년까지 20년간 기록된 평균보다 낮다. 더욱 중요한 것은 해상 무역의 이동 거리가 상당히 길어졌다는 점이다. 안보 우려로 인해 세계 해운 시장이 재편됨에 따라 평균 항해 거리는 2018년 4,831마일에서 2024년 5,245마일로 증가했다. 해상 무역량 (톤마일 기준)은 2023년 대비 2024년에 5.9% 증가했으며, 이는 해상 무역량 증가의 거의 세 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2025년 10월 채택을 검토할 예정인 국제해사기구(IMO)의 넷제로 프레임워크(Netzero Framework)는 선박 건조, 연료 공급 및 운항 방식을 더욱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주문 현황을 보면 이미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다. 현재 신규 발주 선박 톤수의 절반 이상이 대체 연료 선박이지만, 톤수 기준 현재 운항 중인 선대의 90% 이상이 여전히 재래식 연료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자동화와 디지털화는 숨 막힐 듯한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 항만은 컨테이너를 몇 시간이 아닌 몇 분 만에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혼잡 발생 전에 예측한다. 자율 운항 선박은 개념 단계에서 프로토타입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취약점을 만들어낸다. 해운에 대한 사이버 공격 또한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오늘날의 보안 및 규제 기반 위에 미래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탄소 제로, 디지털 시스템, 새로운 무역로로의 전환은 단지 전환일 뿐이다. 
미래의 충격을 견딜 수 있는 지속 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관행, 새로운 기술 현실과 지속가능성 기준에 부합하는 규제 업데이트, 야심 차고 달성 가능한 탈탄소화 경로, 단순한 인프라가 아닌 사람에 대한 투자, 국경을 장벽에서 관문으로 전환하는 무역 촉진에 이른다. 해상 운송과 조선업은 이전에도 전쟁, 봉쇄, 경제 위기 등 혼란을 겪어 왔다. 하지만 조선업과 해상 운송 부문은 적응할 것이며, 항상 그래왔다. 문제는 그러한 적응이 관리될 것인지, 혼란스러울 것인지, 포용적일 것인지, 분열적일 것인지, 지속 가능할 것인지, 아니면 그저 생존 가능할 것인지이다. 
이에 따라 본원 IPResearch센터에서는 해운·조선업에 대한 글로벌 국가들의 전략과 주요 선박 동향에 관한 관련 국책민간(국내, 해외) 분석 보고서 자료와 정책 자료를 토대로 분석정리하여 『2050년 탈탄소화 및 관세정책·조선업 부흥정책(미국)으로 인한 글로벌 해운·조선업 산업 이슈와 해상운송·주요국 선박 동향』을 발간하게 되었다. 
본서 1장에는 해운·조선업 산업환경과 국내·외 신조선 동향, 2장엔 그에 따른 미국의 조선업 부흥정책과 주요국 현황을, 3장은 LNG 시장 및 LNG선 동향과 전망을 중점적으로 다루었고, 마지막 4장에서는 글로벌 해상 운송과 해운 동향으로 마침표를 찍었다. 마지막으로 이와 관련된 기업과 개인 회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용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2025.  10. 24. 
                                                    
                                                      산업정책Research IPResearch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