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장돌뱅이의"(으)로 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58667696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창녕·고령 편

조영준, 김봉좌, 심재우, 오창현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5,200원  | 20241015  | 9791158667696
경상남도의 창녕과 경상북도의 고령에는 각각 유서 깊은 보부상 단체의 문헌이 현존한다. 이 책은 근대 이행기 대표 상인 조직인 보부상을 입체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보부상자료집(人)』과 창녕박물관, 대가야박물관에 소장된 관련 기록을 총망라하여 탈초·정서·번역하고 상세한 해설을 덧붙였다. 기존 영인본 자료의 한계를 넘어 현존 문헌 및 관련 유물을 포괄함으로써 텍스트만 제시한다거나 발췌 번역하는 기존 연구 방식 대신 원문 전체의 정서, 특이점 확인, 역주를 포함한 번역, 개별 자료에 대한 해설 등을 추가해 차별화를 꾀했다. 지역별 보부상 조직의 차이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조선 후기 상업사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 기출간한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예산·덕산·면천·당진 편』(2015),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저산팔읍 상무우사 편』(2019),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저산팔읍 상무좌사 편』(2021),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홍주·결성·보령·청양·대흥·오천 편』(2023) 등 충청남도 지역의 보부상 자료와 비교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9791158667245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 홍주·결성·보령·청양·대흥·오천 편 (홍주·결성·보령·청양·대흥·오천 편)

조영준, 심재우, 고민정, 오창현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7,000원  | 20231130  | 9791158667245
원홍주등육군(元洪州等六郡)은 충청남도 홍주·결성·보령·청양·대흥·오천을 가리키는데, 그 일대의 상무우사(商務右社)가 남긴 자료가 『보부상자료집(續)』에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기존 영인본 자료의 한계를 넘어 현존 문헌 및 관련 유물을 포괄하여 원홍주등육군의 상무우사가 남긴 자료를 탈초·번역하고 해설을 수록하였다. 텍스트만 제시한다거나 일부 내용만 발췌하여 번역하는 기존 연구 방식 대신, 원문 전체의 정서, 특이점 확인, 역주를 포함한 번역, 개별 자료에 대한 해설 등을 추가해 차별화를 꾀했다. 보부상 조직이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는지를 실증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조선 후기 상업사 연구가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기출간한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예산·덕산·면천·당진 편』(2015),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저산팔읍 상무우사 편』(2019),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저산팔읍 상무좌사 편』(2021)과의 비교를 통해, 동일한 지역이라고 하더라도 보부상 조직이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는지도 실증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9791158666514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저산팔읍 상무좌사 편

조영준, 고민정, 오창현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5,200원  | 20210930  | 9791158666514
저산팔읍(苧産八邑)은 충청남도 서남부의 모시[苧] 생산이 많았던 서천·비인·남포·홍산·부여·정산(혹은 은산)·임천·한산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이 지역의 등짐장수인 부상과 봇짐장수인 보상은 각각 별개의 조직을 이루어 존속했는데, 상무좌사는 그중 부상의 조직을 가리킨다. 이 책은 근대 이행기 대표적인 상인으로 알려진 부상 조직이 남긴 문헌 가운데 사본을 제외하고 원본을 망라한 자료 21건의 탈초·번역·해설을 진행했다. 자료는 크게 두 가지 성격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규정과 명단이다. 규정은 저산팔읍 상무좌사의 직제 관련 정보를, 명단은 실제 조직 운영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들 자료를 통해 조선 후기 상업사 및 충청남도 지역 상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더할 수 있다. 특히 기출간한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예산·덕산·면천·당진 편』(2015)과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저산팔읍 상무우사 편』(2019)과의 비교를 통해, 동일한 지역이라고 하더라도 보부상 조직이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는지도 실증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9791158665937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저산팔읍 상무우사 편 (저산팔읍 상무우사 편)

조영준, 김봉좌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7,000원  | 20191205  | 9791158665937
조선 후기 보부상 조직 가운데 ‘저산팔읍 상우무사’와 관련된 고문서를 전수 조사하고 원문을 탈초, 정서, 역주, 해설한 자료집이다. 저산팔읍(苧産八邑)은 충청남도 서남부의 모시 생산이 많았던 지역을 통칭하는 용어로, 서천, 비인, 남포, 홍산, 부여, 정산(혹은 은산), 임천, 한산 등을 포함한다. 이 지역의 등짐장수인 부상과 봇짐장수인 보상은 각각 별개의 조직을 이루어 존속했는데, 상무우사(商務右社)는 그중 보상의 조직을 가리킨다. 이 책에 수록된 99건의 자료는 전국에 걸친 보부상 조직의 역사가 1845년 이전에 ‘저산팔읍 상무우사’에서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조직의 구성과 운영의 세부사항, 보부상 조직과 관청 간에 주고받은 민원과 조치 사항 등 소소한 정보를 현장감 있게 전달한다. 보부상 조직이 “여염의 촌락에서 무리를 믿고 행패 부리는” 폐단을 막기 위해 태형 등의 자치 징계 규정을 마련했던 정황도 살펴볼 수 있다. 근대 이행기 대표적인 상인으로 알려져 있던 보부상 조직에 관한 연구를 통해 지역 상업 및 조선 후기 상업사에 대한 이해를 더하고자 하였다.
9791158660482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 : 예산.덕산.면천.당진 편 (예산·덕산·면천·당진 편)

조영준 외 역해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7,000원  | 20151225  | 9791158660482
보부상 조직은 조선 후기 이래 전국 각지에 형성되어 있었으며, 현재까지 관련 자료가 곳곳에 산재해 있음이 확인된다. 그중에서도 현재의 충청남도 예산군과 당진군 지역을 근거로 활동한 예덕상무사(禮德商務社)는 풍부하고 다양한 종류의 자료를 남겨 놓았다. 자료의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조직의 설립 의의 및 운영에 관계된 제반 ‘규정’과 조직 구성원의 실명을 기재해 둔 ‘명단’이다. 이 책에서는 전체 문서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탈초ㆍ정서하여 원본에 가깝게 재편집한 후 각 자료를 번역ㆍ해설하였다. 『장돌뱅이의 조직과 기록-예산ㆍ덕산ㆍ면천ㆍ당진 편』은 AKS 역주총서의 열세 번째 책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