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조선미술사"(으)로 90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28521418

조선미술사개요

이여성  | 민속원
47,700원  | 20250630  | 9788928521418
일제강점기 사상가, 언론인, 역사가, 미술사가인 이여성(1901~?)의 학문적 여정과 성과를 담는 것으로 기획되었다. 저작집 간행위원회와 민속원은 먼저 월북 후 북에서 집필된 이여성의 미술사 관련 저작인 『고구려 백제 신라의 미술』(1954), 『조선미술사개요』(1955), 『조선건축미술의 연구』(1956), 『조선공예미술연구』(1957)를 출간하고, 이후 그의 주요 저술들을 차례로 소개하려 한다. 1931년부터 1935년까지 모두 5집으로 출판된 이여성 · 김세용 공동 저술의 『數字朝鮮硏究』와 1947년의 대표 저작 『朝鮮服飾考』 역시 발간을 앞두고 있다. 이외에도 남과 북에서 이여성이 집필한 사상, 정치, 미술 등의 관련 글들을 선별하여 새롭게 엮어 발간하고, 이를 통해 그의 사상과 학문적 성과를 조망할 계획이다. 또한 간행위원회는 제분야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이여성 관련 여러 논문을 주제별로 엮어 이여성에 대한 학문적 성과를 이해하고, 학술적 가치와 의미를 논의하려고 한다.
9788980383900

조선미술사

관야 정  | 동문선
27,000원  | 20031010  | 9788980383900
이 책은 조선미술사에 관하여 강좌를 했던 세키노 타다시 박사의 미술사를 새로 정리하여 묶은 것이다. 문화재의 빛깔 사진과 함께, 낙랑군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별로 지세, 기후, 재료, 국민기질 등으로 나눠 이야기한다. ♧ 저자소개 지은이 관야 정(세키노 다타시) 일본 니카다현 출신, 동양 건축사학자. 논저로 , 등이 있다. 옮긴이 심우성 민속학자이자 연행예술가로 현재 문화재 관리국 문화재 위원과 한국민속극연구소 소장 및 공주민속박물관장과 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로 활동 중이다. 등 10권의 저서와 등 20여 권의 번역서를 출간했으며 서울시 문화상, 향토문학예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9788993229301

조선 미술사

조선미술사 간행위원회  | 역사창조
54,000원  | 20130923  | 9788993229301
『조선 미술사』는 조선 미술의 역사를 정리한 책이다.
9788908061316

조선 미술사 연구

윤희순  | 범우사
4,410원  | 20151130  | 9788908061316
저자 윤희순은 고고학이나 미술사를 전공한 미술사가는 아니다. 그는 서양화가인 동시에 미술비평가였다. 그리고 한때는 신문사 문화부 기자도 역임했다. 그는 비록 미술사를 전공하지는 않았지만 미술평론을 한 비평의식이 있어 한국 회화를 보는 안목이 뛰어났다. 또한 빼어난 문장가이기도 했다. 이 책이 한국 미술 전반을 서술한 것은 아니다. 고려의 상감청자를 다루기는 했지만, 주로 회화사를 중심으로 꾸몄다. 고구려 벽화부터 조선시대의 회화에 이르기까지 한국 회화사의 주요 부분과 솔거, 담징, 임희지, 최북, 김홍도 등 ...
9788977356320

조선미술사 개요

리여성  | 한국문화사
18,000원  | 19990610  | 9788977356320
9788930100564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

안드레 에카르트  | 열화당
40,500원  | 20031120  | 9788930100564
지금으로부터 74년 전인 1929년 독일인 안드레 에카르트가 조선미술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집필한 책. 최초의 미술통사라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이에 앞서 안확의 '조선미술', 박종홍의 '조선미술의 사적 고찰' 같은 글이 발표되긴 했지만, 한국미술전체를 아우르는 저작은 아니었다. 에카르트가 한국과 인연을 맺은 것은 1909년 독일 카톨릭 베네딕트 교단의 신부로 파송되면서부터. 그는 20년간 한국에 체류하게 되는데, 서울 수도회가 설립한 교사양성소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경성제국에서 언어와 미술사를 강의했다. 이 책은 1928년 독일로 돌아가 한국 체류시의 답사 자료를 바탕으로 쓴 것이다. 이 후에도 뭔헨 대학(한국학과) 교수를 지내며 한국학과 관련된 130여 편의 논문과 서평을 발표하는 등, 한국을 독일에 알리는 일에 앞장섰다. 이 책에는 500여 점의 한국미술 도판이 수록되어 있다.
9791137250581

조선미술사.조선음악사 (안확 평론집 1)

안확  | 부크크(bookk)
11,900원  | 20210928  | 9791137250581
"조선미술사.조선음악사 (안확 평론집 1) - 부제: 현대문학역사평론 100년 전, 20세기 초 문학 평론 안확 安廓 (1886-1946) 국학자·시조 연구가. 호는 자산(自山). 서울 출생. 일본 니혼 대학(日本大學)을 졸업, 한문·시조·문학사 등에 관한 연구가 깊었다. 저서에 (1923) (1940) (1947) 등이 있다. 우리나라 근대음악사 기간(1860-1945년) 동안 음악정치사를 주도한 지배층의 아악계에 반대하여 일반 민중들이 좋아하는 민악을 새로운 민족음악으로 해석하여 부흥시키고자 노력하였다. 1930년 이라는 잡지에 라는 글을 실어, 도덕적이고 형식적인 궁정음악을 배격하고 민중음악을 취하여 조선음악의 진상을 볼 것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안확은 민악을 새롭게 부각시켜 민족음악의 지평을 확대한 근대음악 이론가이자 민족문화 비평가라 할 수 있다. 조선미술사.조선음악사 조선미술사(朝鮮美術史) 조선음악사(朝鮮音樂使) 조선무예고(朝鮮 武藝考) 작가 원작의 토속어(사투리)와 한자 병행, 당시 국문법을 따랐습니다. "
9788930102926

조선미술사 (하) 각론편

고유섭  | 열화당
36,000원  | 20071201  | 9788930102926
국내 최초의 미학.미술사학자, 우현 고유섭 선생(1905-1944)의 작품 전집이다. 우현의 방대한 학문적 성과와 그것이 지니고 있는 사료적 가치는 물론, 그 속에 깃들인 우리 미술문화에 대한 한없는 애정, 이에 대한 학문적 체계 수립의 열정 등을 온전히 담아내고자 했다. 또 난해한 글을 일반 독자들도 충분히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편집에 정성을 기울였다. 유저(遺著)들은 물론이고 그 밖의 수많은 미발표(미완성) 유고, 소장하던 미술사 유물.유적 관련 사진도판, 카드 기록, 직접 그린 도면과 소묘, 지도, 자료사진, 일기, 장서목록, 그리고 그에 관한 여러 지인들의 회고까지, 우현 고유섭이라는 한 인간이 남기고 간 모든 업적과 그에 관한 자료들이 이 전집에 포함된다. 제1, 2권 <조선미술사> 상, 하, 제3, 4권 <조선탑파의 연구> 상, 하, 제5권 <고려청자>, 제6권 <조선건축미술사>, 제7권 <송도의 고적>, 제8권 <우현의 미학과 미술평론>, 제9권 <조선금석학>, 제10권 <전별의 병> 등 전10권으로 기획되었으며, 1차분으로 제1, 2권 <조선미술사> 상, 하, 제7권 <송도의 고적> 등이 출간되었다.
9788930102919

조선미술사 (상) 총론편

고유섭  | 열화당
31,500원  | 20071201  | 9788930102919
마흔 살이라는 짧은 생을 살고 간 우현의 원고를 수집하고 정리, 그리고 분석하여 낸 '우현 고유섭 전집'의 1차분이 출간되었다. 『조선미술사』 상,하권과 제7권 『송도의 고적』이 바로 그 것이다. 이 책은 고유섭의 방대한 학문적 성과와 그것이 지니고 있는 사료적 가치에 대해 실어 두었다. 또한 그의 미술문화에 대한 한없는 애정과 학문적 체계 수립의 열정 등 예술관을 온전히 보여주고 있다. 위대한 미술사학자이자 뛰어난 인문학자였던 그의 공개되지 않았던 미발표유고, 도면 및 소묘 등을 수록하였다....
9788930100205

조선미술사연구(우리문화 예술론의 선구자들)

윤희순  | 열화당
13,500원  | 20010201  | 9788930100205
9791189074616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5: 조선 도자 (조선 : 도자)

유홍준  | 눌와
23,400원  | 20231020  | 9791189074616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13년 만의 완간! ‘한국미술 전도사’ 유홍준, 한국미술사의 새 기준을 제시하다 2010년 첫 번째 권의 출간 이후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가 제5권과 제6권의 동시 출간으로 13년 만에 완간되었다. ‘한국미술 전도사’를 자임하는 유홍준 교수가 집필한 이 시리즈는 총 6권, 모두 합치면 25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에 2650여 개의 도판이 실려 있다. 제1권 ‘선사, 삼국, 발해’편을 시작으로 제6권 ‘조선: 공예, 생활·장식미술’까지 한국미술사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은 물론, 각 시대를 대표하는 명품들을 빠짐없이 실었다. 그간 한국미술사의 특정 시대 혹은 한 분야에 집중한 책은 여럿 있었으나, 이렇게 한 명의 저자가 일관된 시각으로 한국미술 전반을 다룬 통사를 쓴 경우는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 이번 완간의 의미는 더욱 크다. 그간 학계가 축적한 연구 성과의 집대성이기도 한 이 시리즈는, 향후 한국미술사의 기준이 될 것이다.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제5권은 예로부터 한국미의 정수로 칭송되어 왔고, 그만큼 많은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아온 조선 도자가 주제이다. 분청사기와 백자, 도기 등 조선시대 도자 전반을 다루었는데, 특히 백자는 시대별로 그 특유의 미감과 양식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질박한 아름다움의 분청사기, 순백색의 둥글고 어진 맛의 백자 달항아리, 한 폭의 그림과도 같은 구성미를 보여주는 청화백자까지 조선 도자의 진수를 빠짐없이 접할 수 있다.
9788930103688

조선건축미술사 초고

고유섭  | 열화당
22,500원  | 20100201  | 9788930103688
『조선건축미술사 초고』는 「우현 고유섭 전집」 6번째 시리즈다. 우리나라 최초로 미학과 미술사학을 전공하고 이 분야 연구에 매진하여 한국미술사학의 굳건한 토대를 마련한 우현 고유섭의 방대한 학문적 성과와 그 속에 깃들인 우리 미술문화에 대한 한없는 애정이 담겨 있다.
9791189074623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6: 조선 공예·생활·장식미술 (조선 : 공예, 생활·장식미술)

유홍준  | 눌와
28,800원  | 20231020  | 9791189074623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13년 만의 완간! ‘한국미술 전도사’ 유홍준, 한국미술사의 새 기준을 제시하다 2010년 첫 번째 권의 출간 이후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가 제5권과 제6권의 동시 출간으로 13년 만에 완간되었다. ‘한국미술 전도사’를 자임하는 유홍준 교수가 집필한 이 시리즈는 총 6권, 모두 합치면 25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에 2650여 개의 도판이 실려 있다. 제1권 ‘선사, 삼국, 발해’편을 시작으로 제6권 ‘조선: 공예, 생활·장식미술’까지 한국미술사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은 물론, 각 시대를 대표하는 명품들을 빠짐없이 실었다. 그간 한국미술사의 특정 시대 혹은 한 분야에 집중한 책은 여럿 있었으나, 이렇게 한 명의 저자가 일관된 시각으로 한국미술 전반을 다룬 통사를 쓴 경우는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 이번 완간의 의미는 더욱 크다. 그간 학계가 축적한 연구 성과의 집대성이기도 한 이 시리즈는, 향후 한국미술사의 기준이 될 것이다.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제6권은 조선시대 공예를 다루었다. 공예는 삶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인간 노력의 산물이다. 이 책에서는 조선시대 공예를 사용자를 기준으로 왕실공예, 규방공예, 선비공예, 민속공예의 네 개 분야로 나누어 각 분야마다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여실히 보여준다. 또한 익명성 때문에 미술사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했던 장식화, 민화 그리고 자수까지 ‘생활·장식미술’이란 이름으로 미술사의 체제로 편입하였다.
9791195774302

한국미술사: 조선후기의 천재 화원들

김성진  | 서림당
0원  | 20160705  | 9791195774302
『한국미술사: 조선후기의 천재화원들』는 철저한 장인정신으로 붓을 잡고 심혈을 기울여 그림을 그린 조선을 빛낸 화원들, 그 인물들의 일생과 그들의 작품을 함께 만나보는 책이다.
9791195774326

인물로 보는 한국 미술사 : 조선 후기의 천재 화원들

김성진 지음  | 서림당
0원  | 20160410  | 9791195774326
『한국미술사: 조선을 빛낸 화원』은 철저한 장인정신으로 붓을 잡고 심혈을 기울여 그림을 그린 조선을 빛낸 화원들, 조선 전기와 중기에 활약했던 인물들의 일생과 그들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책이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