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미술/디자인/사진
· ISBN : 9788930100564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03-11-20
책 소개
목차
한국미술을 세계미술로 본 최초의 저술 / 역자 해제
서문
서론 / 조선미술
제1부 건축
1. 총론
2. 가옥
3. 누각
4. 성벽, 문, 다리
5. 왕궁
6. 사당과 불교사원
7. 건축구조와 그 세부
8. 분묘구조
9. 석굴사원
제2부 조각과 불탑미술
1. 총론
2. 석탑
3. 다층탑
4. 금속탑
5. 기념탑
6. 불교묘비
7. 석등
8. 기념석비
9. 왕릉의 석상
10. 동물주제
제3부 불교조각
1. 총론
2. 불교 신계의 분류
붓다 / 관세음보살 / 보살 / 부차적 신들
3. 붓다
노솨나불·대일여래불 / 석가불 / 아미타불 / 약사여래불
4. 관세음보살
일반적 형식 / 천수관음 / 십일면관음 / 여의륜관음
5. 보살
미륵보살 / 감로보살 / 대세지보살
6. 붓다의 배치
7. 불교의 성령
8. 석굴암
9. 요약
제4부 회화
1. 총론
2. 고구려시대의 고분벽화
3. 고구려시대의 고분 장식
단일 모티프와 꽃 장식 / 선과 줄기 장식 / 모서리의 삼각 공포 부문 / 장미형, 원형 장식
4. 고구려 고분의 동물화
5. 고구려 고분의 인물화 및 성령화
6. 후대의 장식
7. 한자
8. 먹과 색채의 비종교적 회화
9. 종교화
불교회화 / 불교 이외의 종교미술
10. 의궤도와 목판조각
제5부 도자기
1. 총론
개관 / 재료분석
2. 기와
3. 장식전
4. 신라시대의 도자기
5. 고려시대의 도자기
고려자기 / 철회청자
6. 투조작품 : 인물상과 동물상
7. 분청사기 및 짙은 색 문양 자기
인화분청 / 귀얄 분청사기 / 짙은 색 문양 자기
8. 조선왕조시대의 조선 도자기 쇠퇴
9. 백자
소문 / 음각 / 양각
10. 조선 도자기가 일본에 미친 영향
제6부 도자기 이외의 수공예품
1. 총론
2. 돌, 동석 및 크리스털 작품
3. 청동 작품
4. 동경
5. 범종
6. 금은세공
7. 칠세공
8. 목조
9. 의복과 자수
결론 / 조선미술의 특질
참고문헌
안드레 에카르트 연보
<조선미술사> 한국어판 출간에 부쳐 / 알브레흐트 허베
역자 후기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과거 조선 예술가들의 작품들을 보고 있으면 그것들이 평균적으로 세련된 심미적 감각을 증명하고 있으며, 절제된 고전적인 아름다움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게 된다. 그리고 그 아름다움은 동아시아 미술 분야에서 직접 조선미술 발달과정의 한 특징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