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중국명시감상"(으)로 6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85704005

중국명시감상

이석호  | 명문당
31,500원  | 20140331  | 9791185704005
▶ 이 책은 중국명시를 다룬 이론서입니다. 중국시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88920026911

중국명시감상 (25-1학기)

안병국, 김성곤, 이영주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4,900원  | 20180125  | 9788920026911
이 교재는 중국의 문학이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필수라 할 수 있는 중국 고전시가의 강독을 위해서 편찬되었다. 양한(兩漢)의 악부시(樂府詩), 위진남북조의 시, 당시(唐詩), 북송시(北宋詩)를 선별하여 수록하였으며, 각 시기의 시사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하여 그 흐름과 유파를 설명하였다. 작품을 강독하는 데 필요한 정도의 주와 해제를 하였고, 부록에 원문의 한어병음을 제공하였다. 작품을 해석하고 감상한 뒤 중국 시가 전반을 통하여 중국인의 사상과 정서가 어떠한지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를 기대한다.
9791195164363

중국명시감상(특별보급판) (특별보급판)

명문당 편집부  | 명문당
18,000원  | 20140217  | 9791195164363
중국 문인들이 쓴 명시선집 『중국명시감상』. 현역 중국문학자 116명이 뽑아 엮은 명시들이 담겨 있다. 시는 물론 그에 대한 감상을 함께 수록하여 중국의 명시들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9791193707272

중국 고전 명시 감상

김경국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18,000원  | 20240226  | 9791193707272
중국문학에 있어서 “시문(詩文)”은 시가(詩歌)와 산문(散文)을 통칭하는 말이다. 즉 시(詩)ㆍ사(詞)ㆍ사(辭)ㆍ문장(文章)ㆍ명구(名句)ㆍ부(賦)ㆍ곡(曲)ㆍ가(歌)ㆍ격언(格言) 등의 작품을 모두 시문(詩文)이라 할 수 있다. 각 장에 실린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장 선진시가(先秦詩歌)에는 원시가요(原始歌謠)의 탄가(彈歌) 외 5수, 《시경》 국풍(國風)의 관저(關雎) 외 4수, 소아(小雅)의 녹명(鹿鳴) 외 5수, 대아(大雅)의 기취(既醉) 등 총 18수가 실려 있다. 제2장 진한시가(秦漢詩歌)에는 항우(項羽)의 해하가(垓下歌), 유방(劉邦)의 대풍가(大風歌), 《고시십구수(古詩十九首)》 중 행행중행행(行行重行行) 외 9수 등 총 13수가 실려 있다. 제3장 위진남북조시가(魏晉南北朝詩歌)에는 조씨(曹氏) 삼부자(三父子)인 조조(曹操)의 단가행(短歌行), 조비(曹丕)의 연가행(燕歌行), 조식(曹植)의 칠보시(七步詩), 도연명(陶淵明)의 사시(四時) 외 15수, 사령운(謝靈運)의 등여산절정망제교(登廬山絕頂望諸嶠) 1수 등 총 19수가 실려 있다. 제4장 수당시가(隋唐詩歌)에는 하지장(賀知章)의 회향우서(回鄕偶書) 외 1수, 왕지환(王之渙)의 등관작루(登鸛雀樓), 최호(崔顥)의 황학루(黃鶴樓), 이백(李白)의 추포가(秋浦歌) 외 19수, 두보(杜甫)의 춘망(春望) 외 5수, 왕유(王維)의 종남별업(終南別業) 외 2수, 맹호연(孟浩然)의 춘효(春曉) 외 1수, 맹교(孟郊)의 유자음(游子吟) 외 1수, 가도(賈島)의 제이응유거(題李凝幽居) 외 1수, 백거이(白居易)의 한영(閒詠) 외 3수, 두목(杜牧)의 청명(清明) 외 7수, 이상은(李商隱)의 야우기북(夜雨寄北) 외 1수, 창당(暢當)의 등관작루(登鸛雀樓) 등 총 54수가 실려 있다. 제5장 송원시가(宋元詩歌)에는 조변(趙抃)의 차운공헌봉래각(次韻孔憲蓬萊閣), 소식(蘇軾)의 제서림벽(題西林壁) 외 1수, 주방언(周邦彦)의 완계사(浣溪沙), 이조충(李祚忠)의 봉래원조(蓬萊遠眺), 이청조(李清照)의 무릉춘(武陵春) 등 총 6수가 실려 있다. 제6장 명청시가(明淸詩歌)에는 황종희(黄宗羲)의 달봉기유(达篷纪游), 팽손휼(彭孫遹)의 추일등등왕각(秋日登滕王閣) 등 2수가 실려 있다. 아무튼 본서를 통해서 중국문학을 좋아하는 많은 사람들이 중국고전시가를 좀 더 폭넓게 이해하는데 조그마한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9791168012851

중국 명산 명시 감상

심우영  | 한국학술정보
13,500원  | 20211231  | 9791168012851
이 책은 태산, 화산, 형산, 황산, 아미산, 무이산 등 총 여섯 개의 산에서 족적을 남긴 이백, 두보, 사령운, 육유, 주자 등 47명의 시인과 그들의 시약 70편을 담았다. 그리고 산의 의미와 가치를 가늠할 수 있도록 고대 황제黃帝 시대부터 중세 송대까지 계속해서 행해졌던 ‘태산의 봉선 의식’을 제1장에 두었고, 산수 자연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태산 시가’를 위주로 설명한 ‘자연경관과 인문경관’을 제2장에다 두었다. 그 목적은 우리가 산의 겉모양만 보고 만족할 것이 아니라, 옛 시인은 산에서 무엇을 관찰하고 무슨 생각을 했는지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리하여 산을 경험하는 독자 여러분이 더 크고 깊이 있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되도록 어려운 말은 피하여 번역하였고, 해설 또한 이해가 쉽게 되도록 가능한 한 전문용어는 쓰지 않았다.
9788968499371

중국 고전 명시 명문 감상

김경국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13,500원  | 20230225  | 9788968499371
중국문학에 있어서 “시문(詩文)”은 시가(詩歌)와 산문(散文)을 통칭하는 말이다. 즉 시(詩)ㆍ사(詞)ㆍ사(辭)ㆍ문장(文章)ㆍ명구(名句)ㆍ부(賦)ㆍ곡(曲)ㆍ가(歌)ㆍ격언(格言) 등의 작품을 모두 시문(詩文)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크게 제1편 “중국고전명시 감상”과 제2편 “중국고전명문 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중국고전명시 감상”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편은 《고시십구수(古詩十九首)》 중 10수, 항우(項羽)의 해하가(垓下歌), 유방(劉邦)의 대풍가(大風歌), 조씨(曹氏) 삼부자(三父子)인 조조(曹操)의 단가행(短歌行), 조비(曹丕)의 연가행(燕歌行), 조식(曹植)의 칠보시(七步詩), 도연명(陶淵明)의 사시(四時)ㆍ음주(飮酒)ㆍ책자(責子)ㆍ잡시(雜詩)ㆍ의고(擬古)ㆍ귀원전거(歸園田居)ㆍ의만가사(擬挽歌辭), 사령운(謝靈運)의 등여산절정망제교(登廬山絶頂望諸嶠), 하지장(賀知章)의 회향우서(回鄕偶書)ㆍ영유(詠柳), 왕지환(王之渙)의 등관작루(登鸛雀樓), 최호(崔顥)의 황학루(黃鶴樓), 이백(李白)의 장진주(將進酒) 등 15수, 두보(杜甫)의 춘망(春望) 등 5수, 왕유(王維)의 종남별업(終南別業)ㆍ서사(書事)ㆍ산거추명(山居秋暝), 맹호연(孟浩然)의 춘효(春曉)ㆍ망동정호증장승상(望洞庭湖贈張丞相), 맹교(孟郊)의 유자음(游子吟), 가도(賈島)의 제이응유거(題李凝幽居)ㆍ검객(劍客), 두목(杜牧)의 청명(淸明)ㆍ박진회(泊秦淮)ㆍ산행(山行), 이상은(李商隱)의 야우기북(夜雨寄北)ㆍ금슬(錦瑟), 창당(暢當)의 등관작루(登鸛雀樓), 조변(趙抃)의 차운공헌봉래각(次韻孔憲蓬萊閣), 소식(蘇軾)의 제서림벽(題西林壁)ㆍ해시시병서(海市詩竝序), 이조충(李祚忠)의 봉래원조(蓬萊遠眺), 황종희(黃宗羲)의 달봉기유(達篷紀游), 팽손휼(彭孫遹)의 추일등등왕각(秋日登滕王閣) 등이다. 다음으로 “중국고전명문 감상”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갈관자(鶡冠子)의 위문후문편작(魏文侯問扁鵲), 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辭), 열자(列子)의 고산유수(高山流水), 진수(陳壽)의 화타어오보(華佗語吳普), 제갈량(諸葛亮)의 출사표(出師表), 왕희지(王羲之)의 난정집서(蘭亭集序), 도연명(陶淵明)의 도화원기(桃花源記)ㆍ귀거래사(歸去來辭),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 이백(李白)의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 유우석(劉禹錫)의 누실명(陋室銘), 한유(韓愈)의 사설(師說), 유종원(柳宗元)의 포사자설(捕蛇者說), 범중엄(范仲淹)의 악양루기(岳陽樓記), 구양수(歐陽修)의 취옹정기(醉翁亭記), 소식(蘇軾)의 전적벽부(前赤壁賦), 요내(姚鼐)의 등태산기(登泰山記) 등 총 17편이다. 이 책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중국고전시가와 중국고전산문을 이해하는데 조그마한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