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철학적 급진주의"(으)로 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6850196

철학적 급진주의의 형성 3: 철학적 급진주의(1815~1848) (철학적 급진주의(1815~1848))

엘리 알레비  | 한국문화사
35,100원  | 20210503  | 9791166850196
철학적 오류들. 어떤 의미에서 보면 이 오류들이 다른 모든 오류의 기저에 해당한다. ‘감성적’이고 특히 ‘금욕적’인 도덕은 … 귀족제의 산물이다. 희생의 도덕을 가르치는 자들, 더 높은 이상을 위해 자신의 이익을 희생하는 사람을 칭송하는 자들, 마치 사회라는 것이 모든 개인들의 집합 말고 다른 어떤 것인 양, 개인의 이익과 사회의 이익이 상반된다는 어불성설을 범하는 자들, 이런 사람들은 엄밀하게 말해서 어떤 실수를 저지르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오류를, 다소간 의식적으로, 범하고 있는 것이다. … 통치하는 단체의 회원들인 그들은 개인들로 하여금 그 단체의 이익을 위해 희생하라고 촉구한다. 그러나 공리주의자들은 사람들에게 복종도 겸양도 설교하지 않는다. 공리주의자들은 사람들이 자신의 권리와 이익을 이기적으로 수호함으로써 전체의 번영을 실현하라고 안내한다. … 그들은 전통적 철학에 의해 확립된 이성과 감성의 이원론과 의무와 이익의 이원론을 파괴하러 나선다. 이성이라는 것은 감성들을 질서 있게 배열하다보면 자연히 뒤따르는 소산이고, 도덕의 명령이란 이익들을 균형에 맞추면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결과이기 때문이다. - 본문 중에서
9791166850172

철학적 급진주의의 형성 1: 벤담의 젊은 시절(1776~1789) (벤담의 젊은 시절(1776~1789))

엘리 알레비  | 한국문화사
33,300원  | 20210503  | 9791166850172
학생이든 선생이든 철학을 연구하는 사람이 공리주의라는 명칭을 들으면 마음 속에 무슨 생각이 떠오를까? 벤담의 도덕계산규칙이라든가 스튜어트 밀의 저작 제목이 떠오를 것이다. … 그러나 … 공리주의가 단지 하나의 유행하는 의견을 넘어 하나의 철학으로서 구성되어 등장한 시기에, 공리주의자이기 위해서는 동시에 급진적일 수밖에 없었음을 (그래서 철학적 급진파라는 명칭이 나왔음을) 알고 있을까? 당시 공리주의 도덕을 제창한 사람들이 동시에 대의민주주의와 보통선거권의 이론가들이었음을 알고 있을까? … 모든 개인의 이익은 동질적이다 - 각 개인은 모두 자신의 이익에 관한 최고의 판관이다 - 그러므로 전통적 제도들이 개인들 사이에 세워놓은 인위적 장벽과, 개인들을 서로로부터 그리고 자신들로부터 보호해줘야 할 필요가 있다는 가정에 기초한 사회적 제약들을 모두 부숴야 한다. 이것은 하나의 해방철학이다. 장-자크 루소의 감성적 철학과는 영감이나 원리에서 아주 다르지만, 응용에서는 여러 면에서 흡사한 해방의 철학이다. - 본문 중에서
9791166850189

철학적 급진주의의 형성 2: 공리주의 신조의 진화(1789~1815) (공리주의 신조의 진화(1789~1815))

엘리 알레비  | 한국문화사
31,500원  | 20210503  | 9791166850189
프랑스 혁명이 일어났을 때, 벤담은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을 막 출판한 다음이었다. 세상이 뒤집히는 판국에 그 책은 누구 눈에도 띄지 못한 채 넘어가고 말았다. … 벤담은 … 교도체계 개혁안을 제시했지만, … 당시 공중의 마음은 다른 일들에 쏠려있었고, 벤담에게 『파놉티콘』은 단지 실망과 파산의 원인이었을 뿐이었다. … 그러나 벤담의 사상은 그랬지만 공리주의 사상은 그러지 않았다. 벤담의 주위에서 매일매일, 그와는 별도로, 공리주의 사상이 발전하고 있었고, 새로운 원리들에 의해 변모하면서 끊임없이 풍부한 내용으로 채워지고 있었다. … 개혁가들은 공중을 향해 말하면서 공중이 자신의 의견을 받아들이기는 고사하고 이해할 수 있기만을 바라더라도 공리의 언어로 말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도 분명했다. … 고드윈은 개인재산이 사라짐으로써 모든 개인들이 필요한 만큼의 생계를 평등하고 풍요롭게 제공받게 될 사회가 도래할 수 있다는 희망에서 공리의 원리를 기반으로 삼았다. 맬서스는 애덤 스미스의 정치경제학에서 언제나 근간이었던 노동의 법칙을 역설하면서, 공리의 원리를 기반으로 삼아 어두운 면을 지적했다. 인간이 본능을 억제할 줄 모르는 한, 소비자 수가 가용한 생계자원의 양보다 계속해서 빨리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인간의 행복은 이처럼 고통스러운 조건에 종속된다. 이처럼 두 갈래의 공리주의 중에서, 정통 교리가 되는 쪽은 고드윈의 것이 아니라 맬서스의 것이었다. - 본문 중에서
검색어 "철학적 급진주의"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