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켈젠"(으)로 6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78684170

한스 켈젠의 정의란 무엇인가

한스 켈젠  | UUP
23,500원  | 20180226  | 9788978684170
한스 켈젠의 『정의란 무엇인가』는 여러 학문 분야에 대한 한스 켈젠의 탁월한 안목을 보여준다. 이 책은 각각 따로 발표한 열 다섯 편의 논문을 엮은 것으로 몇몇 논문은 유다인인 그가 나치 정권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하기 전 독일어로 썼던 논문을 다른 사람이나 그가 영어로 번역한 것이고 몇몇 논문은 그가 미국에서 학자로 활동하면서 썼던 영어 논문이다. 서로 다른 주제로 다른 시기에 쓰인 이 논문들은 자연법과 실정법에 관련된 논의를 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9788957334645

규범의 일반이론 1

한스 켈젠  | 아카넷
65,300원  | 20160205  | 9788957334645
『규범이 일반이론』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방어하고자 했던 법철학자, 법의 순수성으로 어떠한 자의와 독재도 막으려 했던 헌법학자, 자신의 흔적을 남기지 않으려 태평양에 유골을 뿌려 달라고 한 소박한 인간 한스 켈젠의 유작이다. 켈젠의 유작에 어떠한 인위적인 수정도 가하지 않은 원전을 그대로 옮긴 것으로 그 방대한 분량으로 인해, 본문과 미주로 구분하여 두 권으로 출간되었다.
9788957334652

규범의 일반이론 2

한스 켈젠  | 아카넷
22,500원  | 20160205  | 9788957334652
이 책은 켈젠의 유작을 집대성한 것이니만큼 기존의 관련 저술에서 단편적으로 혹은 선언적으로 언급된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서술접근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래 번역된 국내의 관련 서적은 물론 독일과 오스트리아, 미국 등에서 출간된 켈젠의 저술 내용을 넘어서 새로운 지식을 국내의 독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 책은 켈젠의 기존의 저술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들이 대부분을 채우고 있고, 특히 규범이론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이라는 점에서 지금까지 소개된 순수법론이나 법단계론적인 접근을 넘어 규범학 일반에 대한 켈젠의 사상을 경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9788991516816

정의란 무엇인가

한스 켈젠  | 책과사람들
9,000원  | 20100215  | 9788991516816
『정의란 무엇인가』. 한스 켈젠 교수의 저서 ≪Was ist Gerechhtigkeit?(정의란 무엇인가?)≫를 번역한 책이다. 한글과 원문을 함께 실었다.
9788954408370

켈젠이 들려주는 법 이야기

변종필  | 자음과모음
9,900원  | 20081226  | 9788954408370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자 이야기」시리즈를 통해 철학자들은 각기 다른 환경에서 자란 만큼 저마다 독특한 이론과 삶의 방식을 보여줍니다. 어린이들은 그것들을 읽음으로써 자신의 삶에 대한 다양한 가치를 발견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것입니다. 『켈젠이 들려주는 법 이야기』는 순수법학을 주창하며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법학자로 평가받는 켈젠의 법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에른스트 블로흐는 켈젠을 형식자 가운데 가장 예리한 사람이라고 평가했어요.
9788965456278

독일 헌법학의 원천 (반양장)

칼 슈미트, 라이너 발, 페터 해벌레, 에른스트 볼프강 뵈켄회르데, 하인리히 트리펠, 구스타프 라드브루흐, 게오르크 옐리네크, 헤르만 헬러, 볼프강 슐루흐터, 클라우스 크뢰거, 프리츠 하르퉁, 크리스티안 슈타르크, 한스 페터 입센, 요제프 이젠제, 카를 뢰벤슈타인, 한스 켈젠  | 산지니
70,200원  | 20191008  | 9788965456278
헌법의 개념에서부터 국가의 성립까지 우리는 왜 독일 헌법학을 알아야 하는가? 독일 헌법학에 관한 논저 31편을 번역, 편집한 『독일 헌법학의 원천』이 출간됐다. 1184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이 책은 총 여섯 편으로 구성되어 헌법이론, 국가이론, 헌법사, 비교헌법론, 헌법의 보장 등을 다룬다. 바이마르공화국 헌법부터 현재 독일의 실정헌법에 이르기까지, 독일의 헌법학 관련 이론은 제헌헌법부터 지금까지 대한민국 헌법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따라서 독일 기본권의 일반이론을 명확히 이해하고, 그로부터 독자적인 한국 기본권의 일반이론에 대한 정립노력이 필요하다. 독일 헌법학 이론을 정독함으로써 우리 헌법학의 특수성과 입헌민주주의의 발전을 되짚어볼 수 있다. 이 책은 본격적인 학술 논문에서부터 강연 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헌들을 수록하고 있으며, 독일 헌법학의 시기 또한 바이마르 헌법 시대에서부터 기본법을 거쳐 통일된 독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