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한국한의학연구원"(으)로 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59678820

비만 한의임상진료지침

한국한의학연구원  | 휴먼컬처아리랑
24,750원  | 20181102  | 9791159678820
본 비만 한의임상진료지침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론으로 국제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GRADE 방법론을 적용하고 한의학적 임상연구 상황에 맞춰 권고등급을 수정하여 본 임상진 료지침의 근거 수준과 권고등급 도출에 활용하였습니다. 또한 전문가들의 임상적 의견을 최 대한 반영하기 위해 도출된 근거수준과 권고등급에 대해 또다시 공식적인 합의 방법론을 통 해 권고안을 도출하였습니다.
9791159678837

우울증 한의임상진료지침

한국한의학연구원  | 휴먼컬처아리랑
29,700원  | 20181102  | 9791159678837
본 우울증 한의임상진료지침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론으로 국제적으로 수용되고 있 는 GRADE 방법론을 적용하고 한의학적 임상연구 상황에 맞춰 권고등급을 수정하여 본 임 상진료지침의 근거 수준과 권고등급 도출에 활용하였습니다. 또한 전문가들의 임상적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도출된 근거수준과 권고등급에 대해 또다시 공식적인 합의 방법론을 통해 권고안을 도출하였습니다.
9791159678639

2016 한국한의학연감

한국한의학연구원  | 휴먼컬처아리랑
31,680원  | 20180910  | 9791159678639
1951년 한의사제도가 정식으로 도입되었지만 정부 내에서 한의학정책이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한 것은 1993년으로서, 한약분쟁의 해결을 위해서 제안된 정책들이 추진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93년 6월 당시 보건사회부 내 의정국에 한시 직제로 한방의료를 전담하는 한방의료 담당관실이 설치되었다가, 1996년 11월 한방의료와 한약에 대한 국민적 수요증가에 대처하고 한의약 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의정국 한방의료담당관실이 한방정책관실로 승격되었다. 2005년 10월에 한방정책팀과 한방산업팀으로, 2008년 2월에는 한의약정책과와 한의약산업과로 개편하여 의료분야 뿐만 아니라 한약, 의료기기산업까지 정책을 확대 추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식품의약품 안전처에도 1998년부터 한약 전담 부서가 설치되어 한약 관리와 연구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9788993958911

한국 한의학을 만든 사람들 2

한국한의학연구원  | 문사철
22,500원  | 20150115  | 9788993958911
조선전기의 문화적 융성은 오늘날의 연구자들을 놀라게 할 정도이다. 특히 책에 대한 집념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라 할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의학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우리에게는 조선에서 남긴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의방유취』라는, 이른바 3대 의서가 존재한다. 그간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대부분은 의학적인 내용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 책은 이 서적들이 세상에 나오게 한 사람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한의학의 모습을 결정짓게 한 주요서적들. 그 서적들을 만들어낸 사람들은 대체 어떠한 사람들이었을까? 그리고 이 서적들은 어떻게 해서 세상에 나오게 된 것일까? 이러한 궁금증을 이 책은 시원하게 해소시켜 줄 것이고, 동시에 한의서들이 의료용 서적에 국한되지 않고 문화적 의미를 충분히 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라 여겨진다.
9788993958904

한국 한의학을 만든 사람들 1

한국한의학연구원  | 문사철
22,500원  | 20150115  | 9788993958904
조선전기의 문화적 융성은 오늘날의 연구자들을 놀라게 할 정도이다. 특히 책에 대한 집념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라 할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의학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우리에게는 조선에서 남긴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의방유취』라는, 이른바 3대 의서가 존재한다. 그간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대부분은 의학적인 내용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 책은 이 서적들이 세상에 나오게 한 사람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한의학의 모습을 결정짓게 한 주요서적들. 그 서적들을 만들어낸 사람들은 대체 어떠한 사람들이었을까? 그리고 이 서적들은 어떻게 해서 세상에 나오게 된 것일까? 이러한 궁금증을 이 책은 시원하게 해소시켜 줄 것이고, 동시에 한의서들이 의료용 서적에 국한되지 않고 문화적 의미를 충분히 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라 여겨진다.
9788959703791

표준한약처방(2018)

한국한의학연구원, 신현규 외 11인  | 한국한의학연구원
0원  | 20180330  | 9788959703791
의약품은 의학적인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하여, 일정한 규격으로 생산· 유통 과정을 거쳐야한다. 현재 ‘한약’은 의약품의 모든 조건이 완비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환자에게 투여되고 있다. 이는 정부가 오랫동안 사용하여 온 전통 한약에 대해서는 안전성과 유효성을 면제하는 정책을 유지함으로써, 가능케 된 상황이다. 이러한 한약관리 정책이 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뿐 만아니라 소비자인 환자 입장에서 한약의 안전성 · 유효성을 이야기할 때, 매우 뜨거운 화젯거리이지만, 결국 입구와 출구를 알 수없는 딜레마에 빠지는 게 현실이다. 이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는 작은 실마리가, 지금까지 현대 문명사회에서 ‘한약’에 대해 연구된 과학적 자료를 조사 수집하고, 최소한 기본적으로 필요한 연구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 · 중국 · 일본에서 연구된 52종 한약처방에 대한 문헌, 이화학, 독성, 약리 및 효능 결과를 조사 정리하여 출간하였다. 기본 한약처방에 대한 기원, 역대 구성 약재 및 용량 변화, 구성 성분의 구조식, 성분 정량법, 세포 및 동물 실험을 통한 약리작용, 합성의약품과 한약처방 상호작용, 독성, 증례에서 임상시험 및 부작용까지 3700여 편 참고자료를 바탕으로 집대성하였다. 1970년부터 2017년 까지 연구된 결과를, 인체 계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제7차 한국질병사인분류’ 에 따라 집필하였다. 이 책자의 다양한 한약처방 정보가, 보다 나은 진료와 복약지도에 도움을 주어 환자 질병을 치료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9791159678844

중국 소수민족 전통의약

한국한의학연구원,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  | 휴먼컬처아리랑
57,420원  | 20181102  | 9791159678844
인류는 예로부터 질병치료를 위해 자연에서 얻은 여러 물질들을 활용해 왔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전통의약 약물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대량 생산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버드나무에서 유래한 아스피린, 은행잎에서 추출한 기넥신, 팔각회향을 주원료로 개발된 타미플루 등이 그 예라 고 할 수 있습니다. 중국 또한 자국 내 55개 소수민족의 전통의약을 활용하여 근육이완제 “태기송(?肌松)”, 불면치료제 “신쇠과소편(神衰果素片)”, 간염치료제 “청엽담편(靑葉膽片)” 등 많은 약품을 개발하였습니다. 현재 중국의 소수민족 전통의약 유래 약품산업은 1조 원 규모에 이르고 있어, 소수민족 전통의약의 활용가치를 다시 한 번 깨닫게 해 줍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