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한약"(으)로 15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한약처방 (증례와 함께하는)

한약처방 (증례와 함께하는)

조기호  | 우리의학서적
36,750원  | 20150915  | 9791185658162
▶ 이 책은 한약처방에 대해 다룬 교재입니다.
한약한자 (개정3판)

한약한자 (개정3판)

육창수, 김양일  | 석학당
19,000원  | 20200302  | 9791187621409
▶ 이 책은 한의약학이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한의약학이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한약한자 (개정판)

한약한자 (개정판)

육창수, 김양일  | 석학당
0원  | 20190901  | 9791187621317
▶ 이 책은 한약한자를 다룬 이론서입니다.
한약이해

한약이해

임병옥  | 문두사
26,000원  | 20150907  | 9788994723402
▶ 이 책은 한약에 대해 다룬 이론서입니다. 한약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한약한문

한약한문

김용한  | 대구한의대학교출판부
0원  | 20130222  | 9788987696928
한글 전용 세대를 위한 한약한문 교재. 지금의 대학생들은 고등학교까지 한문에 대한 이해도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한약재의 명칭이나 약성(藥性)에 대한 한자어 자체를 읽어내기가 어렵다. 이 책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한자어의 형성과 한문의 구조를 이해시켜 전공이나 전공과 관련된 한자어와 한문의 독해가 가능하도록 기술하였다.
한약한문

한약한문

하헌용, 송재경, 유영법, 유은순, 하헌용  | 문두사
0원  | 20120305  | 9788994723211
『한약한문』은 한약학과 한약자원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지침을 주는 책이다. 한의약학의 기초 용어와 함께 진단과 치료의 필수 용어, 한의약학의 양대 근간인 본초와 경락에 있어서 반드시 숙지해야 할 용어들을 해설과 함께 다룬다. 동양의 철학과 사고를 근간으로 하는 한약학이나 한약학에 입문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용이하게 한의약학의 전공지식을 습득하도록 도움을 준다.
한약한문

한약한문

하헌용, 임병옥  | 문두사
0원  | 20120305  | 9788994723204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하헌용·임병옥 교수의『한약한문』. 한약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의약학의 기초용어와 함께 진단과 치료의 필수 용어 등을 소개한 책이다. 동양의 철학 사고를 근간으로 하는 한약학과 지식을 전달하는 매체인 문자와 용어에 대한 이질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한의약학의 양대근간인 본초와 경락에 있어서 반드시 숙지해야할 용어들을 해설과 함께 정리하였다. 한의약학과 한약자원학을 공부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한의약학과 인접한 학문을 전공하는 학생과 한방관련 산업체에서 근무하는 실무자에게도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다.
한약재가공학

한약재가공학

황안국  | 문경출판사
25,200원  | 20250415  | 9788978468688
본 한약재가공학(韓藥材加工學, Herbal Processing Technology)은 국내 처음으로 출간되는 대학교재(개론서)로서, 기존의 한약포제학에 현대과학기술(식품공학/화학공학/생물공학/생명공학/제약공학 등)을 접목하여 기술한 책이다. 한의학(韓醫學)이란, 원래 한국의 전통의학으로서 한의약학적 이론에 근거한 올바른 진단을 하는 것이고, 그 다음으로 적절한 치유방법을 제공하여 실천하는 것이다. 치유방법에는 한약재(韓藥材)를 사용하는 방법과 침구(鍼灸)를 시행하는 방법이 있는바, 이중 한약재를 사용하는 방법에서 한약재가공이라는 전통적인 포제방법이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 기본과정은 한약재의 확실하고 표준화된 포제방법의 적용이다. 한약재가공은 예로부터 “합약(合藥)”, “합화(合化)”, “제약(製藥)”, “치제(治製)”, “포자(炮炙)”, “수사(修事)”, “수제(修製)” 등으로 불려왔으나, 현재는 “포제(炮製)”, “수치(修治)”, “법제(法製)”, “포자(炮炙)”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조선 말기에 우리나라에서는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영향으로 “수치(修治)”라는 용어로 통용되어 현재까지 널리 쓰이고 있는 중이나,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서는 “포제(炮製)”라고 불러왔음을 상기해 볼 때 “炮” 字는 화(火)와 관계가 깊은 가공처리 방법이고, “製” 字는 각종 가공기술(加工技術)의 대표적인 문자인바, “포제(炮製)”라고 명명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사료된다. 한약재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불순물 및 독성 등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거나 무독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하는 기본원칙을 지켜야 한다. 한약재가공학(韓藥材加工學)은 한약재의 생산, 분류, 포제이론, 분석, 조작방법, 보존방법, 포장방법 및 유통 등 규격과 품질에 관한 신소재 개발의 영역을 전문성 있게 가공처리하며, 한약재 효능을 극대화하고 독성을 줄이는 제약기술(製藥技術)이다. 독자대상은 대학의 한의학과, 한약학과 학부생 및 한방관련학과 전공분야에 재학중인 대학생들과 석박사과정의 대학원생들을 비롯하여 한방병의원 약제실 등 한방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의료인들, 한방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등을 개발하는 연구소의 연구자들, 한방생약 등 한약재를 생산하는 제약회사 현장의 기술자들이다. 또한, 건강에 관심있는 일반인들의 지침서로서 참고서적의 특징이 있다.
한약 처방 A to Z (한약 사용 설명서)

한약 처방 A to Z (한약 사용 설명서)

이창민, 하동훈, 김명수, 송은미, 강보혜, 신진욱, 이정후, 김건호, 김성현, 최혜빈  | 지식과감성
7,470원  | 20250530  | 9791139226195
한약 처방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입문서이자, 개념서 한약 처방에 대한 기본적 개념의 정리와 함께 다양한 처방법들을 수록한 도서로, 상황에 맞는 한약 처방에 대해 알고자 하는 많은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한약 암 치료 (과학적 근거를 기반하다 | 표준 치료를 완수하기 위한 한약)

한약 암 치료 (과학적 근거를 기반하다 | 표준 치료를 완수하기 위한 한약)

모토오 요시하루  | 청홍
22,500원  | 20201130  | 9791191136005
이 책은 한의학을 사용한 암 보조요법을 행하기 위한 사고방식이나 방법을 정리한 서적 암의료 환경이 최근 몇 년간, 크게 변화된 것을 많은 사람들이 느낄 것이다. 그것은 의료종사자, 환자, 가족 간의 커뮤니케이션, 유전자 진단에 따른 치료 선택, 약물요법과 그에 따른 부작용 초기 발견과 대책, 암 생존자의 지역연계 등을 많은 측면에서 발전하였다. 그중 암 약물요법에서는 2018년에 노벨의학생리학상을 수상한 혼조 다스쿠 선생의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를 주목해야 한다.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을 완전히 치료할 정도로 획기적인 유효성이 확인되지만, 한편으로 위독한 면역 관련 증상이 확인되기에 사용에 있어서 여러 진료과 및 직종 간 협력이 필수이다. 또 기존 세포장애성 항암제나 21세기에 많이 개발된 분자표적약을 여러 가지로 조합한 요법도 고안되어, 임상시험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이렇듯 실제 임상에서 효과가 최대한 발휘되며, 안전하게 쓰이는데, 보조요법을 빼놓고 말할 수 없다. 영어 논문 중심 근거 소개나 다양한 사용의 가이드라인 의료용 한약제제에 관한 근거도 쌓이고 있다. 미래 한의학을 전혀 모르고 의료에 종사하는 것은 곤란한 일이 될 수도 있다. 암치료, 특히 혼합 병태인 약물요법 부작용에는 다성분계(多成分系)인 한약에 따른 전인적(全人的)인 진단, 예방 및 치료를 제안할 수 있다. 이 책은 약물요법에 더해, 수술 후 체력 저하나 림프부종 등 외과적 치료에 따른 증상이나 암성통증, 암 악액질(?液質) 등 완화 관리도 다루고 있다. 바로 “표준 치료를 완수하기 위한 한약” 이 책의 주제이다. 암의료에 종사하는 많은 의료인을 비롯해, 다양한 직종 사람들에게도 어렵지 않은 내용으로 되어 있다.
한약 이야기 (고서를 통해서 본 흥미로운)

한약 이야기 (고서를 통해서 본 흥미로운)

권동렬, 신동원, 정대기  | 문운당
21,160원  | 20190930  | 9791156924449
동양의 대백과사전으로 불리는 【본초강목】을 집필한 이시진은 “위로는 고서에서부터 아래로는 온갖 야사까지 그 내용들은 모두 나름의 연관성을 띠고 있다. 비록 의서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실은 물리에 관한 것이다.”라고 강조했는데, 그가 언급한 물리라는 것은 단순히 약재에 내포된 자연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약재의 명칭에 함축된 문학적 의미와 그 효과까지 포괄한 것이라 할 수 있다.【신농본초경】부터 최근까지의 다양한 서적들을 통해 수집한 약재의 명칭 및 효과와 관련된 내용들을 정리해 보면 “기인이 효자를 돕는 과정, 일상생활 중 우연한 발견, 동식물의 생장특성을 면밀히 관찰한 결과와 전설에 대한 실험” 등 다양한 이야기들이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다음과 같이 그 내용들을 정리하고자 했다. 첫째, 약재의 사진과 기원식물에 대한 학명을 밝힘으로써 약재에 대한 혼동을 방지하고자 했다. 둘째, 본초에 대한 최초의 이론서로서 현재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신농본초경】이 설명하고 있는 약재의 효과를 해석했다. 셋째, 약명의 유래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들 중 단순히 흥미 위주가 아닌 실제의 약효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이야기들을 소개했다. 넷째, 약초를 통해 질병치료의 효과를 봤던 역사적 기록들 중 독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 이야기들을 선별해서 실었다. 동시에 해당 약재를 언급한 고시 일부를 소개함으로써 옛 사람들의 약재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엿볼 수 있도록 했다. 다섯째, 해당 약재를 기본으로 민간에서 유행했던 약선요리를 소개함으로써 실생활에 직접 활용 가능하도록 했다. 여섯째, 일부 한의학 용어에 대해서는 “용어설명”을 첨부했으며, 본문 중 해당 단어의 우측 상단에 *표기를 해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약재에 대한 많은 전설들을 접하면서 다양한 권선징악의 이야기들과 더불어 약재의 신기한 효험에 놀라게 된다. 이 책을 만나는 독자들도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먹고 마시며 접하는 모든 것들이 우리의 건강과 직결된다는 믿음을 갖게 되는 작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한약저장학 (개정판)

한약저장학 (개정판)

박진한  | 보명Books
13,500원  | 20160301  | 9788963661056
한약재 제조업체에서도 새로운 기술이 보급되면서 안전한 포장방법을 선택하는 등 새로운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선 한약의 생산에서부터 유통, 저장, 관리에 이르기까지 안전성과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새로운 개념과 신기술들이 많이 도입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토대가 되는 것이 한약저장학이다. 이 책의 내용을 살펴보면 한약저장의 개요, 한약저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변질과 유해성, 한약재의 변질과 이물질, 한약의 저장기간, 한약의 저장방법, 한약의 포장, 한약의 보관, 한약의 품질관리 등에 대해 서술하였다.
한약약리학

한약약리학

김호철  | 집문당
36,100원  | 20010531  | 9788930308359
개별 한약의 자연과학적인 연구성과와 응용방법을 정리함으로써 한약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교재 및 자연과학자, 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등의 연구와 임상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게 하고자 쓰였다. 1∼4장에서는 한약의 개념과 약성 이론 등에 대해 서술하였고, 5∼23장에서는 청열약, 보익약 등 20여 효능에 따른 개별 한약에 대해 기원, 약성, 성분, 약리, 임상응용 등에 대해 서술하였다.
한약 유통학 (자연과 정성이 깃든 우리의 한약)

한약 유통학 (자연과 정성이 깃든 우리의 한약)

박진한  | 보명Books
13,500원  | 20150801  | 9788963661018
현대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한약재가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갖고 이용되기 위해서는 우수 한약재의 유통관리체계가 수립되어야 한다. 즉, 우리나라의 한약재가 변화된 현대사회에서도 우리에 의하여 보존, 발전되고 또한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한약재의 유통관리체계의 확립과 철저한 품질관리가 확립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최근 국민소득의 증대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약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늘어나 수입량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약이 생약 재배 농가의 주 수입원이지만 재배농가와 생산량은 오히려 감소되고 있다. 그것은 한약재 유통 구조의 전근대성과 관리체계의 미흡으로 인해 내수시장은 물론 마구잡이로 쏟아져 들어오는 수입한약재 때문에 국내 생산 기반이 크게 흔들리기 때문이기도 하다. 더불어 한약재의 비위생적인 관리도 국민 건강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약재 유통 체계의 효율적인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한약재 편람

한약재 편람

한약재평가기술과학화연구사업단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00,000원  | 20141210  | 9788952113481
이 책은 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지원으로, 한약재 품질의 표준화 및 규격화 연구를 수행한 한약재 평가기술과학화연구사업단이 그동안의 연구성과 중 국내에서 의약품으로 활용 빈도가 높은 9종의 약재에 관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저술한 것이다. 9종의 한약재에 관한 화학적 고찰 및 약리 활성 고찰을 담아 관련 분야 종사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련 학회: 대한약학회 www.psk.or.kr 한국생약학회 www.ksp.or.kr 한국약용작물학회 www.medcrop.or.kr 한국응용약물학회 www.ksap.o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