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약학 > 생약/한방
· ISBN : 9788952113481
· 쪽수 : 816쪽
· 출판일 : 2014-12-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Glycyrrhizae Radix(감초)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 지하부의 성분
2) 지상부의 성분
5. 감초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감초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LC-MS/MS를 이용한 감초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감초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1) Glycyrrhetinic acid(GA)에 대한 biomarker
2) Glycyrol(GC)에 대한 biomarker
3) 생리 활성 성분에 의하여 변화하는 유전자
8. 총론
참고문헌
Salviae Miltiorrhizae Rhizoma(단삼)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 Phenol성 화합물
2) Triterpenoid 성분
3) 기타 성분
5. 단삼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단삼 지표성분의 동시분석법
2) HPLC-MS/MS를 이용한 단삼 지표성분의 동시분석법
3) 단삼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9. 총론
참고문헌
Angelicae Gigantis Radix(당귀)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90
1) 지하부의 성분
2) 지상부의 성분
5. 당귀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DAD를 이용한 당귀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LC-ESI/MS를 이용한 당귀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당귀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4) 당귀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3) 약리 활성 고찰 및 요약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9. 총론
참고문헌
Schisandrae Fructus(오미자)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5. 오미자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오미자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HPLC-MS/MS를 이용한 오미자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오미자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 주성분의 약리 활성
3) 약리 활성 고찰 및 요약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1) 오미자의 항암 효과
2) 오미자의 신경세포보호 효과
3) 오미자의 간세포보호 효과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1) 부작용
2) 독성
3) 주의사항
9. 총론
참고문헌
Evodiae Fructus(오수유)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 Alkaloids
2) Anthraquinone
3) Flavonoids
4) Triterpene
5) Limonoids
6) Phytosterol
7) 기타
5. 오수유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에 의한 오수유 알칼로이드의 동시분석법
2) LC-MS/MS에 의한 오수유 알칼로이드의 동시분석법
3) 오수유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9. 총론
참고문헌
Paeoniae Radix(작약)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 Monoterpene and monoterpene glycoside
2) Triterpenoid 성분
3) Tannins
4) Phenolic compounds
5) 기타
6) 약용부위인 뿌리 이외의 부위에서 분리된 화합물들
5. 작약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작약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HPLC-MS/MS를 이용한 작약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작약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작약에 함유된 총배당체의 약리 활성
3)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9. 총론
참고문헌
Ponciri Fructus(지실)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5. 지실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지실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HPLC-MS/MS를 이용한 지실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지실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3) 지표성분 및 함량
7. 지실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1) 지실 활성 유효 성분들의 확보
2) 한약재 유효 활성 성분에 대한 과학화 연구의 실험 접근방법
3) 각 활성 유효 성분에 대한 microarray 실시 및 결과 분석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9. 총론
참고문헌
Scutellariae Radix(황금)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 Flavonoids
2) Aliphatic
3) α-Pyrone
4) γ-pyrone
5) Steroid
6) Monoterpenoid
7) Sesquiterpenoid
8) Diterpenoid
9) Amino acid
10) Phenylpropanoid
11) Benzenoid
12) Lipid
13) Nitrogen
14) Oxygen
15) Miscellaneous
5. 황금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황금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HPLC-MS/MS를 이용한 황금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황금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7. 지표성분 및 함량
8.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9. 총론
참고문헌
Magnoliae Cortex(후박)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 Lignan 및 lignan 배당체
2) Alkaloid
3) 일본산 후박의 함유성분
5. 후박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후박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HPLC-MS를 이용한 후박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후박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1) 후박유래물질 항암 효과
2) 후박유래물질 신경세포보호 효과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9. 총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부록
화합물명(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감초 추출물 및 단리 화합물의 항암 활성에 대한 연구는 다수가 보고되어 있다. 감초 추출물 및 추출물 분획은 사람의 간암 세포주 Hep3B에 대한 70% 억제 활성이 있고, 정상 간 세포주에 대하여 약 20%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단리 화합물인 glycyrrhizin 또는 18β-glycyrrhetinic acid를 처리한 것보다 감초 추출물 및 추출물 분획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낸다[Chung et al., 2001]. Licoricidin을 포함하는 감초 hexane-ethanol 추출물은 사람의 전립선 암세포인 DU145의 전이 활성을 억제하며[Park et al., 2010], 감초 에탄올(EtOH) 추출물은 사람의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 대하여 G1기 세포 정지(cell arrest)를 일으켜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한다[Jo et al., 2005]. 그러나 한편으로 감초 추출물의 ER(estrogen) 유사 활성에 대한 연구결과 감초의 물 및 메탄올(MeOH) 추출물은 ER-independent 세포 활성을 유도하여 estrogen 의존적인 유방암 예방을 위해서는 복용량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연구결과도 주목해 볼 만하다[Hu et al., 2009].
선천성 심장질환(congenital heart disease) 환자에게 심폐우회술(cardio-pulmonary bypass) 후 단삼 추출물의 투여는 plasma endothelin-1과 TXB2(thromboxane B2)를 감소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Xia et al., 2003]. 단삼 추출물은 aminoglycoside에 의하여 야기된 free radical 형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Wang et al., 2003]. 내피세포(endothelial cell)에서 단삼 추출물은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방어하는 작용을 한다[Ding et al., 2006]. 단삼은 지방단백질(lipoprotein)에 유도된 oxLDL(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로부터 내피모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를 보호한다[Ji et al., 2010].
참당귀(Angelica gigas)를 동물모델(F344 rat)에 13주 반복투여독성시험 및 유전독성시험[정진호 et al., 2005] 결과에 따르면, 당귀 추출물의 투여(2, 1, 0.5, 0.25 and 0.125g/kg/day, 주 5회, 13주간 경구로 반복투여)는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는 임상증상, 행동이상 및 사망사례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참당귀 추출물은 동물모델(rat)에서 2g/kg까지 독성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Salmonella typhimurium 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 CHL cell을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 ICR 생쥐를 이용한 소핵시험(최고 용량을 2g/kg B. W 1회/1일 4일간)과 생체 외(in vitro) 용량(5,000, 2,500, 1,250, 625, 312.5μg/100μL/plate의 농도)으로 TA98, TA100, TA102, TA1535, TA1537 균주를 이용한 시험에서 복귀돌연변이 콜로니 수의 유의한 변가 관찰되지 않았다. MTT법을 이용한 세포독성 시험에서도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 및 수적 이상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당귀는 매우 안전한 한약재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