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홍성방"(으)로 11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30329734

헌법학개론

홍성방  | 박영사
26,100원  | 20170120  | 9791130329734
▶ 이 책은 헌법학개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헌법학개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91130328287

헌법학(상) (제3판)

홍성방  | 박영사
32,010원  | 20160220  | 9791130328287
▶ 이 책은 헌법학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헌법학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91130327716

헌법학(중) (제2판)

홍성방  | 박영사
31,040원  | 20150730  | 9791130327716
『헌법학(중)』은 저자가 헌법Ⅰ(1999. 7.)과 헌법Ⅱ(2000. 3.)를 출판하고 난 후 출판된 10여 종 넘는 헌법교과서들 가운데서 계속해서 출간되고 있는 교과서들의 내용을 검토하여 수록하였다. 다음으로, 2000년대 들어서면서 여러 논문집에서 훌륭한 논문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어 그 내용도 가능하면 검토하여 수록하고자 하였다.
9788974111823

법학입문

홍성방  | 새문사
21,850원  | 20070530  | 9788974111823
법학의 기본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 이 책은 법과 법학 전반에 걸친 일반적·기초적 지식과 중요한 개념 및 법적 사고방법을 자세히 해설한 법학입문서이다. 법에 관해 단편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법학의 각 분과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공통 지식을 제공한다....
9791130327105

헌법소송법

홍성방  | 박영사
23,750원  | 20150320  | 9791130327105
▶ 이 책은 헌법소송법 이론서입니다. 헌법소송법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9791130326153

헌법학(하) (제3판)

홍성방  | 박영사
29,100원  | 20140510  | 9791130326153
▶ 이 책은 헌법학을 다룬 사례중심의 이론서입니다. 헌법학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91130325200

헌법학(상) (제2판)

홍성방  | 박영사
0원  | 20130830  | 9791130325200
『헌법학』 상권.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사항은 헌법일반이론과 기본권일반이론이다. 개념의 정확한 사용, 논리의 일관성, 문헌의 정확한 인용과 그리고 우리 실정헌법을 근거로 한 논증에 철저히 하였다.
9788983239037

주요국가의 재정법제 연구 2(오스트리아의 재정관련 헌법조항을 중심으로) (오스트리아의 재정관련 헌법조항을 중심으로)

홍성방  | 한국법제연구원
7,200원  | 20090731  | 9788983239037
오스트리아 연방헌법 규정에 근거할 때, 예산의 편성권한은 연방재정부장관의 주도로 연방정부가 행사한다. 이 책에서는 오스트리아의 재정관련 헌법조항을 토대로 다양한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오스트리아와 유럽의 재정관련 법률의 특징과 오스트리아 재정헌법의 개혁내용을 살펴보아 우리의 헌법개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본다.
9788972730644

환경보호의 법적문제

홍성방  | 서강대학교출판부
0원  | 19990820  | 9788972730644
9788985302746

헌법요론

홍성방  | 신영사
18,000원  | 19990725  | 9788985302746
9788991324664

법관법 (홍성방 교수의 법학 번역 시리즈 8)

프리드리히 뮐러  | 유로서적
13,500원  | 20141228  | 9788991324664
홍성방 교수의 법학 번역 시리즈 『법관법』. 뭘러가 1975년 이후 계속해서 발표하고 있는 연작물 헌법이론의 제 요소 중 4권을 번역한 책이다. 헌법의 민주주의 원리와 권력분립 원리를 토대로 어떻든 실정법에 환원할 수 없는 법관법, 즉 법관의 법계속형성은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