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스 레싱, 21세기 여성 작가의 도전 (반영에서 회절로 비상하다)
민경숙 | 갈무리
20,700원 | 20180831 | 9788961951852
1. 들어가기 : 도리스 레싱, 『19호실로 가다』, tvN 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
『19호실로 가다』는 2017년 가을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에 소개되어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 도리스 레싱의 책이다. 이 책은 정희진, 이다혜, 최은영 등의 학자, 비평가, 소설가 들이 추천한 도리스 레싱의 단편소설집이다. 1919년 페르시아(현 이란)에서 태어나 2013년 타계한 여성 작가 도리스 레싱은 『19호실로 가다』를 비롯하여 여성이 일상에서 겪는 불안과 억압을 그린 많은 작품을 남겼다.
단편 「19호실로 가다」는 1963년에 처음 발표된 작품으로, 1970년대 이후 좀더 보편적이 될 페미니즘적 사유들을 한발 앞서 예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호실로 가다」와 같은 작품이 여전히 독자들에게 커다란 공감을 얻고 있다는 사실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것은 레싱이 1960년대에 발표한 작품 속에서 포착한 삶의 불안, 특히 여성의 불안하고 억압된 삶의 조건들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레싱의 작품 중에는 페미니즘의 시선으로 독해가 가능한 작품들이 많기는 하지만, 후기의 레싱은 우주과학, 생물학, 물리학 등에서 직접적인 영감을 받은 여러 편의 과학소설 및 판타지 소설을 썼고, 제국주의, 식민주의 문제와 오늘날과 같은 고령화 사회에서 누구나 고민할 수밖에 없는 노인에 대한 차별, 특히 자신과 같은 여성 노인의 삶 등 다양한 주제를 열정적으로 탐험했던 작가이다. 그녀가 작품 속에서 다룬 주제를 나열하는 것만으로도 세간의 시선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이 직면한 문제를 깊이 고민하는 곧은 지성의 힘이 느껴진다. 오늘날까지 레싱이 작품이 독자들에게 널리 사랑받고 있는 이유, 또 나아가 2007년에 레싱이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던 원동력이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2. 『도리스 레싱, 21세기 여성 작가의 도전』 간략한 소개
“초고령에 다다른 여성작가의 도전 정신을 끝까지 추적해보고 싶었다.”
『도리스 레싱, 21세기 여성 작가의 도전』은 영문학 연구자이자 용인대학교 전임교수인 저자 민경숙이 24년간 도리스 레싱을 연구한 결과를 엮은 책이다. 저자 민경숙은 2004년에 10여 년간 도리스 레싱의 전기(前期) 작품을 연구하여 『도리스 레싱 : 20세기 여성의 초상』(동문선, 2004)이라는 첫 비평서를 출간하였다. 그리고 14년 후 도리스 레싱의 후기 작품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이번에 『도리스 레싱, 21세기 여성 작가의 도전』(갈무리, 2018)을 출간하게 되었다. 저자는 수십 년간 도리스 레싱이라는 작가를 놓지 않은 이유에 대해 “초고령에 다다른 여성작가의 도전 정신을 끝까지 추적해보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2007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도리스 레싱(Doris Lessing, 1919~2013)은 영국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작사가, 전기 작가, 단편소설 작가로, 한국에서는 페미니스트 작가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올해 7월 그의 단편선 『19호실로 가다』(문예출판사)가 출간되어 여성의 억압된 일상을 그린 작품집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한국 사회에서는 1980년대에 페미니즘에 대한 관심으로 레싱 읽기가 시작되었다. 1990년대에는 『황금 노트북』이라는 작품의 독특한 구조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관심과 함께 주목받으면서 레싱은 선풍적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그러나 레싱 자신은 ‘페미니스트’라는 특정한 정체성으로 분류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레싱은 남성/여성, 백인종/유색인종, 등등 이항대립을 통한 억압관계에 대해 저항감을 갖고 있었다. 『제2, 3, 4지대의 결혼』에서 주인공이 페미니즘의 이상향이라고 볼 수 있는 제3지대를 버리고 남성, 여성의 구분이 없는 제2지대로 가는 것에서 레싱의 이런 성향을 잘 알 수 있다.
저자 민경숙에 의하면, 이 비평집은 레싱의 의도를 좇아 레싱이 그리는 이상적인 삶의 태도, 작가의 소명, 세계관에 초점을 맞추어 레싱의 작품을 읽으려 한다. 레싱은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여 재현하는 사실주의적 작품을 쓰도록 요구하는 독자들의 기대를 과감히 저버리고 현실 뒤에 감추어진 여러 가능성을 캐내어 보여주는 사변소설을 끝까지 추구하였다. 이 저서는 레싱의 후기 작품들이 어떤 점에서 모두에게 귀감이 되는지를 보여주려는, 도리스 레싱이라는 작가의 열렬한 독자이자 충실한 연구자인 저자 민경숙 교수의 치열한 노력의 산물이다.
3. 『도리스 레싱, 21세기 여성 작가의 도전』이 주목한 도리스 레싱의 얼굴들
도리스 레싱과 우주
오늘날 헐리우드 영화들의 목록을 잠시 훑어보더라도 우리는 우주를 소재로 하거나 판타지 작품이 대세를 이루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소재의 고갈’ 때문일까? ‘오늘날 젊은이들의 취향에 맞기’ 때문일까? 도리스 레싱은 일찍이 소설도 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믿었다. ‘벽 속 공간’에 무의식 세계가 있다고 상상하여 그 속에 들어가 청소하고 정신적 문제를 해결하는 『어느 생존자의 비망록』, 우주에 세 제국이 있고 지구는 그 제국의 식민행성이라고 설정하면서 지구가 오늘날 멸망 직전까지 이르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거기에서 더 나아가 식민자와 피식민자의 복잡한 관계를 사유한 5부작 『아르고스의 카노푸스 제국』, 유럽 즉 서양문명이 멸망한 미래를 무대로 각양각색의 아프리카인들이 다민족 공동체를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는 『마라와 댄』 연작, 먼 과거로 돌아가 태초에 여성만이 존재했고 후에 남성이 태어나 여성이 남성에게 주도권을 양도하게 되는 과정을 상상한 『클레프트』, 이렇듯 레싱의 후기(後期) 작품들의 상상력은 독자에게 새로운 경험과 새로운 사유를 선물한다. 그러나 독자들과 비평가들은 레싱이 사실주의 작품에서 판타지나 과학소설로 전향했다고 그녀를 비난하였고, 레싱은 다시 사실주의 작품을 썼다. 하지만 레싱은 그 작품들 『어느 좋은 이웃의 일기』와 『노인이 할 수 있다면』을 이번에는 ‘제인 소머즈’라는 필명으로 발표하여 그 작품이 레싱인 것을 눈치채지 못한 출판계와 비평가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이것이 소위 ‘제인 소머즈 스캔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