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국어학 입문"(으)로 10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75815348

국어학 입문

박종갑, 최동주, 이혁화, 김세환, 서희정  | 영남대학교출판부
14,100원  | 20160910  | 9788975815348
국어학이 경험과학의 하나이며, 흥미진진한 세계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 국어학이 경험과학의 하나이며, 국어학 공부를 통해 얻는 지혜가 우리의 삶을 격조 있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혜와 결코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려는 저자들의 의도가 담겨진 입문서이다. 국어학 분야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흥미와 탐구욕을 부추기기 위해 각 장의 앞부분에 ‘생각 깨우기’ 문제를 넣는 등 국어학이 ‘까다롭고 어려우며 외우기도 힘든 문법’이 아니라 국어학이 얼마나 흥미진진한 세계인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국어학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 문제해결능력, 자료분석능력을 기르게 하는 내용들로 구성 국어음운, 국어형태, 국어통사, 국어의미, 국어방언, 국어사와 한국어 교육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문제해결능력과 자료분석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내용들로 구성되어져 있다.
9788989432739

전통국어학 입문

 | 정인출판사
18,000원  | 20070817  | 9788989432739
9788959967391

근대 국어 입문: 이론과 강독 (이론과 강독)

나찬연  | 경진출판
11,700원  | 20200605  | 9788959967391
근대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언어 이론과 근대 국어의 대표적인 텍스트를 소개하다 근대 국어 입문서 이 책은 근대 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근대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학습 내용을 기술한 교재이다. 곧, 이 책은 근대 국어의 언어 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근대 국어의 대표적인 텍스트를 소개함으로써, 근대 국어의 입문자들에게 근대 국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입문서이다. 이 책은 ‘이론편’과 ‘강독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의 이론편에서는 근대 국어의 ‘문자론,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와 의미론’ 등의 이론을 다루었다. 그리고 제2부에서는 17세기 초에 간행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와 18세기 말에 간행된 ≪한중만록≫(1795)과 19세기 말에 발간된 ≪독립신문≫(1896)에 실린 텍스트를 발췌하여, 이들 텍스트를 현대어로 번역하고 이들 텍스트에 있는 문장을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였다. 이 책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법≫(2010)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언어와 매체≫(2019) 등의 학교 문법 교과서에 기술된 문법 교육의 내용과 체제에 기반하여 집필되었다. 그리고 이 책은 저자가 이전에 발간한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1, 2≫, ≪중세 국어의 이해≫, ≪중세 국어 입문≫, ≪중세 국어 강독≫, ≪근대 국어 강독≫에 기술된 문법 내용과 텍스트가 이 책에 반영되어 있음을 밝힌다. 국어사를 학습하는 독자들은 ≪중세 국어 입문≫, ≪중세 국어의 이해≫, ≪중세 국어 강독≫, ≪근대 국어 입문≫, ≪근대 국어 강독≫을 순차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중세 국어로부터 현대 국어까지 국어의 변화 양상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9788959967384

중세 국어 입문: 이론과 강독 (이론과 강독)

나찬연  | 경진출판
13,050원  | 20200510  | 9788959967384
중세 국어의 언어 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중세 국어의 텍스트 소개 중세 국어 입문자들을 위해 기획하다 ≪중세 국어 입문≫은 중세 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세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학습 내용을 기술한 교재이다. 곧, 이 책은 중세 국어의 언어 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중세 국어의 텍스트를 소개하여, 중세 국어의 입문자들에게 중세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높이는 책이다. 이 책은 ‘이론편’과 ‘강독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의 이론편에서는 15세기의 국어를 중심으로 ‘문자론,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등의 이론을 다루었다. 그리고 제2부에서는 15, 16세기에 발간된 대표적인 한글 문헌을 선정하여, 이들 문헌에 실린 텍스트의 문장을 현대어로 번역하고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였다. 이 책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법≫(2010)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언어와 매체≫(2019) 등의 학교 문법 교과서에 기술된 문법 교육의 내용과 체제에 기반하여 집필되었다. 그리고 이 책이 중세 국어의 입문서라는 특징 때문에, 저자가 이전에 발간한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1, 2≫, ≪중세 국어의 이해≫, ≪중세 국어 강독≫, ≪근대 국어 강독≫에 기술된 내용이 이 책에 많이 반영되어 있음을 밝힌다. 지은이는 중세 국어를 배우는 이들이 ≪중세 국어 입문≫, ≪중세 국어의 이해≫, ≪중세 국어 강독≫, ≪근대 국어 강독≫을 순차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중세 국어에서 현대 국어에 이르는 국어사에 대한 학습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9791162470213

계초심학입문 / 발심수행장 / 야운자경

 | 학자원
29,700원  | 20180410  | 9791162470213
<계초심학입문誡初心學人文> 원효(元曉)의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과 각우覺牛의 <야운자경서野雲自警序> 또는 <야운자경문野雲自警文>, <야운자경野雲自警>의 언해와 합본되어 3권 1책으로 되어 있다. 처음 불교를 접한 사람 즉 초심자를 위하여 가르치는 말씀을 담고 있다. 이 책은 불교전문강원의 사미과沙彌科 교과목의 하나이고, 수행인의 필독서로 읽힌다. 이들은 모두 우리나라 고승의 저술로서 불문佛門의 범절과 마음가짐, 출가수도의 필요성과 방법을 논술하여, 불문의 초심자가 반드시 읽어야 될 책이다. 원전을 대문으로 나누어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것은 다른 불경언해와 같으나, 원전의 한자에 한글로 독음을 표시한 것이 특징이다.
9788962920703

한국어 통사론 입문

최규수  | 박이정
8,500원  | 20090901  | 9788962920703
한국어 통사론을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문장의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들을 익힐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후 많은 질문과 토론을 통해서 이러한 지식들을 운용하는 데에 익숙해질 수 있을 것이다.
9788956682549

KCJ Multilingual 한중일 기초 입문 1

문철수, 고대곤, 오길용  | 제이앤씨
12,600원  | 20150228  | 9788956682549
교육부의 대학 특성화 정책에 선정되면서 중국어 전공과 일본어 전공 학과를 통합하여 동아시아학부의 특성화를 위해 개발된 교과목이다. ‘발음편’에서 중국어와 일본어의 기초적 개념을 정리하여 기본기를 갖출 수 있도록 하였으며 ‘회화편’에서는 각 12가지 상황별 일상대화 지문을 통해 회화 실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부록으로, 본문해석과 기초어휘 익히기, 중국어와 일본어 워크북을 수록하였다.
9791185647005

시창작입문 (제2판)

이상옥  | 탑북스
13,650원  | 20140310  | 9791185647005
▶ 이 책은 시 창작 입문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시 창작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88926829691

문학연구 입문의 실제

이주열  | 한국학술정보
19,800원  | 20120131  | 9788926829691
문학과 관련된 강의를 해오는 이주열의 『문학연구 입문의 실제』. 문학적 표상의 존재적 의의와 함께 그를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분석하고 비평하는 방법에 대해 규범화된 논의를 연결하여 구성한 이론을 담고 있다. 저자가 문학 연구의 초보적 위치에 있었던 때에 저술한 것이다.
9788930303613

한국고전문학입문

박기석  | 집문당
0원  | 19960301  | 9788930303613
우리 고전문학에 관심을 갖고 고전문학의 성격과 작품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려는 국문학 전공 학생 및 수준 높은 교양인을 위해 편찬한 안내서이다. 총론에서는 기본적인 사항을 진술했으며, 각론에서는 서정문학, 서사문학, 극문학, 수필평론 등 주요작품을 통해 이해토록 하였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