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잡지 > 교양/문예/인문 > 인문/사회
· ISBN : 6000276524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08-06-25
책 소개
목차
편집자의 말 | 촛불, 그리고 새로운 꿈
특집 1: 쇠고기를 넘어, 식량 위기를 넘어
식량 위기의 해법, 먹을 거리 민주주의_윤형근
세계 식량 위기의 현실에서 문명 전환의 계기를 찾는다
공포의 식탁: 인간 욕망에 대한 지구의 경고_강이현
광우병 쇠고기, GMO, 조류 인플루엔자를 중심으로
특집 2: 운하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대운하와 신(자유주의)개발국가의 본격화_조명래
이명박 정부의 국토환경 정책과 국가 성격 분석을 중심으로
'이명박 운하'와 '사고사회' 한국_홍성태
한반도는 본디 운하와 어울릴 수 없다_박병상
선진국 운하에서 목격한 '이명박 운하'의 주검_김병기
녹색산문
와룡 공원의 하루_원충연
초점과대안
국가를 넘어선 남북통일은 불가능할까?_박승옥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새로운 공동체의 재구성을 꿈꾸며
보건의료의 산업화.사유화와 위기의 건강_이원영
국가주의적 수리권에서 민주적인 수리권으로_이상헌
여성과환경
'홈리스' 여성을 찾아서_김두나
주제서평
절망을 넘어 희망의 대안 경제 만들기_정규호
『그린 이코노미』, 『가난 없는 세상을 위하며』
가진 자들만의 민주주의를 끝내야 한다_전성원
『승자독식사회』, 『부자들이 지구를 어떻게 망쳤나』
서평
'기적'을 일구는 자연과 노동의 힘_예진수
『똥꽃』
되게 무서운 미국, 무지 사나운 백인
『거짓된 진실』
건강은 결국, 권리다_강주성
『평등해야 건강하다』
신간.자료정보
저자소개
책속에서
광우병을 발생시키는 원인인 변형 프리온은 다른 병원체와 달리 '압력을 가하거나 고온 속에서도 사라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 그 때문에 변형 프리온은 단순히 광우병에 걸린 소의 고기를 먹었을 때뿐 아니라 잠복기 환자로부터 수혈을 받거나 장기 이식을 받을 때 등 다양한 경로로 전파된다. 영국에서 광우병이 발생했을 당시 10년간 채식을 해온 여성이 인간 광우병에 걸린 것이 확인되면서 영국 시민들은 패닉에 빠졌다. 그러나 정부의 대책은 지나칠 정도로 소홀했다. 그 이유는 다름 아닌 '경제' 때문이었다.
미국과 영국 등지에서 널리 키우는 홀스타인 종의 젖소 1마리가 1년 동안 생산하는 우유는 약 500리터다. 매일 13~18킬로그램의 우유를 생산하는 셈이다. 이렇게 많은 단백질을 생산하자면 건초와 곡물만으로는 역부족이다. 때문에 낙농업자들은 수세기 동안 비공식적으로 또 체계적으로,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부터는 상업적으로, 하루에 2회 단백질 보충 사료를 섞어 소에게 먹였다. (51~52쪽, '공포의 식탁: 인간 욕망에 대한 지구의 경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