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lia M. Tarvydas (엮은이)
정보 더보기
박사는 미국 공인재활상담사로, 재활 및 상담자 교육 명예 교수이자 장애재활 윤리연구소(Institute on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Ethics: I-DARE)의 설립자이다. 그녀는 외상성 뇌손상과 신체 재활 분야에서 40년간 재활 실무 경험을 하며 재활 상담자 교육자로서 일해 왔다. 그녀의 주된 연구 분야 및 발표 주제는 윤리학, 윤리적 의사 결정, 전문적 관리 및 기준이다. 이와 같은 분야와 관련하여 다수의 저서를 저술했는데, 본서 외에도 기존 저서 『Ethical and Professional Issues in Counseling』의 4판인 『Counseling Ethics and Decision Making』(2016)의 공저자이다. Tarvydas 박사는 상담 직업화, 윤리학, 그리고 자격인증 등의 분야에 긴 경력이 있다. 그녀는 아이오와 행동과학 심사위원회와 징계위원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미국상담학회(ACA) 인가 위원회의 일원으로 수년간 일해 왔다. 최근에는 미국 연합 주립 상담협회위원회(AASCB)/미국상담학회(ACA)의 20/20 구상 발의를 위한 관리감독위원회의 위원으로 일하였다. 그녀는 재활상담사 자격화와 관련하여 방대한 경험을 갖고 있는데, 재활상담사인증위원회(CRCC)에서 8년 동안 조사연구위원회의 부회장과 총무, 윤리위원회의 회장직을 역임하였다. 뿐만 아니라 Tarvydas 박사는 전국재활교육협의회(NCRE), 미국 재활상담협회(ARCA), 그리고 미국 주립 상답협회위원회(AASCB) 세 기관의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미국상담학회 윤리위원회와 미국작업치료협회 윤리위원회의 위원이다. 2005년 미국상담학회 윤리강령을 제정한 미국상담학회의 윤리강령 개정 대책위원회의 위원이었으며, 1987년에는 하나의 통합된 재활상담사 전문 윤리강령을 만든 단체들의 모임에서 의장을 맡았다. 2010년 재활상담사 인증위원회 윤리강령 개정을 위한 대책위원회의 위원장이었고, 현재 상담 및 관련 교육 프로그램 인가 위원회(CACREP)의 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펼치기
Vilia M. Tarvydas의 다른 책 >
Michael T. Hartley (엮은이)
정보 더보기
박사는 미국 공인재활상담사로, 애리조나 대학교 장애 및 심리교육학부 재활 및 정신건강 전문 상담 프로그램의 부교수이자 책임자이다. 그의 학문적 관심 분야는 윤리 기준의 적용 등을 비롯한 재활상담의 전문화에 있다. 그는 분배의 공정 문제에 대한 연구를 많이 했는데, 그가 수행해 온 윤리적 의무에 대한 학문적 저작들은 주로 회복탄력성 증진의 중요성과 장애인 차별 및 신체적 건강 우선주의에 대한 옹호에 초점을 두고 있다. Hartley 박사는 다수의 연구비 지원 프로젝트에 참여해왔는데, 최근에는 척수 손상 군인의 회복탄력성 지지를 위한 혁신적 개입법을 개발하는 연구 프로젝트의 대표 연구자였다. 또한 그는 장애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 및 중도포기율 감소를 위한 학교와 직장 간 과도기에 대한 개입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했다. 옹호와 관련하여서는 장애인들에게 자기옹호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들이 자기옹호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독립생활센터(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CILs)의 대표자 및 공동 연구원을 맡고 있다. 그는 자기옹호와 관련된 연구에서 사회적 소외를 경험한 개개인이 그들의 힘을 되찾고 그들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현대 재활상담 현장에서의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이 연구는 그가 일했던 재활상담사인증위원회의 2017 윤리강령을 개정하는 데 활용되었다. Hartley 박사는 재활상담사의 직무나 재활상담의 실제에 정통하며, 재활상담사란 누구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그들을 장애인들과 윤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준비시킬 수 있는지에 전념하고 있다.
펼치기
Michael T. Hartley의 다른 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