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재활상담학개론

재활상담학개론

(제2판)

Vilia M. Tarvydas, Michael T. Hartley (지은이), 신성만 (옮긴이)
박영스토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840원
27,1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1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재활상담학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재활상담학개론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91189643799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0-05-30

책 소개

이전에 <재활상담 핸드북>과 <재활상담: 직무와 실제>라는 제목으로 출판된 재활상담학 기본서들의 4판에 해당한다. Dennis Maki와 Vilia Tarvydas이 구조와 양식은 유지하고 정신재활과 재활상담가들에 의해 수행되는 정신보건 현장에서의 상담 전반에 대한 새롭고 최신화된 내용들을 수록하였다.

목차

PART 01 도입

Chapter 01
재활상담: 상담 직업 내의 전문 영역 3
Vilia M. Tarvydas, Dennis R. Maki, and Michael T. Hartley


PART 02 기초

Chapter 02
재활상담 전문가 역량 19
Michael J. Leahy

Chapter 03
전문자격 35
Stephen A. Zanskas and Susan G. Sherman

Chapter 04
상담과 재활상담의 역사와 변천 55
Linda R. Shaw and J. Barry Mascari

Chapter 05
개념과 모델 78
Henry McCarthy
Chapter 06
장애 정책 및 법률 102
Susanne M. Bruyère and Matthew C. Saleh

PART 03 장애인

Chapter 07
장애와 장애인 131
Margaret A. Nosek

Chapter 08
가족 및 관계 관련 주제 149
R. Rocco Cottone

Chapter 09
장애인 권리 커뮤니티 166
Micheal T. Hartley

Chapter 10
글로벌 맥락에서의 장애 관련 쟁점 183
Lisa Lopez Levers


PART 04 전문적 기능

Chapter 11
평가 211
Elias Mpofu and Ngonidzashe Mpofu

Chapter 12
상담 229
Mark A. Stebnicki

Chapter 13
사례관리 250
Martha H.Chapin, Maggie K. Butler, and Vanessa M. Perry

Chapter 14
옹호 265
William Ming Liu and Rebecca L. Toporek

Chapter 15
장애인의 진로 발달과 고용 281
David R. Strauser, Deirdre O’Sullivan, and Alex W. K. Wong

Chapter 16
법정 및 간접 서비스 305
Mary Barros-Bailey


PART 05 전문적 역량

Chapter 17
도덕적 원칙 및 윤리적 의사결정 323
Vilia M. Tarvydas and Sara P. Johnston


Chapter 18
문화 역량과 사회 정의 355
Brenda Y. Cartwaright, Debra A. Harley, and Keisha G. Rogers

Chapter 19
근거중심 실무와 연구 활용 370
Fong Chan, Kanako Iwanaga, Emre Umucu, Rana Yaghmaian, Jia-Rung Wu, Kevin Bengtson, and Xiangli Chen

Chapter 20
정신재활 392
Amanda B. Easton and Patrick Corrigan

Chapter 21
공학기술 414
Mary Barros-Bailey and Keith Sofka

Chapter 22
재활상담사 수퍼비전 431
James T. Herbert

부록 A 재활상담 주요 용어의 약어 모음 453
부록 B 재활상담의 직무 범위 463

찾아보기 467

저자소개

Vilia M. Tarvydas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박사는 미국 공인재활상담사로, 재활 및 상담자 교육 명예 교수이자 장애재활 윤리연구소(Institute on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Ethics: I-DARE)의 설립자이다. 그녀는 외상성 뇌손상과 신체 재활 분야에서 40년간 재활 실무 경험을 하며 재활 상담자 교육자로서 일해 왔다. 그녀의 주된 연구 분야 및 발표 주제는 윤리학, 윤리적 의사 결정, 전문적 관리 및 기준이다. 이와 같은 분야와 관련하여 다수의 저서를 저술했는데, 본서 외에도 기존 저서 『Ethical and Professional Issues in Counseling』의 4판인 『Counseling Ethics and Decision Making』(2016)의 공저자이다. Tarvydas 박사는 상담 직업화, 윤리학, 그리고 자격인증 등의 분야에 긴 경력이 있다. 그녀는 아이오와 행동과학 심사위원회와 징계위원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미국상담학회(ACA) 인가 위원회의 일원으로 수년간 일해 왔다. 최근에는 미국 연합 주립 상담협회위원회(AASCB)/미국상담학회(ACA)의 20/20 구상 발의를 위한 관리감독위원회의 위원으로 일하였다. 그녀는 재활상담사 자격화와 관련하여 방대한 경험을 갖고 있는데, 재활상담사인증위원회(CRCC)에서 8년 동안 조사연구위원회의 부회장과 총무, 윤리위원회의 회장직을 역임하였다. 뿐만 아니라 Tarvydas 박사는 전국재활교육협의회(NCRE), 미국 재활상담협회(ARCA), 그리고 미국 주립 상답협회위원회(AASCB) 세 기관의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미국상담학회 윤리위원회와 미국작업치료협회 윤리위원회의 위원이다. 2005년 미국상담학회 윤리강령을 제정한 미국상담학회의 윤리강령 개정 대책위원회의 위원이었으며, 1987년에는 하나의 통합된 재활상담사 전문 윤리강령을 만든 단체들의 모임에서 의장을 맡았다. 2010년 재활상담사 인증위원회 윤리강령 개정을 위한 대책위원회의 위원장이었고, 현재 상담 및 관련 교육 프로그램 인가 위원회(CACREP)의 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펼치기
Michael T. Hartley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박사는 미국 공인재활상담사로, 애리조나 대학교 장애 및 심리교육학부 재활 및 정신건강 전문 상담 프로그램의 부교수이자 책임자이다. 그의 학문적 관심 분야는 윤리 기준의 적용 등을 비롯한 재활상담의 전문화에 있다. 그는 분배의 공정 문제에 대한 연구를 많이 했는데, 그가 수행해 온 윤리적 의무에 대한 학문적 저작들은 주로 회복탄력성 증진의 중요성과 장애인 차별 및 신체적 건강 우선주의에 대한 옹호에 초점을 두고 있다. Hartley 박사는 다수의 연구비 지원 프로젝트에 참여해왔는데, 최근에는 척수 손상 군인의 회복탄력성 지지를 위한 혁신적 개입법을 개발하는 연구 프로젝트의 대표 연구자였다. 또한 그는 장애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 및 중도포기율 감소를 위한 학교와 직장 간 과도기에 대한 개입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했다. 옹호와 관련하여서는 장애인들에게 자기옹호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들이 자기옹호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독립생활센터(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CILs)의 대표자 및 공동 연구원을 맡고 있다. 그는 자기옹호와 관련된 연구에서 사회적 소외를 경험한 개개인이 그들의 힘을 되찾고 그들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현대 재활상담 현장에서의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이 연구는 그가 일했던 재활상담사인증위원회의 2017 윤리강령을 개정하는 데 활용되었다. Hartley 박사는 재활상담사의 직무나 재활상담의 실제에 정통하며, 재활상담사란 누구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그들을 장애인들과 윤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준비시킬 수 있는지에 전념하고 있다.
펼치기
신성만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 한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주요 경력 현)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대학원장 현) 한국중독상담학회 학회장 전) 하버드 의대 케임브리지병원 정신과 연구원 주요 저서 및 논문 역서: 불안장애를 위한 동기강화상담, 정신재활, 실존치료, 중독상담, 용서치료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